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큐리오시티의 화성 탐험기과학동아 l2012년 08호
- 적외선 레이저를 발사해 최대 7m 밖의 암석성분을 파악. 암석에 피어오른 불꽃을 촬영한 뒤 빛의 파장을 분석.운용 기간 1화성년(687일) 이상. 총 이동 가능 거리 최대 20km. 참고로 스피릿·오퍼튜니티는 발사 당시 임무 기간은 3개월. 하루 이동 거리는 1.6km였음. 4.8kg의 플루토늄-238을 원료로 하루 2700Wh의 ... ...
- 2. 말은 엉덩이 힘으로 달린다과학동아 l2012년 08호
- 식히는 효과가 미미하다.[말은 사람처럼 땀을 내서 체온을 조절하는 동물이다. 한참 달린 뒤인지 온 몸이 땀범벅이 돼 번들거린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인간과 말 가장 아름다운 진화1. 그 많던 말들은 다 어디로 갔을까2. 말은 엉덩이 힘으로 ... ...
- 비소 박테리아는 없었다!과학동아 l2012년 08호
- 것. 이를 증명하기 위해 연구자들은 인의 함량이 농도별로 정밀하게 조정된 배지를 만든 뒤 여기에 박테리아를 키웠더니 박테리아 증식은 인 농도에 비례했다. [비소 박테리아의 현미경 사진. 세포 안의 쌀알처럼 생긴 게 액포로 이 안에 비소가 농축돼 있다. 따라서 이 박테리아는 비소를 이용하는 ... ...
- 중국이 이모작하면 한국엔 더 센 장마 온다과학동아 l2012년 08호
- 영향을 가장 확실하게 알아보는 방법은 이모작을 전부 일모작으로 바꿔서 20, 30년 지낸 뒤 지금 기후와 비교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기후모델을 사용해서 그 영향을 간접적으로 연구하기로 했다.기후모델은 미래 기후를 예측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다. ... ...
- 벨기에 와플 제대로 먹는 법과학동아 l2012년 08호
- 먹지 않아요.”1964년 뉴욕 세계박람회부터 인기밀가루 반죽을 금속틀 두 개 사이에 넣은 뒤 구워 만드는 와플은 중세 시절부터 기록이 남아 있다. 벨기에 와플이 세계에 알려진 건 벨기에 사람인 모리스 베르머쉬가 1964년 뉴욕 세계박람회에서 와플을 팔기 시작하면서부터다.와플을 만드는 재료는 ... ...
- [생활] 유희의 수, 15수학동아 l2012년 08호
- 짝수라는 특징을 갖기 때문에, 14와 15가 뒤바뀐 상태의 X+Y가 홀수(5)라면, 퍼즐을 움직인 뒤 X+Y의 값도 홀수여야 한다. 하지만 1부터 15까지 순서대로 놓여진 경우 X=0, Y=4이므로 X+Y=4이다. 즉, 샘로이드의 15퍼즐은 아무리 움직여도 정답 모양으로 만들 수 없다. 따라서 이 퍼즐은 절대로 풀 수 없다.제 .. ...
- PART 3. “힉스 입자가 질량을 준다는 말은 잘못”과학동아 l2012년 08호
- 네 개를 도입한다. 이 중 한 입자는 낮은 에너지 상태에서 자발적으로 대칭성이 깨진 뒤 자석과 같이 하나의 스핀 방향을 향하게 하고, 이를 통해 전자나 쿼크에 질량을 준다. 나머지 세 입자는 W+, W-, Z 입자가 흡수한다. 이로써 자연계에 존재하는 모든 입자가 질량을 가질 수 있게 됐다. 이 복잡한 ... ...
- PART 1. 한국이 금메달 따는 날과학동아 l2012년 08호
- 까닭은 힘보다 검의 유연하고 민첩한 움직임을 중시하는 현대 펜싱의 특징 때문이다. 등 뒤로 팔을 꺾어 찌르는 등 즉흥적인 공격이 들어오기 때문에 이를 방어하기 위해서는 유연성은 물론 반사신경도 뛰어나야 한다. 펜싱 국가대표팀의 훈련을 돕고 있는 체육과학연구원 김태완 연구원은 뛰어난 ... ...
- 말랑말랑 젤리 방탄복 나온다과학동아 l2012년 08호
- 총알이 천의 그물망에 ‘걸리도록’ 하는 방법이다.현대식 방탄복은 미국의 섬유기업 뒤퐁에서 1972년 ‘케블라’라 부르는 질기고 강한 실을 개발하면서부터 시작됐다. 방탄조끼하면 나오는 바로 그 케블라다! 케블라는 같은 무게의 강철보다 약 5배 정도 더 튼튼하다. 케블라로 짠 천을 손으로 ... ...
- 극한광으로 보는 나노세계과학동아 l2012년 08호
- 이중나선구조라는 것을 처음으로 밝혀냈다. 회절분석이란, 파동이 물체를 만났을 때 뒤까지 돌아들어가며 만드는 ‘회절무늬’를 분석해 물체의 형태를 유추하는 관찰법이다. 프랭클린은 DNA가 만드는 회절무늬를 분석해 DNA의 형태가 이중나선 구조임을 ‘유추’했다. 하지만 엄밀히 말하면 ... ...
이전6386396406416426436446456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