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시
같은시기
동기
d라이브러리
"
같은시간
"(으)로 총 9,560건 검색되었습니다.
Ⅱ 놓치면 후회하는 관전포인트 7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오는 5월 31일 서울 상암경기장에서 열리는 개막전을 시작으로 한달여 동안 펼쳐지는지구촌 축제인 월드컵에 전세계인들의 눈과 귀가 집중된다. 빅게임은 물론 매 경기마다 어떤 점에 주목해야 할까. 놓치면 후회하는 관전포인트 7가지를 과학으로 짚어본다.1 홈그라운드 이점 사실인가붉은 악마 응 ... ...
깃털공룡이 말하는 조류 진화의 비밀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흔히 새의 조상은 시조새라고 알려져 있다. 시조새 화석에서는 다른 공룡에게서 찾아볼 수 없는‘깃털’이 발견된다는 점이 이를 뒷받침하는 매우 강력한 증거였다. 하지만 최근 하늘을 날지 못하는 깃털달린 공룡화석이 출토돼 기존 학설의 수정이 불가피해졌다.2002년 중국 요동성의 한 채석장에 ... ...
빛과 전자가 만난 퓨전학문 광전자학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현재의 전자컴퓨터 속 반도체 칩은 전자의 흐름을 통제함으로써 정보를 전달하고 처리한다. 만약 전자 대신 빛을 사용한다면 어떻게 될까. 정보는 엄청난 광속으로 달릴 것이다. 차세대 광컴퓨터가 꿈꾸는 그림이다. 이를 위한 학문이‘광전자학’이다.지난해 가을 인텔은 펜티엄4 프로세서를 발표 ... ...
1. 공중에 떠다니는 초고속열차 시대 개막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시속 5백km 이상의 속력으로 공중에 떠서 주행하는 초고속열차를 타고 여행하게 될 날이 멀지 않았다. 초전도 응용기술 덕분이다. 초전도 현상이란 무엇이며, 그 연구는 현재 어디까지 와 있을까. 2020년 어느 날, 가정주부 K씨는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거실 벽에 붙어있는 디지털전력계를 체크했다. ... ...
Ⅳ 컴퓨터에서 펼쳐지는 가상 월드컵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2002 한일 월드컵에 우리나라가 월드컵 첫승뿐 아니라 16강 진출에 성공하기를 온 국민이 염원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나라가 정말 16강에 진출할지 궁금하지 않을 수 없다. 축구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사이버 월드컵을 통해 그 가능성을 가늠해보자.2002년 6월 4일 부산 월드컵경기장. 우리나라 대표팀이 ... ...
티라노사우루스 느림보인가 아닌가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티라노사우루스가 정말 느림보였을까. 다른 공룡들의 달리거나 걷는 속도는 얼마나 될까. 가장 빠른 공룡은 어떤 종류고 어느 정도로 빠를까. 가장 느린 공룡은 무엇일까. 티라노사우루스에 대한 최신연구를 중심으로 공룡이 걷거나 달리는 움직임을 살펴보자. ‘공룡’하면 제일 먼저 떠오르는 ... ...
기자가 만난 우리의 빛 전문가들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2-3년 전부터 심심찮게 들려오는 빛에 대한 최신 연구들은 상당히 흥미롭게 느껴졌다. 하지만 당시 해외저널에 발표된 원문들을 살펴봐도 쉽게 이해되지 않는 내용이다.스페셜 리포트 코너를 기회삼아 이 분야와 관련된 국내 전문가들을 물색했다. 생각보다 국내에 느림보 빛을 연구하는 전문가가 ... ...
엑스터시 전쟁 최전선을 가다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신종 마약인 엑스터시가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그동안 엑스터시 복용여부를 밝히기 어려웠던 것이 사실이다. 그런데 최근 새로운 모발 검사기법이 개발돼 엑스터시 전쟁의 최전선에 배치됐다. 그 활약상을 살펴보자.요즘 연예인들이 신종 마약 ‘엑스터시’를 복용한 사건으로 떠들썩하다. 벌써 ... ...
미지의 화합물 저축해 무한가치 창출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화합물은행에 맡기세요. 막대한 부가가치를 창출해 드립니다.”국내에서는 매년 1만-1만2천개의 새로운 화합물이 합성되고 있다. 그러나 이 화합물은 아직도 고전적인 신물질개발 방식에 따라 한가지 약효를 목적으로 한 약효검색을 거친다. 검색 후 약효가 검색되지 않은 화합물은 방치되거나 ... ...
1. 이공계 기피 원인 지표 뒤집기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최근 이공계 문제에 대한 언론 보도와 사회 분위기가 오히려 이공계 기피를 더욱 부채질하는 결과를 가져오는 듯하다. 한 국가의 장래를 결정한다는 과학기술, 그 선봉에 서있는 이공계의 현 좌표는 어디쯤일까. 이공계는 과연 기피해야 할만큼 비전 없는 분야일까.최근 언론과 인터넷 게시판을 뜨 ... ...
이전
645
646
647
648
649
650
651
652
6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