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옛일
과거사
기왕지사
jinan
d라이브러리
"
지난
"(으)로 총 9,141건 검색되었습니다.
님다 바이러스 비상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지난
9월 18일 발생한 님다 바이러스가 수시간만에 네트워크를 타고 전세계의 컴퓨터에 침투했다. 이 바이러스는 미국에서 처음 발견된 이후 하루만에 13만대의 PC와 서버를 감염시켰으며, 국내에서도 19일 오전에만 수백건의 감염 사례가 발생했다.님다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즉각적인 폐해가 ... ...
로봇 이용 대륙간 원격수술 성공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세계 어느 곳에 있는 환자라도 세계 최고 의료진의 수술을 받게 됐다”고 말했다.
지난
6월 미국 존스홉킨스대 의료진이 이탈리아 로마에 있는 환자들을 원격수술한 적이 있지만 당시는 부분적인 수술에 그쳤다 ... ...
① 철통 경계 미국 본토가 뚫린 이유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이때는 이미 아메리칸항공(AA) 11편이 세계무역센터 북쪽건물에 충돌한지 7분이
지난
때. 또 오전 9시 5분 유나이티드항공(UA) 175편이 세계무역센터 남쪽건물에 충돌할 때 이들 전투기는 뉴욕 상공까지 8분이 걸리는 거리에 있어 손을 쓸 수 없었다.워싱턴의 펜타곤 테러도 비슷한 상황이었다. 오전 9시 ... ...
2 활용 : ② 탄소나노튜브와 원자현미경의 찰떡궁합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쓰는 전자소자의 크기는 단지 몇개의 원자크기로, 즉 나노미터(1nm=${10}^{-9}$m)로 줄어들어,
지난
세기를 주름잡았던 마이크론 디바이스는 나노 디바이스에 지위를 넘겨줄 것으로 예측된다.그러나 디바이스의 최소 소자 크기가 광학적 한계인 수백nm 이하가 되면 기존의 반도체공정의 광학적 방법은 ... ...
화려한 변신 컬러 휴대폰의 미래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그리고 VOD·AOD 서비스까지 완벽하게 가능해지고 상용화되기에는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야 가능할 것이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데이터 전송속도 문제부터 짚어보자. 모바일게임, 멀티미디어메시지서비스, VOD·AOD 서비스들은 포워드 링크(기지국에서 휴대폰까지의 경로)의 데이터 전송속도가 ... ...
미국 인간 배아줄기세포 지원 의미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가운데 정부는 최근 줄기세포에 대한 연구지원을 확대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지난
6월 보건복지부는 중문의대 정형민 교수팀의 ‘줄기세포 분화를 통한 세포대체요법의 확립과 인공장기의 개발’ 연구과제에 대해 연간 3억원씩 4년간 총 12억원을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정 교수는 이번 연구과제 ... ...
가을밤에 만나는 밤하늘의 기준점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현재 화성은 망원경 상에서 약간 찌그러진 원반 모습으로 크기는 가장 크게 보였던
지난
6월의 절반 정도에 불과하다. 현재 겉보기지름은 11″이며 밝기는 0등급대다. 망원경으로 보면 이미 한쪽이 일그러진 모습이 나타난다. 화성의 표면을 보기엔 이미 늦어버린 시간이지만 맨눈으로 다른 별자리와 ... ...
역사 속 과학자들의 기괴한 행동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하더라도,지금 우리의 상식을 벗어난 사람도 많다.현재 과학문명을 이룩하기까지 노력한
지난
시대의 엽기과학자들을 만나보자.에라토스테네스(기원전 276년경-194년경)는 처음으로 지구의 둘레를 계산해 유명한 그리스의 천문학자다. 그는 이 연구를 위해 이집트의 알렉산드리아와 시에네라는 ... ...
③ 생체실험 그만, 디지털 가상세포 맹활약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질병을 유발하는 원인 단백질·유전자를 발굴하는 일이 가능해진다.필자의 연구실에서는
지난
5월 바이오인포매틱스(주)와 함께 맨하이미아균에 대한 가상세포의 초기형태를 만드는데 성공했다. 맨하이미아균은 소의 반추위(되새김질하는 위)에서 발견한 신종 발효균으로, 식품첨가물과 공업용 ... ...
전기의자로 촉발된 직류 · 교류 전쟁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발명왕’이다. 에디슨의 공헌은 1998년 미국의 시사 월간지 ‘라이프’지가 선정한 ‘
지난
1천년의 세계사를 만든 1백대 인물’ 중에서 1위를 차지했다는 점으로 알 수 있다. 이렇게 인류에게 커다란 공헌을 한 에디슨은 왜 노벨상을 타지 못했을까.2번이나 놓쳐버린 노벨상에디슨은 노벨상을 ... ...
이전
641
642
643
644
645
646
647
648
6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