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내용"(으)로 총 5,838건 검색되었습니다.
- [매스크래프트] #20. 오싹! 귀신의 집보다 더 무서운 비둘기수학동아 l2021년 08호
- 진주를 하나씩 나눠 넣는 방법을 떠올려 ‘서랍 원리’라고 이름 붙였어요. 그런데 이 내용이 영어권 국가로 퍼지면서, 서랍장이 비둘기집과 비슷해 점차 ‘비둘기집 원리’라고 부르게 됐죠. 비둘기집 원리는 수학에서 직접 증명하기 어려운 문제를 간접적으로 증명할 때 유용하게 쓰여요. ... ...
- [이달의 수학자] 무명 수학자에서 수학자의 영광이 되다, 닐스 헨리크 아벨수학동아 l2021년 08호
- 닐스 헨리크 아벨이 태어난 날입니다. 아벨은 5차 방정식이 근의 공식을 갖지 않는다는 내용을 담은 초기 논문을 작성해 당대 최고의 수학자라 불리던 독일의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에게 보냈습니다. 하지만 가우스는 ‘모든 복소수 계수의 대수 방정식은 복소수 근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 ...
- [이달의 과학사] 1932년 4월 4일 괴혈병을 막는 비타민 C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비타민 C라는 사실을 확인합니다. 약 2주 정도 뒤 얼베르트 센트죄르지도 같은 내용을 발표하지요. 누가 비타민 C를 최초로 발견했느냐를 두고 두 과학자가 다퉜지만, 오랫동안 헥수론산을 연구한 얼베르트 센트죄르지에게 공이 돌아갔어요. 그는 헥수론산의 이름을 ‘아스코르브산’으로 바꾸었고, ... ...
- [만렙! 디지털 리터러시] 가짜뉴스,어디에서 왔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예를 들 어 어떤 금속이나 물질에서 나오는 음이온, 원적외선 으로 질병을 치료한다는 내용은 과학적으로 검증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렇다면 이런 가짜뉴스는 누가 어떤 목적으로 만드는 걸까요? 첫째, 재미를 위해 만드는 가짜뉴스입니다. 대 표적인 사례는 만우절 거짓말 정도가 ... ...
- [기획] AI로 가짜뉴스 잡아볼까?수학동아 l2021년 07호
- 표현했습니다. 위 그림처럼 연구팀은 기사의 제목과 본문을 그래프로 나타냈습니다. 내용을 보면 P1과 P2는 ‘코로나19에 좋은 음식’이라는 제목과 어느 정도 관련이 있습니다. 그런데 P3에는 뜬금없이 광고 문구가 나옵니다. 뉴스 형태를 한 광고, 즉 가짜뉴스입니다. 이 과정을 AI로 처리하기 위해 ... ...
- [수담수담] 몸으로 느끼는 수학은 좋은 기억을 남겨요-손대원 진주외국어고등학교 수석 교사수학동아 l2021년 07호
- 나왔는데요, 국어 시험에서 수학과 관련된 지문은 읽기도 전에 포기하던 친구가 아는 내용이어서 도전했는데 정답을 맞힌 적도 있었죠. 손 선생님은 “수학 자체가 친근하고 익숙해져야 미리부터 겁먹는 것을 막을 수 있다”며 “재미난 수학 체험을 통해 수학에 대한 즐거운 기억을 많이 쌓았으면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19화. 상반기 결산!수학동아 l2021년 07호
- 중입니다. 박사후연구원이 되는 것은 직원으로 고용되는 상황과 비슷해요. 그동안 어떤 내용을 공부했는지, 어떤 연구를 할 건지 등을 담은 이력서를 기관에 제출해요. 그 기관은 이력서를 보고 연구비를 지원할 박사후연구원을 뽑죠. 보통 2~3년 정도 정해진 계약 기간 동안 속해있는 기관의 ... ...
- [이달의 수학자] 정수론 난제의 해결사, 테렌스 타오수학동아 l2021년 07호
- 년간 풀리지 않았던 난제로 ‘1과로 이뤄진 무한수열의 합은 임의의 정수보다 크다’는 내용의 에르되시 불일치 추측이 불가능함을 증명했습니다. 현재까지 타오는 300편이 넘는 수학 연구 논문을 발표했고, 18권의 수학책을 쓰는 등 활발하게 활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그는 왕성한 연구 비결에 대해 ... ...
- 그들은 왜 암호화폐를 샀을까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설명했다. 지난 5월에는 이세돌이 바둑 인공지능(AI) ‘알파고’를 무너뜨린 대국의 복기 내용이 NFT로 경매에 붙었는데, 약 2억 5000만 원에 낙찰돼 화제가 되기도 했다. 같은 달 세계적 미술품 경매회사 소더비는 처음으로 미술작품 경매에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을 결제수단으로 받아들였으며, ... ...
- [긱블X과학동아] 프X글스 리프터│나중의 편함을 위해 지금의 귀찮음을 감수한다과학동아 l2021년 07호
- 톱니모양이 일직선인 평기어와 베벨기어를 사용해 이번 작품을 만들 계획입니다. 설계 내용을 간단히(?) 말하자면, 일단 맨 밑에 평기어 두 개를 놓습니다. 이 중 작은 평기어를 손으로 돌리면 큰 평기어가 맞물려 돌아가죠. 이때 큰 평기어 위에 놓인 베벨기어도 같이 돌아갑니다. 이 베벨기어에는 ... ...
이전60616263646566676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