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현재
오늘날
오늘
현세
요즈음
최신
최근
d라이브러리
"
지금
"(으)로 총 12,639건 검색되었습니다.
꼭 의사가 되고 싶다면?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성적은 단기일에 올리기는 힘들다. 6월 이후 재수생이 합류하면 모의고사 등급은
지금
보다 더 떨어질 가능성이 높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일단 수시모집에서는 입학사정관 전형이 중요해. 네 경우 봉사활동과 리더십에 대해 입학사정관들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을 거야. 서류 전형 ... ...
짜릿한 전기 세상이 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전선으로 연결된 전력망을 타고 집까지 보내져. 이 전력망을 ‘그리드’라고도 해.
지금
까지는 발전소에서 전기를 일방적으로 각 가정으로 보냈어. 하지만 전력망에 인터넷과 같은 통신망이 결합된 ‘스마트 그리드’가 만들어지면 전기를 만드는 발전소와, 전기를 받아 쓰는 가정은 전기가 ... ...
제3게임 수학으로 두는 체스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한 칸씩 전진하고, 킹은 앞, 뒤, 좌, 우, 대각선으로 한 칸만 움직일 수 있습니다.아,
지금
백을 잡은 은정 선수가 둘 차례인데요. 조금 패색이 짙어 보입니다. 백 폰이 C8까지 가면 죽은 말 중에서 다른 한 말과 바꿀 수 있어 승진하지만 그 사이 흑 킹이 따라와 잡힐 수 있기 때문이죠. 백 킹은 가장 ... ...
노벨상이 최고의 상인가?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분석해서 낸 결론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남 말하기 좋아하는 사람들이 자꾸퍼뜨리면서
지금
은 노벨상에 수학상이 없는 이유를 말 할 때 가장 먼저 언급되고 있다. 사람들이 노벨상에 관심이 높은 이유는 뭘까? 무엇보다 엄청난 상금 때문이다. 세계 각국에서 수여하는 어떤 과학 분야 상보다 ... ...
피라미드에 숨겨진 퍼즐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피라미드까지만 가면 정사면체의 비밀을 하나 알려 주마.”“정사면체의 비밀! 뭔데요?
지금
알려 주시면 안 돼요?”“허허. 정팔면체와 정사면체를 이용해 피라미드 모양의 거대한 정사면체를 만들려고 한다. 몇 개의 정팔면체와 정사면체가 필요하겠느냐?”“네? 갑자기 웬 문제예요? 정사면체의 ... ...
외계행성을 지구처럼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건 어떨까.’ ‘외계인과 지구인이 함께 어우러져 살 수 있는 환경을 만들 수는 없을까.’
지금
으로서는 순수한 상상에 가깝지만 미래는 알 수 없다. 행성을 원하는 대로 개조하기 쉬워진다면 은하계의 수많은 행성이 지구처럼 바뀌는 건 시간 문제일 것이다. 미래의 인류가 우주를 사람으로 꽉꽉 ... ...
세균과 수염을 함께 기르면 안 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과학 잡지 ‘황당무계 연구 연보’를 만드는 편집진과 여러 과학자들이 선정한다.
지금
까지 모든 이그노벨상 수상 실적이 그랬듯이, 올해도 있을 것 같지 않지만 실제로 있었던 ‘이그(Improbable Genuine)’ 업적들을 10개 부문에서 선정했다.수염에 붙은 세균은 비누로도 잘 안 씻겨나는 ‘미생물학자가 ... ...
흑인 부모는 어떻게 백인 아기를 낳았을까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수많은 피부색 유전자 중 하나에 새로운 변이가 생겨서 나온 결과일 가능성도 높다.
지금
까지 알지 못했던 새로운 알비노가 생긴 것이다. 현재 개인 게놈을 아주 저렴한 가격으로 파악할 수 있는 시대가 열리고 있으므로 이러한 숙제는 머지않아 풀릴 것이다.2006년에도 음마치와 비슷한 믿을 수 없는 ... ...
과학으로 담그면 행복한 겁니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수 있었다. 하지만 수백 년간 이어져 온 우리 김치재료 시장이 그리 호락호락하진 않다.
지금
은 오히려 ‘배추 값이 더 떨어지면 농민들은 어쩌나’라는 우려가 나올 정도로 가격이 안정화 됐다. 따뜻해서 걱정이던 날씨도 11월 중순이면 쌀쌀함을 더해 예년 기온을 되찾는다고 한다. 이제는 큰 대야 ... ...
탄탄한 기초가 가져온 빛의 미래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뛰어든 이후에 큰 도움이 됐다. 기초 탐구 자세를 중시하는 우리 연구실만의 전통은
지금
도 강점이라 생각한다.현재 연구실의 주된 연구 분야인 나노포토닉스는 필자가 박사과정 후반부에 본격적으로 연구하기 시작한 주제다. 당시 많은 연구자들이 광자결정 및 플라즈모닉스를 앞세운 새로운 ... ...
이전
639
640
641
642
643
644
645
646
6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