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벌레
충
버그
곤충류
육각류
d라이브러리
"
곤충
"(으)로 총 1,552건 검색되었습니다.
톱니바퀴는 인간의 전유물이 아니야~
과학동아
l
2013년 10호
최초”라고 말했다.플랜트호퍼는 날개가 없는 대신 강한 뒷다리 힘으로 뛰어다니는
곤충
. 그런데 공중에서 몸의 방향이 비틀리는 일 없이 원하는 대로 날아가기 위해서는 두 다리가 동시에 땅을 박차야 한다. 플랜트호퍼의 두 다리는 30마이크로 초(1마이크로초는 10만 분의 1초) 이하의 오차로 동시에 ... ...
초파리 ‘입맛’ 까다롭네
과학동아
l
2013년 09호
발견한다면 새로운 모기 기피제나 퇴치제를 개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개리티 교수는 “
곤충
이 어떻게 열을 감지하고 반응하는지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진다면 말라리아나 수면병 같은 질병을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hot science] 동물이 보는 세상, 들쥐 소변이 형광색으로 빛나네?
과학동아
l
2013년 09호
꿀을 찾을 수 있는 것이다. 꿀이 가득 들어 더 맛있는 꽃을 한 눈에 알아보는 벌과 나비는
곤충
계의 ‘장인’이다.어두운 바다속 밝혀주는 ‘반사판ʼ바다는 시각이 발달하기에 제약이 너무 많은 환경이다. 가시광선이 닿는 깊이는 수심 200m가 한계다. 게다가 파란 빛만 이 깊이까지 침투할 수 있어서 ... ...
흡혈파리에 팔을 내밀다
과학동아
l
2013년 09호
하고말라리아 모기의 흡혈장면 촬영이 이틀 먼저 진행됐다. 특별히 제작한 아크릴
곤충
상자(한쪽에 구멍을 뚫고 고무줄이 달린 토시를 연결해 옆으로 팔을 집어넣을 수 있음)에 내 팔을 집어넣자마자 모기들은 강한 흥미를 보이고 피를 빨기 시작했다. 하지만 접사촬영 렌즈를 통해 본 상황은 그리 ... ...
가을 바람 부르는 매미의 물리학 (마지막회)
과학동아
l
2013년 09호
필자(윤기상)가 점심시간에 산 밑에 있는 학교 뒤뜰을 산책할 때였다. 선생님 세 분이
곤충
소리를 들었다며 매미 소리인지 토론을 하고 있었다. 이미 가을이 한창이라 매미일 리 없다는 의견이 강했지만, 필자가 들어보니 매미 소리가 맞았다. 늦털매미다.털매미와 비슷하게 생겼지만 늦게 나온다고 ... ...
[life & Tech] 여름 햇살 뒤흔드는 매미의 물리학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대만, 일본 등에서도 볼 수 있다.김기경국립생물자원관 동물자원과 연구사로 재직하며
곤충
을 연구하고 있다. 한국자생생물 소리도감 발간도 총괄하고 있다.윤기상 대전 전민고등학교 과학(물리)교사. 물리학과 환경학을 공부하고 매미소음문제를 연구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2012년부터 지금까지 ... ...
Part 3. 바이러스는 어디서 왔는가?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큰 변화 없이 각자의 활동구역에서 벗어나지 않고 있다. 그런데 7억 년 전 등장한
곤충
이 식물과 척추동물 사이를 오가며 바이러스의 활동구역을 뒤섞기 시작했다.이처럼 활동구역이 뒤섞이자 바이러스의 진화가 복잡해지기 시작했다. 숙주가 자연선택을 받아 멸종하거나 진화하면서 ... ...
여름 햇살 뒤흔드는 매미의 물리학
과학동아
l
2013년 07호
방문해 직접 들어볼 수 있다. 김기경 │국립생물자원관 동물자원과 연구사로 재직하며
곤충
을 연구하고 있다. 한국자생생물 소리도감 발간도 총괄하고 있다.윤기상 │대전 전민고등학교 과학(물리)교사. 물리학과 환경학을 공부하고 매미소음문제를 연구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2012년부터 지금까지 ... ...
순간포착 세상에 이런 일이 수학하는 동물들이 나타났다!
수학동아
l
2013년 07호
모양의 흔적이 주기적으로 떨어져 나왔다. 대체 이런 흔적은 어떻게 생기는 걸까?새나
곤충
이 날기 시작하면 공기와 날개의 속도 차에 의해 날개 앞쪽과 뒤쪽 모서리에 각각 소용돌이가 생긴다. 이때 뒷부분에 생긴 소용돌이는 금세 떨어져나가지만, 앞날개에 생긴 소용돌이는 계속 유지된다.그런데 ... ...
3D프린터로 만드는 세계에서 가장 작은 배터리
과학동아
l
2013년 07호
능력, 에너지 밀도 모두 경쟁력이 있다”고 설명했다. 3D프린터로 만든 초소형 배터리는
곤충
을 모방한 초소형 로봇, 의료기기, 휴대기기에 쓰이게 될 전망이다.이번 연구결과는 ‘어드밴스드 머터리얼스’ 6월 8일자에 실렸다 ... ...
이전
60
61
62
63
64
65
66
67
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