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포토
포토그라피
그림
화상
초상
회화
형상
d라이브러리
"
사진
"(으)로 총 7,556건 검색되었습니다.
디지털로 세계를 묶은 인터넷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이용할 수 있도록 연결해 놓은 것. 그런데다가 월드와이드웹은 문자는 물론 그림,
사진
, 음성, 동영상 등 다양한 성격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특징마저 지니고 있었다. 결국 월드와이드웹의 등장은 그동안 갇혀있던 정보들의 물꼬를 텄고, 정보 중심의 새로운 지식사회가 펼쳐지도록 그 기반을 ... ...
움직이는 지구 변하는 우주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천구를 하루에 한 바퀴씩 도는 것이 일주운동이다. 북극성 주위를 여러 시간 노출해 찍은
사진
을 보면 북극성을 중심으로 동심원을 그리는 별의 일주운동을 알 수 있다. 눈으로 잠깐 보아서는 일주운동을 알아채기 어렵지만 50배 정도의 천체망원경을 1분쯤만 들여다보아도 별이 흘러가는 것, 다시 ... ...
초상화는 왜 왼쪽얼굴인가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그려나간다. 당연히 완성된 그림은 왼쪽 측면상이 된다. 극사실주의 기법으로
사진
을 찍다시피 정확하고 자세하게 인물을 표현하기로 유명한 이상원 화백도 “왼쪽 얼굴을 중심으로 하는 측면상을 많이 그리게 된다”고 말한다. 정면얼굴보다는 측면얼굴이 굴곡과 명암이 있어서 그리기가 쉽고, ... ...
한국 우주시대를 개막한 아마추어위성 우리별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지금은 이름이 잊혔지만 한국과학기술대학(KIT)이 있었다. 1985년에 설립됐다가 1989년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학사과정으로 통합된 대학이다.원래 이 대학의 설립을 추진했던 곳은 ... 인도 PLSV로켓에 의해 성공적으로 발사됐다. 그리고 현재 한반도 구석구석의
사진
들을 찍어 보내고 있다 ... ...
과학적 사고와 문제해결력의 만남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위치에 별이 없었다는 증거가 필요하다. 본문의 내용을 살펴보면 1999년 1월17일에 얻어진
사진
의 그 위치에는 별이 보이지 않았으나 6월18일에는 별이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② 이슬 속 원자와 우주전체 별 중 무엇이 더 많을까?나선은하의 하나인 우리가 속한 은하계에는 약 1천억 개의 별이 있고, ... ...
쌍안경으로 즐기는 가을 별밤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가져 쌍안경으로 보면 타원형의 구름조각처럼 보인다. 쌍안경 속에 비친 은하의 모습이
사진
과 달리 작고 희미하다고 실망하지 않기를 바란다. 지금 쌍안경을 통해 당신 눈에 비치는 이 희뿌연 은하의 빛은 자그마치 2백20만년 전에 은하 속의 한 별에서 출발해 수많은 별들을 스치며 우주 공간을 ... ...
99년 영광의 수상자 : 화학상-아메드 즈웨일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비유할 수 있다. 즉 화학반응이 일어나고 있는 분자의 모양을 1백조분의 1초에 한 장씩
사진
으로 계속 찍어나가는 것이다. 그리고는 매우 천천히 돌아가는 슬로우 비디오로 관찰하면 화학반응에 의한 분자구조의 변화를 직접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의 초고속카메라는 물론 ... ...
교과서 실험 이의 있습니다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물질의 퍼짐을 일반화하려는 의도로 생각된다. 따라서 교과서에 깔때기를 이용한 발문과
사진
은 본 수업의 목적에 도달하는 것과는 너무 거리가 멀다.깔때기를 사용해 잉크나 색소를 떨어뜨리는 실험은 앞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밀도와 확산이라는 개념을 복합적으로 관련시킬 때 유용하다. 또 ... ...
3. 기상 버라이어티쇼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전향력이 없다면 바람은 기압의 중심부를 향해 일직선으로 불 것이다. 하지만 위성
사진
에서 볼 수 있듯이 북반구에서는 전향력 때문에 바람이 부는 방향의 오른쪽으로 휘게돼 반시계방향의 나선 모양을 이룬다.태풍의 진로를 예상하는 예보를 듣다보면 태풍이 열대성 저기압으로 바뀌었다는 말을 ... ...
지진 예측할 수 없는가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중 예고 없이 우리에게 다가오는 유일한 것이 지진이 아닐까 한다. 위성
사진
을 통해 시시각각 변화하는 기상상태를 파악해 예보할 수 있는 날씨와 달리 지진은 지구 내부에 대한 상세한 관찰이 어렵다. 또한 아직까지도 정확한 지진발생 원리가 규명되지 않았기 때문에 정확한 지진을 예측하기란 ... ...
이전
640
641
642
643
644
645
646
647
6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