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d라이브러리
"
발표
"(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2030년 미래는 어떤 모습일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6호
과학기술 예측조사와 공모전으로 접수된 가상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2030년 미래의 모습을
발표
했어요.시나리오는 2008년 식물인간이 된 사람이 2030년에 깨어나면서 겪는 미래의 모습을 보여 주고 있어요. 거리에는 석유 대신 수소연료전지 자동차가 다니고, 사람들은 자기가 있는 곳을 중심으로 ... ...
중국의 주요 지진 발생 지역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의 내형(內型)과 하악골(下顎骨) · 이 · 사지골(四肢骨)의 연구를 차례로 정리하여
발표
했다 바이러스 감염으로 발병하는 구내염 단순포진(單純泡疹) · 대상(帶狀)포진 · 구제역(口歸疫) 등의 아프타성(性) 구내염이 대표적이다이 밖에 마진 · 풍진 · 수두 · 헤르팡기나 등에서도 나타난다 ... ...
조류인플루엔자 10문10답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AI가 한국에 토착화돼 풍토병이 되는 것은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정부의
발표
에 따르면 이번에 발발한 AI바이러스가 인체에 토착화할 가능성은 없어 보인다. 인체토착화는 전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AI가 연중 발생해 인체 감염 위험이 높고, 생조류와 오리류에 AI바이러스 감염이 만연한 ... ...
'신의 물방울' 빚은 주인공 흙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2000년 논 58곳에서 수확한 쌀의 유기물 함량을 조사해 2007년 ‘한국토양비료학회지’에
발표
했다. 그는 “밥을 지었을 때 맛있는 쌀일수록 단백질 함량이 낮고 탄수화물인 아밀로오스 함량이 높았다”고 설명했다.포도도 질소가 많은 땅에서 자라면 맛이 떨어진다. 김승희 박사는 “토양에서 질소를 ... ...
생각대로 되는 모자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개발해 미국 전기전자학회(IEEE)가 발간하는 학술지인 ‘생물의공학회보’ 5월호에
발표
했다.코 박사팀은 일상생활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뇌-컴퓨터 접속’(BCI) 기술을 모자에 적용했다.모자 안의 이마와 왼쪽 귀 부근에는 총 6개의 전극이 있다. 이 전극에서 측정된 뇌파는 외부에 설치된 ... ...
'탄소 배출 제로 도시' 생긴다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원)를 들여 아부다비 인근에 ‘탄소 배출 제로 도시’를 건설하는 ‘마스다르 구상’을
발표
했다고 ‘테크놀로지리뷰’ 5월 8일자 온라인판이 보도했다.도시는 약 7㎢ 넓이로 주민 약 5만 명이 거주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박막 태양전지를 지붕과 벽의 소재로 사용해 건물에 필요한 에너지를 ... ...
생물 다양성의 감소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1901년 독일 의사 G 켈링이 광학렌즈를 부착한 내시경으로 개의 복강을 관찰하여 학회에
발표
했고 10년에는 스웨덴 외과의사 H C 야코베우스가 복수 환자의 진단에 복강경을 사용한 후 점차 임상적으로 보급되었다복강경 검사는 복강경을 복강에 삽입하기 전에 먼저 기복(氣腹)을 한다 계자(界磁)코일 ... ...
PART1 터키 행진곡은 붉은색!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시각의 연합을 경험했던 칸딘스키는 청각 이미지를 시각화한 연작 시리즈 ‘구성’을
발표
했다. ‘파인만 다이어그램’ 같이 복잡한 개념을 시각화하는 데 탁월했던 파인만은 “베셀 방정식을 보면 ‘j’는 황갈색, ‘n’은 남보라, ‘x’는 고동색으로 보인다”며 “도대체 학생들한테는 어떻게 ... ...
PART1 인간광우병 환자 프리온이 MM형인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프로테아좀의 작용을 방해한 결과라는 연구결과를 2007년 4월 27일자 ‘몰리큘러 셀’에
발표
했다. 세포는 소포체에서 만들어진 단백질 가운데 잘못된 것을 제거하기 위해 단백질분해효소 복합체인 프로테아좀을 갖고 있다. 저자들은 “프로테아좀은 잘못 접히거나 손상을 입은 단백질을 찾아내 ... ...
뒤엉킨 전선 안녕, 와이트리시티 탄생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상용화가 가능할 것으로 보이는 무선기술을 구현하는데 성공했다고 ‘사이언스’에
발표
했다. 다만 테슬라처럼 먼 거리를 전송하는 대신 핸드폰, PDA, 노트북 같은 휴대용 기기가 충전될 수 있는 적당한 범위에서 무선으로 전력을 보내는 것이다.솔야치 교수는 처음에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 ...
이전
645
646
647
648
649
650
651
652
6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