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곧
즉시
당장에
직접
꼭
varo
d라이브러리
"
바로
"(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좌표 위에 선 χ의 변신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수로 표현할 수 있게 된 거지. 이 때 가로값을 x로 세로값을 y로 두기로 했어. 이것을
바로
'좌표'라고 해.어떤 사람들은 데카르트가 개발한 좌표가 음악의 악보와 비슷하다고 생각해. 11세기 이탈리아의 성직자 귀도 다레초는 4개의 선 위에 음표를 표현하는 방법을 개발했거든. 음악시간에 보던 ... ...
0의 발견 숫자 가문의 영광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마야인이나 바빌로니아인이 먼저 0이란 개념을 생각해 냈더라도 숫자로서 0을 쓴 것은
바로
인도인이다. 인도인들은 이로부터 새로운 계산법을 발명하기도 했다. 그런 의미에서 0을 발견한 영예는 인도인에게 돌아갔다 ... ...
수학으로 하늘의 뜻을 알다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터키에서 개기일식이 일어났음을 밝혀냈다. 기록이 사실이라면 기원전 585년의 일식이
바로
탈레스가 예측한 일식일 가능성이 높다. 최소공배수 구하는 법 최소공배수는 두 개의 정수가 있을 때 둘 모두의 배수가 되는 최소의 자연수를 말한다. 예를 들어, 4와 5의 최소공배수를 구해 보자.▶4의 ... ...
국내 하나뿐인 돼지 ‘지노’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사료용기, 실험도구처럼 소독이 필요한 물품이 대부분 스테인리스로 이뤄져 있는 이유가
바로
이 때문이다. 보통 철은 이 소독약에 닿으면 새까맣게 부식된다.지노와 지노2는 곧 인큐베이터를 벗어나 낯선 환경을 만난다. 특수 SPF 돈사에서도 물론 소독과 위생관리는 철저히 이뤄진다. 지노와 지노2, ... ...
엽기동물 대백과사전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부러웠던 독자라면 이 동물에 주목하라. 몸 한가운데 박혀 번쩍번쩍 빛나는 저것은
바로
세상에서 가장 큰 눈이다. 대왕오징어(Mesonychoteuthis hamiltoni)는 지름 60cm의 큰 눈 덕분에 빛이 거의 들어가지 않는 깊은 바닷속에서도 사냥을 할 수 있다. 대왕오징어는 눈만 큰 게 아니라 몸도 크다. 몸 길이는 ... ...
사춘기 여드름보다 독한 성인 여드름 퇴치법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입을 모았다. 성인 여드름의 주된 원인인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불규칙한 생활습관을
바로
잡으라는 말이다.서 교수는 “피부에 있는 각질과 노폐물을 제대로 제거하지 않아도 여드름이 잘 발생한다”며 “세수를 자주 하기보다는 깨끗이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미지근한 물로 얼굴을 씻어 모공을 ... ...
21세기 녹색성장 이끄는 생태공학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전 세계 도시들이 수십 년 전 상업용지와 도로를 만들기 위해 복개한 하천에 ‘햇빛’을 돌려주는 친환경 정책을 펴고 있는데, 청계천 복원은 그 대표적 ...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자리잡은 21세기에는 토목공학 역시 관점의 변화가 불가피하다.
바로
생태공학에서그 해답을 찾을 수 있다 ... ...
이종장기 연구용 돼지 지노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알파갈’이라고 부른다. 사람 세포에는 알파갈이 없다. 돼지 세포가 들어오면 인체는
바로
이 알파갈 때문에 이물질로 판단하고 면역시스템을 가동시킨다. 면역시스템이 만들어낸 항체는 핏속에 들어 있는 또 다른 면역단백질인 보체를 활성화시킨다. 보체는 돼지 세포에 구멍을 뚫어 세포를 ... ...
전력 생산하는 인공 나뭇잎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물이 반드시 필요하다.이때 뿌리에서 잎으로 물을 끌어올리는 원동력 중 하나가
바로
잎에서 일어나는 증산 작용이다. 물이 잎의 기공에서 대기 중으로 증발하면서 아래에 있는 물 분자를 끌어올리는 모세관 현상을 일으키기 때문이다.연구팀은 미세한 유리관으로 구성된 물관을 가진 인공 나뭇잎을 ... ...
한국 과학, 아프리카에 희망을 심다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급격히 진행되면서 언제 다른 지방으로 퍼질지 모를 일이다. 과학자들의 우려도
바로
이 점이다. 체체파리는 사람도 문다. 아직 메커니즘도 잘 모르고 별다른 해결책도 없는 열대성 질병이 인류를 공격할 가능성이 있다는 말이다. 케냐에서의 공동연구로 다행히 한국은 열대성 질병에 대한 정보를 ... ...
이전
641
642
643
644
645
646
647
648
6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