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도"(으)로 총 20,67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착륙 1분 전 사라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3호
- 7개월 동안 우주를 날아간 스키아파렐리는 화성 착륙 성공을 1분여 남긴 채 연락이 끊기고 말았어요. 한마디로 실종된 거예요. 스키아파렐리는 왜 화성에 간 걸까요? 어떤 과정에서 사라지게 된 걸까요?메탄가스 찾아 화성으로 슝~!‘엑소마스 2016’은 유럽우주국(ESA)과 러시아연방우주국(Roscosmos)이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 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3호
- 폭발이 일어나면 작은 불꽃이 순식간에 큰 불꽃으로 퍼져요. 이때 큰 소리가 나고 주변이 파괴되기도 하죠. 이처럼 폭발은 불의 부피가 급작스럽게 늘어나며 큰 에너지를 내뿜는 현상이랍니다.폭발을 이루는 한자는 ‘불터질 폭(爆)’과 ‘필 발(發)’이에요. ‘불꽃이 터지며 사방으로 퍼진다’라 ... ...
- [현장취재] 놀면서 배우는 행복한 로봇 축제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레고로 하는 로봇 코딩 교육“그렇게 하면 컬러센서가 작동하기 어려워! 서보모터 파워를 좀 더 올리는 게 어때?”“각도는 맞는데, 내려치는 힘이 부족해. 타이어 두 개를 달아 볼까?”지난 4개월 동안 경기 지역 300여 명의 학생들은 SK하이닉스의 지원으로 로봇 교육을 받았어요. 레고 로봇은 세계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서서히 드러나는 비밀과학집단의 정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과학실로 돌아온 시원이와 친구들은 조심스레 쪽지를 펴 보았어요.“이건 거울을 비추면 제대로 볼 수 있는 거울문자야!”파부르가 서둘러 거울을 가져왔어요. 거울로 문자를 비추자 드디어 글자를 읽을 수 있었지요.“엥? 그런데 이게 도대체 뭐지?”스토리 따라잡기 암호를 해독하라!“영어네, ... ...
- Part 1. 지금도 발견되고 있는 신종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우리가 아는 생물은 전체의 1%?!알고 있는 동물의 이름을 대어 보세요. 사자, 늑대, 개, 고양이, 박쥐…. 하루 종일 동물 이름만 말해도 시간이 부족할 정도로 많은 동물을 기억하는 친구들이 있을 거예요. 그렇다면 과학자들은 얼마나 많은 동물을 알고 있을까요?현재 우리가 존재를 알고, 분류해서 ... ...
- Part 1. 우주는 쓰레기 천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우리 지구는 지금 쓰레기에 둘러싸여 있어요. 안 쓰는 인공위성, 우주인이 실수로 떨어뜨린 장비, 우주선에서 떨어져 나온 부품 등 여러 가지 물체들이 지구 주변을 끊임없이 돌고 있지요. 도대체 얼마나 많은 쓰레기들이 지구 주변에 있는 걸까요?케슬러는 알고 있었다!1978년, 미국항공우주국의 도 ... ...
- Part 3. 우주쓰레기를 해결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우주쓰레기를 감시한다!우주쓰레기와의 충돌 사고를 막기 위해선 우주쓰레기와 위성 등의 우주물체를 감시해야 하지만, 이는 무척 어려워요.우주 궤도에서는 지구 중력이 고르지않고, 태양과 달의 영향 등으로 궤도가 계속 바뀌거든요. 또한 하나의 망원경으로는 특정 위성을 하루에 4~5분씩, 2~3회 ... ...
- [출동! 어린이 과학동아 기자단] 2016 대전 사이언스페스티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주제전시관에서 처음으로 본 것은 ‘월면 걷기 체험’! 달 표면을 걸을 때에서 느낌을 직접 느껴 보는 코너예요. 기자단 친구들은 우선 긴 줄 사이에 선 뒤, 다리와 허리에 벨트를 매었어요. 그 상태에서 앞으로 다리를 내딛자 몸이 둥둥 떠올랐지요.달의 중력은 지구의 6분의 1일 정도로 매우 작아요 ... ...
- [가상 인터뷰] 우리의 먼~ 친척, 안경원숭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안녕~! 나는 어과동의 귀염둥이 마스코트, 과학마녀 일리야. 얼마 전 숲으로 산책을 갔는데, 귀여운 안경원숭이 한 마리가 이 나무, 저 나무를 뛰어다니더라고. 나처럼 큰 눈을 가져서 반가운 마음에 가까이 가서 살펴보니 은근히 사람이랑 닮은 점도 있지 뭐야.말을 걸어 보고 싶어서 다가갔는데, 바 ... ...
- [교과연계수업] 내 몸이 열쇠가 된다고? 생체 인식!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생체 인식 열쇠는 직접 열쇠나 카드를 가지고 다닐 필요도 없고, 또 비밀번호를 잊어버릴 일도 없어서 무척 편리해요.그런데 우리 몸의 일부인 이런 생체 정보는 어떻게 열쇠를 대신할 수 있는 걸까요? 열쇠는 아무나 열지 못해야 안전할 텐데, 정말 생체 인식으로도 안전한 열쇠가 될 수 있을까요 ... ...
이전6386396406416426436446456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