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획
내부
기획
방책
방법
설계
속
d라이브러리
"
안
"(으)로 총 11,88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기막힌 운이 승리를 가져다준 쌍륙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따내면서 가장 먼 곳의 말을 서둘러 이동시키는 전략이 가능하다.가로막기 전략은
안
육(六)에 있는 말 5개와 바깥육(五)의 말 3개, 그리고 건너편 바깥육(一)에 있는 말 5개로 상대의 이동하는 말을 가로막는 것이다. 한 자리에 말2개가 있으면 주사위 2개가 같은 숫자가 나오지 않는 이상 그 자리에 ... ...
아름다운 무지개다리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사다리꼴인 사각기둥 모양의 돌을 서로 끼워 넣어 반원을 구성하고 있는데, 이런 구조는
안
정성과 내구성이 뛰어나서 서양의 다리구조에서도 발견된다.자! 앞의 실험에서도 보았지만 중심이 같고 반지름의 길이가 다른 두 원을 이용해 이런 돌 모양을 수학적으로 설계 할 수 있다.첨성대도 원형 ... ...
연산 정복하기 ②!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보고 설명할게요.(${7x}^{3}$-3xy)÷$\frac{1}{2x}$이 문제에서 뒤에 나오는 (÷$\frac{1}{2x}$)을 괄호
안
의 두 개 항에 모두 적용하지 않아서 결과를 다르게 만드는 경우가 있죠. 아니면 (÷$\frac{1}{2x}$)의 ÷를 ×로 착각해 (÷$\frac{1}{2x}$)을 그대로 곱하기도 하죠. 같은 실수를 자꾸 ...
모래 사이를 헤엄치는 도마뱀의 비밀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실험 결과 앞이 좁은 막대만 구슬 더미
안
으로 파고들고, 접시는 구슬 표면과 닿았을 때
안
으로 들어가는 것을 알아냈다. 샌드피시 도마뱀처럼 머리가 뾰족하고 배가 평평해야 모래 속을 더 쉽게 파고든다는 뜻이다 ... ...
수학 논문으로 꿈을 이룬다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보통 종이를 한 번 접었다 펼 때 남는 흔적을 수학으로 표현한 것뿐이기 때문이다. 종이
안
쪽에 생긴 오목한 부분을 ‘골’이라 하고 숫자 0으로, 종이 바깥에 생긴 볼록한 부분을 ‘등성이’라 하고 숫자 1로 나타내 식을 만들어 증명했다(*자세한 내용은 xnote 참조).지난해 그가 ... ...
Part 3. 확률과 전략이 절묘할 때 승리하는 윷놀이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줄어들 수도 있다.윷놀이에서 4명이 경기를 할 경우에 한사람에게 예외 규정을 두면
안
된다. ‘전통놀이 삼국대전’ 윷놀이에서 만약 당나라가 자신들의 땅을 모두 걸어야 했다면 결과는 달라졌을 것이다. 셋 이상이 놀이를 할 때는 둘의 협력에 따라 승부가 한쪽으로 쏠릴 수 있다. 따라서 둘씩 ... ...
공주는 왜 해적이 됐을까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주셨네요. 하하하.”“어떻게…. 모든 것을 알고 있는 거지?”“해적선을 탄 4개월 동
안
한 번도 해군을 만나지 않았어요. 뭔가 이상하다고 생각했죠. 누군가 해적선을 보호하고 있다면 가능하지 않을까요? 혹시나 해서 공주님이 주신 모로코왕실의 퍼즐과 탈출경로를 포도주병에 넣어 바다에 띄웠죠 ... ...
지오의 나라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꼭 전쟁이나 가뭄이 든다잖아.”“그려. 연월긴가 뭔가 하는 걸
안
만들면 그런 일도
안
일어난다잖여.”사람들 사이에 쪼그려 앉았던 공주가 벌떡 일어선 건 그때였다.“전쟁이나 가뭄은 언제라도 일어날 수 있어요. 작년에도 가뭄이 심각했어요. 몇해 전에는 외적의 침입으로 국경 근처 백성이 ... ...
왜 0으로는 나눌 수 없나?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정의는 b×c=a인 수 c가 한 개 있다는 뜻이에요. c가 없어도
안
되지만 두 개 이상이어도
안
되겠지요? 이 뜻에 비춰볼 때 3을 0으로 나눈 값을 구하려면 0×c=3인 수 c를 구하면 돼요. 그런데 어떤 수에 0을 곱해 3이 되나요? 이런 수는 없어요. 물론 3이 아니라 영이 아닌 어떤 수에 대해서 생각해도 ... ...
Part 1. 실수가 승부를 가른 고누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발끈한다. “누가 그런 소릴 해. 우린 멋에 살고 멋에 죽는 나라라고. 어디서 씨알도
안
먹히는 소문을 듣고….” 하지만 뭔가 찔리는 구석이 있는지 크게 화를 내며 흥분하는 김유신. 그 탓일까, 중앙에 배치된 말의 위치를 잘못 보고 ⓫에 있던 말을 ❿으로 옮기는 ‘실수’를 하고 만다. 연개소문은 ... ...
이전
638
639
640
641
642
643
644
645
6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