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간"(으)로 총 6,007건 검색되었습니다.
- 세상에서 가장 신나는 어린이과학동아 10살 생일파티어린이과학동아 l201419
- 사람 몸의 비례와 비슷하게 머리, 상체, 하체로 이루어져 있어 저를 우리나라 최초의 인간형 로봇이라고 불렀지요.2014년 지금, 저는 재난 현장에서 구조 활동을 하기 위한 DRC 휴보로 태어났어요. 사람과 비슷한 겉모습을 과감하게 버리고 기능에 초점을 맞췄지요. 2004년의 휴보와 비교하면 독특한 ... ...
- TWINS 같은 듯 다른 존재? 쌍둥이어린이과학동아 l201418
- 같은 염기서열을 갖고 있기 때문이라고 추측하고 있어.복제 VS 쌍둥이일란성 쌍둥이는 ‘인간복제에 가장 가까운 존재’로 불린다. 그렇다면 둘 중 누가 더 똑같을까? 엄밀히 따지면 일란성 쌍둥이라고 말할 수 있다. 태어날 땐 둘 다 동일한 유전자를 갖고 있지만 자라면서 조금씩 변하는데 그 ... ...
- 공포의 에볼라바이러스 파헤치기어린이과학동아 l201417
- 에볼라바이러스에 감염된 숙주는 피를 쏟는다.라이벌 감기를 일으키는 라이노바이러스. 인간에게 유해한 바이러스들은 대개 DNA 없이 RNA만 갖고 있다. 돌연변이가 많아 치료제나 백신을 만들기 어렵다.숙주★ 바이러스나 세균에게 영양을 공급하는 생물. 취재파일 2 전염병이 퍼진 건 처음이 아니다 ... ...
- 드라큘라 백작이 알려 주는 피 이야기어린이과학동아 l201415
- 34%, O형 27%, B형 27%, AB형 12%이다. 모기는 어떤 피를 좋아할까?실제로 드라큘라인 나를 본 인간들은 없지만 아마 모기는 모두 보았을 거야. 특히 따뜻하고 습도가 높은 여름은 모기들이 아주 활발하게 피를 구하러 다니는 계절이지. 남들보다 유난히 모기에 많이 물린다면 지금부터 주목하시라! 내가 ... ...
- 달 연구 전문가 ‘지구가 더조아’어린이과학동아 l201414
- 시속 4만km 속도로 달을 향해 날았다. 지구에서 출발한 지 사흘째인 7월 20일, 드디어 인간은 최초로 달에 착륙했다….“캬~, 대단해! 그런데 뭐가 문제인 거죠?”미션1 달 착륙에 사용한 로켓은?“달 착륙이 거짓이라고 하는 사람이 많다네. 그러니까 썰렁홈즈가 똑같이 가서 확인해 보라는 거야 ... ...
- [생활] 상식을 뒤집어 생각을 전환하라! 무한의 발견 ∞수학동아 l201412
- 못했다. 자신의 책 에서는 아무 설명도 없이1/0을 무한이라고 썼다.당시 무한은 인간의 한계를 초월한 신의 영역으로 여겨지기도 했다. 무한을 분석하거나 규명하는 게 수학계의 금기로 여겨질 정도였다. 심지어 ‘수학의 황제’라 불리는 독일의 수학자 가우스조차 ‘무한이란 수학적으로 ... ...
- [life & tech] 운석 연구하면 ‘□’를 알 수 있다!과학동아 l201412
- 인간들이 나를 몰라보고, 소행성에서 온 운석으로 분류해놨지 뭐야! 다행히 1993년에 인간들이 내 고향을 밝혀냈어. 왜 처음부터 알지 못했냐고? 난 좀 독특한 몸이거든. 흔한 SNC운석과는 달라~! 나를 연구한 박사들이 그러는데, 암석의 특징이 SNC 중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대. 또 SNC운석은 보통 젊은데, ... ...
- [life & tech] ‘강철 멘탈’ 되는 법과학동아 l201412
- 해가 저물어가고 있다. 올해도 고군분투한 나와 주변 사람 모두 늘 실패를 겪는 평범한 인간이다. 내가 때때로 실수하고 다른 사람에게 상처 입히는 것처럼 주변 사람도 실수로 나에게 상처를 입힐 수 있다. 그때 웃으며 “괜찮습니다”라고 말할 수 있는 작은 너그러움을 가지자. 그러면 나도, ... ...
- [hot science] 천문학자가 본 ‘인터스텔라’ 중력은 차원을 넘나들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412
- 있는 이상 지구에서 사람이 살 수 있는 외계행성을 찾는 것은 불가능하다. 영화처럼 인간이 직접 가서 무엇이 있는지 확인한 뒤, 웜홀을 통해 정보를 보낼 수밖에 없다. 김 그룹장은 “케플러우주망원경이 발사된 뒤 외계행성이 7000~8000개나 발견됐지만 행성의 구성성분이 제대로 밝혀진 것은 10개가 ... ...
- [과학뉴스] 700km 상공에서도 보이는 인간의 흔적과학동아 l201412
- 국립공원으로 보존돼 온 지역이고, 옅은 녹색 부분은 한때 목초지로 개발됐던 지역이다. 인간이 본래 자연의 모습을 얼마나 바꾸고 있는지를 잘 드러내준다. 이 사진은 11월 12~19일 호주 시드니에서 열린 세계자연보전연맹이 주최한 ‘2014 세계공원회의’에서 공개됐다 ... ...
이전60616263646566676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