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눈초리
시선
눈꼬리
관심
주의
눈
d라이브러리
"
눈길
"(으)로 총 656건 검색되었습니다.
컴퓨터가 연출하는 꿈의 영상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회의' 개막식이 거행된 한국전력공사의 대강당에선 색다른 시청각 영상매체가 선보여
눈길
을 끌었다. 가로16.3 m 세로5.7 m 의 대형 스크린에24대의 슬라이드 프로젝터 (환등기)를 동원. 수백 컷의 다양한 화면과 입체음향을 조합해 극적인 영상효과를 연출해 낸 것. 이 장치는 흔히 '멀티비전'으로 ... ...
극한의 과학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처리하기에 이른 고집적 기술, 그 한계는 어디일까.반도체 회사의 광고사진 중에서 특히
눈길
을 끄는 것이있다. 거대한 괴물처럼 보일 만큼 확대한 개미가 조그만 반도체 칩을 물고있는 모습이 그것.한 변이 수mm에 불과한 이 칩 위에 10만개가 넘는 트랜지스터가 집적되어있다는 설명은 오늘날 ... ...
'87전국 우수발명품 전시회에서 선보인 기발한 아이디어 신기한 상품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기계적부분을 전자시스팀으로 연결시킨 안개등 겸용 헤트라이트자동점소등장치 등이
눈길
을 끌었다.또한 논의 배수조작을 기계화 한 논물고, 참깨나 더덕 당근 등 귀중한 씨앗을 파종시 손실을 최대한 줄일 수 있고 따로 제초할 필요가 없는 비닐 부착 씨앗파종법인 써닐마스터 등은 직접 ... ...
자연학습장 겸한 휴식처 광릉수목원의 꽃과 나무들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어우러져 자라고 있는데, 네펀더스(Nepenthes)같은 식충식물(食虫植物)도 있어
눈길
을 끈다.보르네오산인 이 식물은 끈끈한 주머니가 있어 그속에 들어오는 곤충들을 잡아 먹는다. 한편 광릉수목원에는 산림박물관도 함께 만들어 산림에 관한 체계적인 지식을 얻을 수 있게 했다. 약 1천4백평의 2층 ... ...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 권 태 환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지구가족'의 과밀현상에 대한 우려가 새삼스럽게 번져가고 있다. 신문지상에서
눈길
을 끄는 제목만 보더라도 '지구를 위협하는 인구폭탄' '세계인구 비상…오늘 50억 돌파' '인류에 식량ㆍ에너지위기 온다' 등 바야흐로 인구문제가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는 중대한 문제로 제기되는 느낌이다. 6 ... ...
즐겁고 유익한 여름을! 자연관찰을 위한 안내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희귀한 고수갈로와벌레, 고수장님딱정벌레 등이 있긴 하지만 모두 관광객의
눈길
을 피해 동굴 깊숙이 숨어 버렸기 때문에 직접 눈으로 볼 수는 없다. 다만 동굴안의 호수인 림푸울이나 림스톤에 서식하는 곱둥이 톡톡이 설설이 등은 되도록 접근해 망원경을 통해보면 관찰이 가능하다. 동굴이 ... ...
전자공학도 배출에 앞장서는 광운대학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전자재료공학과 전자계산기공학과 화학공학과 등 6개 학과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가운데
눈길
을 끄는 학과가 전자재료공학과. 반도체 재료와 전자요업재료 등 첨단의 소재분야를 연구하는 이 학과는 지난 75년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설립되었다(경북대에 먼저 생겼지만 나중에 없어짐). 현재 이 ... ...
「공해 추방 시민 큰마당」열려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최루탄에 골병들고…'는 정부의 성과없는 환경정책에 대한 신랄한 풍자로 특히
눈길
을 끌었다 88올림픽에 참가한 독일마라톤 선수가 "대기오염과 최루가스 속에서 연습하는 한국선수는 고지훈련이 필요없겠다"고 말하는 대목에선 폭소가 터지기도 했다. 한국 공해문제연구소가 이날 발표한 '87 ... ...
전문화시대일수록 「교양독서」는 보다 절실하다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지나가다보면 진열장에 마치 꽃가게의 꽃들 처럼 가지각색으로 단장을 한 책들에
눈길
이 끌려서 아무런 부담감 없이 들어가보고 싶은 충동을 느끼는 일이 많다. 그런데 그 많은 책들이 별로 팔리지 않는다고 한다. 점심값 정도로 사볼 수 있는 좋은 문고본들이 얼마나 많은가. 우리나라 사람이 책을 ... ...
곤충의 세계 제비나비와 큰밀잠자리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鱗粉)가 이어져 있는가 하면 수컷은 빌로도와 같은 비늘털(鱗毛)이 유난히 사람의
눈길
을 끈다. 우리나라에서는 호랑나비과만 해도 17종이 발표되어 있지만 이러한 나비들은 넓은 환경속을 자유자재로 날아다니며 생활하는 것이 아니다. 흔히 눈에 뜨이는 흰나비과의 배추흰나비(Pieris rapa)만 해도 ... ...
이전
60
61
62
63
64
65
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