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뉴스
"
미국
"(으)로 총 24,496건 검색되었습니다.
[인포그래픽] 오미크론 확산에 따른 코로나19 진단검사 이렇게 바뀐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1.27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확산 속 '우려반 기대반' "코로나19 풍토병으로 바뀌고 있다"
미국
·유럽서 낙관론 '솔솔' 미·EU 오미크론 변이 확산으로 결근자 급증…사회경제적 피해 확대 WHO "오미크론 확산 너무 빨라…토착화는 아직 섣부른 낙관" [코로나 생존, 끝나지 않은 굴레]① 감염자 3명 중 1명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생물의 이름에 남겨진 보통과학자의 기억
2022.01.27
타의 반으로 포기하고 바이러스학을 전공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박사후연구원으로
미국
에서 초파리의 행동유전학을 연구했다. 초파리 수컷의 교미시간이 환경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를 신경회로의 관점에서 연구하고 있다. 모두가 무시하는 이 기초연구가 인간의 시간인지를 이해하는데 ... ...
로봇외과의, 혼자서 붙이고 꿰맸다…돼지 장문합 복강경 수술 첫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2.01.27
얼마나 정밀하게 하느냐가 수술의 성공 여부를 결정짓는다. STAR는 연구팀이 피터 김
미국
브라운대 교수팀과 공동개발했다. STAR는 2016년 돼지 내장 수술에 성공했으나 당시에는 복강경 대신 개복이 필요했고 인간의 안내도 어느 정도 필요했다. 이번에 STAR에는 수술 영역을 정확하게 시각화할 수 ... ...
美CES서 한국 역대 최다 혁신상 받았지만…AI·로봇 부문 '약세'
연합뉴스
l
2022.01.27
혁신상 수상이 부족했다고 27일 밝혔다. 2018년과 2022년 CES의 국가별 참가 기업을 보면
미국
은 1천744개에서 1천300개로, 중국은 1천551개에서 159개로 각각 감소했다. 일본은 49개에서 100개로, 한국은 217개에서 502개로 증가했다. 한미일 참가기업의 절반은 스타트업으로 구성됐다. 한국은 CES 혁신상 ... ...
[의학바이오게시판] 서울아산병원 정영화 교수 '김 박사의 공감진료 스토리' 출판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1.27
이끌어왔다. 국내 보건의료정책 관련 전문가로서 한국글로벌의약산업협회(KRPIA)와 주한
미국
상공회의소(AMCHAM) 헬스케어 정책위원회 공동위원장을 맡기도 했다. ■ 한국파스퇴르연구소는 코트디부아르 국립혈액원과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생물자원의 공유와 활용을 통한 감염병 연구역량 강화를 ... ...
지금까지 알려진 오미크론 변이의 세 가지 특성
동아사이언스
l
2022.01.27
다만 백신 추가접종 시 오미크론 예방 효과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미국
워싱턴대 연구팀인 국제학술지 ‘셀’ 21일자에 발표한 연구결과에 따르면,델타 변이와 오미크론에 대응하는 중화항체가 백신을 세 번 접종한 사람들이 두 번 접종했거나 또는 접종을 하지 않은 사람들과 비교해 ... ...
개구리 팔다리 재생하는 '마법의 젤'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1.27
조직도 재생되고 몇 개월 뒤엔 물 속에서 헤엄도 칠 정도로 회복한 것으로 확인됐다.
미국
하버드대 비스연구소 마이클 레빈 교수(터프츠대 생물학과 교수) 연구팀은 피부조직을 보호하면서 재생효과가 있는 물질인 '바이오돔'을 개발해 사지가 잘린 개구리의 조직을 재생하는데 성공했다고 ... ...
바다에서 겪은 신비한 체험
팝뉴스
l
2022.01.26
제공 한
미국
의 인터넷 커뮤니티에 공개되어 주목을 받은 사진이다. 바다에서 카약을 타며 즐기던 남자가 신비한 체험을 하는 장면이다. 하얀 고래 10마리 정도가 떼를 지어서 남자를 좇았다. 마치 장난을 치듯이 카누를 따라왔다고 한다. 바다에서 하얗고 귀여운 생명체가 갑자기 ... ...
전문가들 "오미크론 우세화와 긴장감 완화 맞물려 1만명대"
동아사이언스
l
2022.01.26
오미크론 변이가 코로나19 대유행의 끝으로 가는 신호탄이라고 기대하기도 한다.
미국
과 유럽 등에서는 올 3월에 신규 확진자 수 최고 정점을 찍고 급감한 뒤 올해 말 계절성으로 재출현할 가능성을 제기했다. 이혁민 교수는 "이후에 새로운 변이가 나오지 않는다면 오미크론 변이 유행 후 엔데믹을 ... ...
자율주행 로봇 활성화 속도낸다…내년부터 보도 통행 허용 추진
연합뉴스
l
2022.01.26
허용된 일부 보도·공원·승강기에서 12건의 실증이 진행되고 있는 정도다. 그러나
미국
에서 현재 20개 주에서 자율주행 로봇 서비스가 허용되고 있고, 일본에서는 올해 안에 도로교통법 등 관련 법령 개정을 추진하는 등 각국이 도입에 속도를 내는 상황이어서 우리나라의 법령 정비 속도가 ... ...
이전
641
642
643
644
645
646
647
648
6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