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최대량
최고
뉴스
"
최대
"(으)로 총 7,128건 검색되었습니다.
자기 혼자 걸어와 침대 앞에 딱~ ‘아이언맨 슈트’ 개발
2015.05.06
현재 로봇의 자율 보행 기능과 인체 착용 기능을 완성했으며, 앞으로 안정성을 높여
최대
체중 80kg의 사람이 입고 시속 2km의 속도로 움직일 수 있도록 만들 계획이다. 또 카메라로 주변을 인식하고 판단하는 시각 처리 기술도 추가로 도입할 계획이다. 조 교수는 “무게 30㎏의 쿠엑스는 여러 대의 ... ...
수성 탐사선 ‘메신저’여 편히 잠드소서!
2015.05.04
위해 극단적인 타원궤도를 택했다. - 위키피디아 제공 참고로 수성의 표면 온도는
최대
430도로 새우를 튀길 때 기름의 온도보다도 훨씬 높다. 반면 태양을 등질 때(밤)는 온도가 급감해 영하 170도에 이른다. 즉 한 지역의 일교차가 600도나 나는 셈이다. 그 이유는 두 가지인데 자전속도가 매우 ... ...
한반도 거대 도마뱀 화석 발견 ‘몸길이 2m’…공룡알 먹으며 서식
동아닷컴
l
2015.05.04
에반스 교수 공동연구팀이 몸길이 2m 이상의 거대한 도마뱀 화석을 확인했다. 이는 세계
최대
중생대 도마뱀이자 한반도 거대 도마뱀 화석 발견이다. 발견된 한반도 거대 도마뱀 화석은 왼쪽 두개골 일부와 어깨, 손뼈 등 10개의 파편 분석을 통해 확인됐다. 학명은 2000년 보성 비봉리에서 발견된 것을 ... ...
“철제 솥 찾아라” 명령 받은 크랩스터, 2시간 만에 임무 완수
동아일보
l
2015.04.30
수중로봇연구실장은 “다리를 한꺼번에 움직여 보행 속도를 높이면
최대
초속 0.25m로 이동할 수 있다”며 “물속에서 헤엄을 치는 것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크랩스터는 다른 실험을 함께 수행하면서 2시간 만에 철제 솥을 찾아냈다. ○ ‘바다의 경주’ 태안 마도 해역 해저로봇 실험장이 있는 ... ...
‘멍~ 때리는 동물?’ 파충류는 억울해
과학동아
l
2015.04.29
몸집이다. 장수거북은 바다거북의 일종으로 등딱지 길이가 약 2m 정도이며 몸무게는
최대
700kg인 헤비급 파충류다. 몸집이 워낙 크다 보니 외부로부터 받은 열에너지가 몸 안에 축적돼 마치 항온동물처럼 체온을 유지시킨다. 이렇게 외온성 변온동물이 몸집으로 체온을 유지시키는 성질을 ... ...
남쪽바다에 뜬 은하수 파노라마
과학동아
l
2015.04.29
곡선주로에서 안전거울에 반사된 은하수를 담았다. 35mm 렌즈를
최대
한 개방하고 ISO를
최대
허용치까지 올린 뒤 촬영했다. 니콘 D700, 노출 8초. 동상(지구와우주 부문) | 윤순조 | 불새 모양의 오로라 폭풍 한국천문연구원 제공 오로라를 보기에 최고의 장소인 캐나다 옐로나이프에서도 강렬한 ... ...
체지방 빨리 없애는 법, 4분 운동으로 1시간 운동 효과? ‘다바타 운동법’ 뭐길래…
동아닷컴
l
2015.04.29
운동을 한다고 인식해 칼로리를 계속 소모하게 된다고 한다. 다바타 운동법은 그 효과가
최대
12시간까지 지속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짧은 운동을 마치고도 긴 시간 운동한 것처럼 칼로리 소모량을 늘리게 돼 체지방 빨리 없애는 법으로 제격이다. 다바타 운동이 체지방을 빨리 없애는데 효과적인 ... ...
[청년드림]“1억원대 인공손, 수십만원에 제작”
동아일보
l
2015.04.29
이는 기존 의료 산업을 한 단계 성장시킬 것이라는 데 의견을 모았다. 가령 현재
최대
1억 원을 호가하는 전자의수를 ABS플라스틱 등의 소재를 이용해 3D프린터로 제작하면 불과 수십만 원에 환자 맞춤형 제품을 제작할 수 있다. 3D프린팅 기술을 암 수술에 활용해 수술의 성공 가능성을 높이는 사례도 ... ...
전기로 빛 출력 조절하는 그래핀-광섬유 소자 개발
2015.04.28
결과 빛이 광섬유를 따라 진행하는 동안 그래핀과 상호작용하면서 빛의 흡수율을
최대
90%까지 조절할 수 있었다. 소자에 흐르는 전류를 조절해서 광섬유를 통과해 출력되는 빛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염 교수는 “전기를 이용해 광섬유에서 나오는 빛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 ... ...
빛 파장이 일주리듬 조율한다
2015.04.27
498나노미터이고 색을 보는 원뿔세포에서 발현하는 아이오돕신은 세 종류가 있는데 각각
최대
흡수 파장이 420, 534, 564나노미터다. 최근 발표된 동물실험 결과를 보면 파란색에 민감한 빛수용체가 있는 원뿔세포가 일주리듬에 관여할 가능성이 있다. - 위키피디아 제공 동물은 왜 일주리듬을 ... ...
이전
644
645
646
647
648
649
650
651
6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