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1. 인간을 이해하고 인간에 봉사하는 컴퓨터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개념이 다른 입는 컴퓨터도 시도되고 있다. 인공지능의 아버지로 불리는 이 마빈 민스키
박사
는 지능 옷(smart clothes)이라 불리는 또 다른 방향의 입는 컴퓨터를 연구하고 있다. 앞의 것이 입는 '컴퓨터' 라면 이는 '입는' 컴퓨터다.'입는'컴퓨터는 그 자체가 컴퓨터이자 옷이다. 옷이 가진 일반적인 ... ...
타이태닉호 침몰 그 이후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가라앉지 않는 배’ 별명으로 불렸다.타이태닉호의 침몰 위치를 찾아낸 로버드 발라드
박사
는 챌린저호가 발사되기 1달 전 “나사와 타이태닉호를 만든 사람들은 대단히 비슷하다. 인간은 새로운 기술의 장을 정복하고 나면, 스스로를 지나치게 믿는 경향이 있다”고 말한 바 있다. 그러나 그의 ... ...
2. 다이어트 섬유소·단백질·시트로산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감소하지 않을까. 그러나 렙틴을 사람에게 사용하기에는 아직 한계가 있다. 프리드만
박사
가 쥐에서 발견한 유전자가 사람의 경우 비만에 관여하지 않을 수 있다는 반론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최근의 연구에 따르면 비만증은 한가지 유전자가 아니라 여러 가지 유전자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 ...
환경에 예민한 해초의 번식전략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100% 결합에 성공했다.그렇다면 그들은 어떻게 바다의 상태를 인식할 수 있을까. 피어슨
박사
는 이에 대해 다음과 같이 해석했다. “물이 잠잠해지면 광합성에 꼭 필요한 이산화탄소가 제대로 공급되지 않는다. 이렇게 되면 광합성 속도가 느려질 수밖에 없다. 이것이 신호가 되어 배우자를 방출하는 ... ...
애즈택 여왕개미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이미 다른 연구 과제로
박사
학위 논문을 시작한 지라 우리의 공동연구는 훗날 댄의
박사
학위 논문이 됐다. 댄은 이 연구를 위해 아내와 함께 1년이 넘도록 몬테베르데에서 살면서 연구에 전념했다.재미 뒤에 숨겨진 무용담다른 학문도 그렇지만 특히 동물행동학의 경우 남이 다 해놓은 연구 결과를 ... ...
심해유물 어떻게 찾나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아르고는 얼마 후 작은 뱃조각을 발견하자 2장의 사진을 찍어 전송했다. 이를 본 발라드
박사
는 호기심과 더불어 많은 갈등을 했을 것이라고 짐작된다. 왜냐하면 아르고가 뱃조각을 발견한 곳은 생쥐를 3대의 자동차가 누르는 것과 같은 수압이 작용하는 곳이었기 때문이다. 결국 앨빈을 믿고 바닷속 ... ...
소행성들, 가니메데 무차별 폭격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대개는 퍼즐 맞추기 조각들처럼 요철이 잘 들어 맞는다. 아리조나 주립대의 R. 그릴리
박사
는 에우로파 얼음층 아래에는 약간 녹아서 미끄러운 얼음이 있거나 극단적으로 물이 있을 수도 있다고 예견한다. 이러한 추론은 또다시 생명체에 관한 가능성을 조심스럽게 부추키고 있다.NASA의 골딘 국장은 ... ...
3. 중국대학 4인방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충격이었다. 북경대학의 부총장은 12명. 최연소 민유방 부총장은 스탠포드 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받고, 텍사스대 교수, 세계은행 고문 등을 지내다 88년에 귀국했다. 민부총장은 자신이 젊은 나이에 부총장이 될 수 있었던 이유로 “21세기 새로운 세계사의 조류에 익숙하면서도 민첩하게 중국 상황에 ... ...
한라산 나비
과학동아
l
1996년 09호
어느덧 10년째를 맞이했다. 10년 전의 출발지가 바로 제주도였다. 또 제주도는 ‘나비
박사
’ 석주명선생이 나비를 관찰했던 곳이다. 우리나라 나비들은 매우 아름다운 이름들을 가지고 있는데, 이 이름들을 대부분 석주명선생이 지었다고 한다. 그러므로 이번 탐사는 나비 연구의 중심지역에서 ... ...
2. 40억년 전 비밀 캐는 끝없는 논쟁 생명의 기원
과학동아
l
1996년 09호
찼을 것이라 생각했다.이들의 가설은 1950년대 초에 실험적으로 증명됐다. 시카고 대학
박사
과정에 다니던 밀러는 유레이교수의 지도를 받으면서 원시 지구에서 있던 화학반응의 정체를 밝혔다. 밀러는 바닥에 놓인 플라스크에 인공적인 원시 바다를 만든 후 플라스크를 가열했다(그림 2). 이때 ... ...
이전
643
644
645
646
647
648
649
650
6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