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굵기
층
겹
굵음
두꺼움
밀집
d라이브러리
"
두께
"(으)로 총 1,462건 검색되었습니다.
iPad 열풍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다른 관전 포인트이다. 아이패드 사양 ● 크기와 무게 가로·세로가 각각 189.7mm와 242.8mm,
두께
는 약13.4mm. 무게는 0.68~0.73kg. 디스플레이는 크기 약 246mm(9.7인치)로 발광다이오드 방식의 백라이트를 사용(1024×768 화소)하는 액정디스플레이(LCD). IPS(In-Plane Switching)라 부르는 ...
국내 최대 공룡알 화석을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과연 어떤 공룡일까?*박편 : 암석이나 광물을 현미경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0.02~0.03㎜
두께
로 자른 것.*수각류 : 발로 서서 걷는 육식 공룡으로, 새 같은 몸과 긴 꼬리뼈를 가지며 대부분 날카로운 이빨을 가졌다. 연구는 계속된다압해도의 공룡알 화석은 현재도 계속 발굴 작업 중이고, 앞으로도 많은 ... ...
광집게로 DNA의 꼬인 나선 풀고 세포 특성 파악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집어 들어보자. 생각보다 쉽지 않을 것이다. 타원형 모양의 쌀은 긴 쪽 지름이 5mm이고
두께
는 3mm에 지나지 않아 어른이 두툼한 손가락으로 집기에 너무 작다. 아무리 움직임이 자유롭고 민첩한 엄지와 검지를 사용해도 말이다.하지만 끝이 좁은 핀셋을 이용하면 가능하다. 가지런히 쌀알들을 나열할 ... ...
우리 천문학자, 허블우주망원경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원인을 조사해 보니 핵심 부품인 지름 2.4m짜리 반사경에 문제가 있었다. 머리카락
두께
의 50분의 1 정도를 잘못 가공한 것이다. 결국 반사경의 초점에 빛이 모이지 않아 또렷한 상이 맺히지 않았다. 반사경의 정밀도는 허블우주망원경의 한계를 결정하는 핵심요인이기 때문이다.“반사경을 깎는 ... ...
위풍당당 아라온호의 남극 쇄빙시험일지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할 땐 이것을 부수고 통과할 수 있어야 한다. 이날 도전한 리지는 가장 두꺼운 부분의
두께
가 7m이고 그 위에 40cm~1.8m의 눈이 쌓여 있었다. 아라온호는 리지에 뱃머리를 힘차게 6번 박치기해 리지를 통과했다. 아라온호는 이 과정에서 단위면적당 최대 59.2MPa(메가파스칼, 1MPa=106Pa)의 힘을 받았다. 배가 ... ...
전자의 또 다른 얼굴 ‘스핀’으로 정보 쌓는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스핀파에 실어 보낸다.연구단은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이용해 수nm(나노미터, 1nm=10-9m)
두께
의 자성박막 도선 안에 존재하는 스핀들에 자기장을 걸어주면, 도선에서 강력한 스핀파가 발생한다는 사실을 최초로 발견했다.김 교수는 “도선 내에 들어 있는 스핀들은 서로 꼬리에 꼬리를 잇는 ... ...
현미경으로 살아 있는 나노세계를 보다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연구단은 간섭현미경을 이용해서 세포의 형태를 3차원으로 구현하고 이때의 세포
두께
를 정량적으로 계산해냈다. 이는 그동안 생물학자들이 염원하던 기술이다.간섭현미경으로 연구단은 적혈구가 떠는 모습을 잡아냈다. 1초에 100번 이상 찍을 수 있는 촬영속도 덕분이다. 김 교수는“간섭현미경은 ... ...
아바타 열풍! 지금은 3D 시대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것은 2차원 세계는 실제 있지 않답니다. 실제로는 아무리 얇은 종이도 평면이 아니라
두께
가 있는 입체기 때문이에요. 입체를 표현하려면 3개의 문자가 필요해서 3차원이라고 해요. 3차원 세계에는 넓이뿐 아니라 부피도 있어요.차원을 극복한 예술가지금처럼 화려한 3D 기술이 발달하기 전에는 ... ...
2mm 속에서 질병·가짜 찾아낸다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박리 질환 찾아내광주과학기술원(GIST) 정보통신공학과 이병하 교수는 “깊이 1mm 이내의
두께
를 갖고 있는 망막은 OCT로 촬영하기 더없이 좋다”고 말한다. OCT는 망막에 난 구멍이나, 망막이 주변 조직으로부터 분리되는 병인 망막박리를 확인하는 데 효과적이다. OCT로 촬영하면 망막과 주변 조직의 ... ...
거미줄에 맺힌 물방울의 비밀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머리카락
두께
의 100분의 1에 불과한 거미줄에 어떻게 물방울이 방울져 매달려 있을까요? 그 비밀이 풀렸습니다.중국의 과학자들은 ‘유럽응달거미’의 거미줄을 분석한 결과 거미줄이 물에 젖으면 구조가 변한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거미줄이 물에 젖으면 일정한 간격으로 거미줄 가닥의 ... ...
이전
60
61
62
63
64
65
66
67
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