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한민국
코리아
korea
대한
남한
Korea
대한 민국
d라이브러리
"
한국
"(으)로 총 9,740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자가 직접 그리는 만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6호
목성의 지름은 지구의 지름보다 10배 이상 크고 표면은 액체와 기체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리고 목성은 약 10시간에 한 번 자전한답니다. 그래서 목성은 공 모양이 아니라 타원 모양으로 찌그러져 있고 줄무늬도 뚜렷합니다. 그리고 대적반이라고 하는, 지구보다 훨씬 큰 점이 있는데 이것은 일종 ... ...
모든 사람에게 열려 있는 문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6호
우리
한국
인의 문자인 한글. 한글은 조선 세종대왕이 1446년 세상에 반포한 이후, 누구나 글을 쉽게 읽고 쓰게 만들어 준 우리나라의 자랑스러운 기록 유산입니다. 그 과학성과 우수성을 인정받아 훈민정음은 1997년 유네스코의 세계기록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으며, 유네스코에서는 문맹 퇴치에 힘쓴 ... ...
'내 사랑 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6호
로봇박물관에서 특히 눈길이 가는 곳은 자녀의 손을 잡고 온 부모들의 향수를 자극하는
한국
과 일본 로봇관. 그 옛날 흑백 텔레비전에서 보았던 아톰부터 마징가, 로봇 태권V, 그랜다이저 등 어린 시절 가슴을 설레게 했던 로봇들을 만날 수 있다. 어린 시절 그렇게 좋아했던 로봇에 대해 자녀에게 ... ...
과학자가 직접 그리는 만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5호
우리 지구는 생명의 낙원입니다. 대부분 물로 이루어져 있고 공기도 풍부하기 때문입니다. 특히 그림에서처럼 우주 밖에서 태평양 부분을 보면 육지는 거의 보이지 않고 바다만 보인답니다. 공기는 지구 밖 우주공간으로부터 들어오는 우리 몸에 해로운 자외선이나 엑스선 같은 빛도 대부분 차단해 ... ...
'요철 발명왕과 떠나는 자동차 과학의 세계'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4호
친구들. 나는 1970년대
한국
발명계를 주름잡았던 요철이야. 옆에 있는 착하게 생긴 친구는 내 조수 맹물이지. ‘어린이과학동아’친구들의 부모님들은 우리가 무척이나 친근할 거야. 바로 우리와 동갑내기거든. 그런데 갑자기 2005년에는 웬일이냐고? 그게 말이야. 내가 맹물이와 만들고 있던 ... ...
과학자가 직접 그리는 만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4호
천체망원경으로 보면 토성의 고리는 매우 아름답습니다. 지구에서 보면 고리가 두 개처럼 보이고 그 사이에 까만 틈이 있답니다. 이 틈은 이탈리아의 천문학자 카시니가 발견했습니다. 최근 토성 탐사선의 이름을 카시니라고 지은 것도 바로 이 때문입니다. 토성의 고리는 실제로는 두 개가 아니라 ... ...
현대 과학으로도 풀 수 없는 신비한 ‘소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3호
잡음을 없애 주는 ‘음관’그리고 종소리를 오랫동안 남게 해 주는 ‘음통’은 오로지
한국
종에서만 볼 수 있는 특별한 기술이라고 합니다.우리가 옛날 것으로만 알고 관심이 없었던 전통과학의 세계. 앞으로 오렌지동이와 함께 하나 하나씩 탐험해 보자고요 ... ...
과학자가 직접 그리는 만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3호
이 만화를 보고 주의해야 할 점이 있습니다. 말이 달리면 말꼬리는 뒤쪽으로 뻗지만 혜성의 경우는 그렇지 않다는 사실입니다. 혜성의 꼬리는 언제나 혜성의 운동방향 반대편으로 뻗는 것이 아닙니다. 혜성의 꼬리는 항상 해의 방향 반대쪽으로 뻗는답니다. 이것은 혜성의 꼬리를 이루는 물질들이 ... ...
동화처럼 읽는 이상한 나라의 아인슈타인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3호
했지. 우린 같은 목표를 가지고 있었던 거야. 결국
한국
에 가지는 못했지만 나는
한국
과 일본이 서로 미워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했단다. 평화를 지키는 것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된다면 나는 당당하게 내 목소리를 낼 각오가 되어 있었지.발명은나의 친구저는 발명에 관심이 많은데 박사님이 직접 ... ...
1. 과학은 주가도 춤추게 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어떻게 투자하는 게 최적인지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주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한국
과학기술원(KAIST) 테크노경영대학원 경제·경영예측연구실의 차경천 박사도 주가 예측이 가능하냐는 질문에 선뜻 확답을 않는다.“과학적 예측에는 모델이 필요해요. 예를 들어 특정 지역 사람들이 얼마나 ... ...
이전
643
644
645
646
647
648
649
650
6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