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코스모스
만물
스페이스
유니버스
공간
천지
외계
d라이브러리
"
우주
"(으)로 총 6,89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Ⅰ지구에 어떤 영향을 주나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태양은 점점 뜨거워질 것인가, 아니면 차질 것인가를 알아내려고 시도하고 있다.태양은
우주
안에서는 평범한 별에 불과하지만 지구와 비교해 보면 그 규모가 엄청나다. 지름이 86만5천마일이고, 수소(H₂) 72%, 헬륨(He) 27%로 구성된 고온의 기체덩어리인 것. 부피는 지구의 약 1백30만배, 질량은 33만 ... ...
PART Ⅱ 태양전지와 태양광 발전의 원리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다시 전기로 변환시켜 사용하게 된다.이와같이 태양광발전시스템은 낙도의 등대에서
우주
발전소까지 다양하게 응용이 되고 있다. 또 환경과 대기오염 등의 주범으로 우리의 건강에 위협을 주는 화석 및 원자력을 보완하는 대체에너지원으로 가장 각광을 받을 전망이다.미국의 솔라렉스사(Solarex Corp ... ...
가장 약한 파(波)―중력파 The Weakest Wave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물질의 재분포는 탐지하기에 충분한 큰 중력파를 만들어 낼 것이다. 이런 경우 검파기는
우주
의 이곳 저곳에서 발생하고 있을 정말 거대한 재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 정보는 우리가 다른 방법으로는 얻기 어려운 것이다.지난 1960년대에 매릴랜드대학의 과학자 '조셉웨버'는 중력파를 ... ...
PART Ⅱ 태양의 8대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무엇보다 관측된 태양상을 일렁거리게 하는 지구대기를 뛰어 넘어야 하기 때문이다.
우주
에서는 태양대기를 조사하는데 이상적은 관측조건이 형성되기 때문에 미세한 운동까지도 확실히 관측할 수 있다.또 다른 이유는 날씨나 밤낮에 관계없이 항상 계속된 관측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 ...
컴퓨터를 이용한 교육(CAI)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공정 과정을 그려내게 한다. 물리시간에는 인력이나 추진력을 실험하기 위해 로켓을
우주
에 쏘아올려 볼 수도 있고(NEWTON 프로그램), 핵분열과정도 묘사해 볼 수 있다(RADACT 프로그램).이같은 학습 경험은 컴퓨터의 도움 없이는 교실 내에서는 거의 불가능한 것이다. 많은 학자들이 교육용 ... ...
일본의 새로운 목표─항공산업육성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하고 있다.일본은 80년대 들어 미국의 스페이스 셔틀제작에 참여하고 자체 로켓이나
우주
선을 만드는 등 상당한 진전을 보이고 있는데 여객기 생산기술도 미국과의 격차를 많이 좁힌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 ...
찾아낸다면 엄청남 기술적·경제적 이익 얻어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우주
개발에 소요될 예산중 수십억달러를 절약시켜주게 될 것이다.미국에서는 순수 민간
우주
연구단체에서 이 사업을 적극 홍보하고 있다. NASA도 별도의 방계기구를 만들어 준비하고 나름대로 홍보작업을 하고 있다.그러나 NASA는 정부기구이기 때문에 대 국민, 대정부 설득 작업에는 순수 민간단체가 ... ...
과거보다 10배나 선명한 금성사진 찍을듯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전문가들은 말한다.지구와는 어떻게 다른가미국의 ‘마리너’, 소련의 ‘베네라’
우주
선을 통해 밝혀진 금성의 정체는 대기가 지구것에 비해 훨씬 두텁고(밀도높다는 것) 대부분 이산화탄소로 구성돼 있으며 요즘 지구에서 환경오염으로 늘고 있는 아황산가스의 작은 물방울로된 높은 구름층을 ... ...
국내에 암약하는 바이러스 프로그램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프로그램의 존재가 알려진 것은 1987년 9월에 서독의 CCC(Chaos Computer Club)이 NASA(미 항공
우주
국)의 ‘Space Physics Analysis Network’에 침입하여 1개 이상의 바이러스 프로그램을 남겨두었다고 발표하면서 부터였다. 그러나 이것은 파괴적인 행동을 하기 전에 제거되었기 때문에 별 문제는 일으키지 않 ...
소행성의 근접신호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게재되었다.이 글에서 나는 지구에 다가올지 모를 몇피트 이상 크기의 물체를 감시할
우주
초소의 설립을(설립할 능력이 있을 때) 제창했다. 지구에 접근하는 물체는 궤도에 장치한 수소폭탄이나 또는 이보다 개선된 다른 무기로 폭발시킬 수 있을 것이다.(이런 것은 적의 미사일에 대응하는 것이 ... ...
이전
645
646
647
648
649
650
651
652
6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