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jean
진토닉
gin
정령
귀신
대열
무리
d라이브러리
"
진
"(으)로 총 11,349건 검색되었습니다.
천문학자의 '청계천 연가'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누군가 하트를 그렸는가 하면, 학부생이 함께 쓰는 컴퓨터 배경화면에는 누군가 그의 사
진
을 깔아놓았다고 한다. 전파천문대에 들어서면 실험실에서 커다란 원통형 수신기와 한창 씨름하고 있는 정원 씨를 만날 수 있다. 전파망원경에서 기존 100GHz 수신기를 떼어다가 100GHz와 230GHz 겸용 수신기로 ... ...
PART1 호모 에렉투스는 인류 최초의 요리사?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요리한 음식이다. 고기와 야채를 적절히 배합한….▼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인류
진
화의 원동력 요리 PART1 호모 에렉투스는 인류 최초의 요리사?PART2 음식이 바꾼 인류 유전자 ... ...
크리스마스 밤하늘 장식하는 '전구별'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심하게 찌그러
진
타원이다. 그래서 지구에 접근하더라도 시기에 따라 가까운 정도가 달라
진
다. 보통 15년 또는 17년마다 가장 가까워지는데 최근 화성이 지구에 가장 가까이 접근했던 때는 2003년이었다.맨눈으로도 화성의 오묘한 붉은빛을 충분히 즐길 수 있지만 천체망원경을 이용하면 화성의 ... ...
크리스마스 때 DNA맞춤식단 주문할까?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섭취했다. 그 결과 목표를 달성한 것뿐만 아니라 허리둘레가 5.5cm나 줄었다.‘음식의
진
실’은 소재 자체가 우리 생활과 밀접하게 닿아있는데다가 생생한 실험정신을 발휘한 덕분에 방송 당시 시청자의 열광적 지지를 받았다. 이 다큐멘터리가 최근 책으로 묶여 나왔다. 건강해지는 법, 날씬해지는 ... ...
아침에 기분좋게 깨워주는 친구 닥터라이트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수명도 반영구적이다. 자신이 원하는 시간에 맞춰 램프가 켜지는 일반 기능과 정동
진
에 해가 뜨는 시간에 자동으로 램프가 켜지는 두 가지 모드로 새벽을 깨운다. 아침에 기상하는 알람기능뿐만 아니라 처음에 밝게 켜놓았다가 서서히 소등되는 기능도 있어서 잠자고 일어날 때까지 수면습관을 ... ...
헬리콥터 100년史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별로 없지만, 농도가 높아지면 정상적인 호흡작용이나 탄소동화작용이 곤란해
진
다 또 D₂O는 중성자를 흡수하기 때문에 원자로의 중성자 감속재나 냉각재로 사용되고 있다고대 중국의 우주관이던 혼천설을 기초로 하여 천체의 운행과 그 위치를 측정하기 위하여 만든 측각기의 일종 혼의기(渾儀器) ... ...
나의 카메라 속 남극이야기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빙산 사냥에 나서다조바심이 났다. 분명 손에 잡힐 듯한 거리에 빙산이 있었는데 고무보트를 타고 한참을 달려야 했다. 멀리 보이는 빙산은 온몸에 햇빛을 받고 있지만 남극에서는 ... 돌아온 지금도 손끝이 아리도록 매서운 추위와 푸르른 햇살을 마주할 때면 남극이 한없이 그리워
진
다 ... ...
미국 휘청거리게 한 캘리포니아 산불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것’(연료)이 없어
진
‘괴물’(산불)은 결국 지연제를 돌파하지 못해 ‘굶어 죽는’(화재
진
압) 원리다. 지연제의 원료는 수산화알루미늄이다. 이 물질이 공기 중 산소와 만나면 물이 생기는데, 이때 생긴 물이 기화되면서 온도를 낮춘다. 또 수산화알루미늄은 화재현장에서 알루미나(Al2O3)로 되는데, ... ...
암정복 꿈꾸는 '생명설계도' 지킴이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있죠. 바로 밤을 새우며 NMR에서 얻은 자료와 씨름하는 학생들이에요.”연구단이 만들어
진
초반에 함께 고생한 학생들을 생각하면 항상 미안함이 앞선다는 최 교수에게서 남다른 제자사랑이 느껴졌다 ... ...
보이지 않는 위험, 디지털 질환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 1~5점 척도입니다. 총점 60점 이상인 경우 위험군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가청
진
동수의 '스위트 스폿'사람의 귀는 1000~6000Hz(스위트 스폿)의 소리에 가장 민감하다. 전화 벨소리나 아기울음소리, 사이렌 소리 등이 이 대역에 속하는데, 이 때문에 우리 귀가 전화 벨소리와 다른 소리를 헷갈려 한다 ... ...
이전
640
641
642
643
644
645
646
647
6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