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도덕과학
도덕
문화과학
문화
보존과학
보존
d라이브러리
"
과학
"(으)로 총 22,460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
동아 X KRISS] 기본전하 상수로 새롭게 태어나는 암페어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소금물에 적신 판지와 겹겹이 쌓은 이 전지를 ‘볼타 전지’라고 했으며, 후대
과학
자들은 볼타의 업적을 기려 전압을 측정하는 단위를 ‘볼트(V)’라고 이름 지었다. 한편 프랑스의 전기학자인 샤를 오귀스탱 드 쿨롱은 1785년 전하와 전하 사이의 힘을 최초로 실험을 통해 측정해냈다. 쿨롱은 ... ...
[Culture] 소행성 ‘베누’ 샘플 귀환 작전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인류 역사상 가장 강력한 핵폭탄은 1961년 옛 소련이 개발한 58.6메가t급(5860만t급)이다.
과학
자들은 1999년부터 2년에 한 번씩 ‘행성방위학회’라는 국제학술회의를 개최하고 근지구천체의 위협으로부터 지구를 보호할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러시아 연구팀의 연구 결과처럼 소행성이 지구에 근접한 ... ...
[Origin] 이산화탄소를 연료로, 인공광합성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돌리기 위해 인류는 겸손한 자세로 다시 자연에게 배우고 있습니다. 가장 위대한
과학
기술은 자연으로부터 나오며 우리가 할 일은 그것을 잃지 않고 보존하는 것입니다. 김영혜서울대 생체분자나노재료 연구실에서 박사과정 연구원으로 있다. 식물 광합성을 모델로 이산화탄소를 전기화학적으로 ... ...
[Culture] 물 분자와 기름의 자리 교체 ‘치느님’ 프라이드 치킨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6월에는 밤낮을 가리지 않고 온 동네가 함성소리로 뒤덮일 것 같네요. 우리나라는 2018 러시아 월드컵에서 16강을 목표로 하고 있다는데요. 온 국민이 단합해 응원하면 선수들도 더욱 힘을 내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축구나 야구 등 스포츠 경기를 보면서 힘찬 응원을 할때는 ‘치맥’이 필수죠. 월드 ... ...
[인터뷰] 연세대 입학처장 엄태호 “다양한 인재에게 고른 기회 준다”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면접을 실시하는 것이다. 또 특기자전형에서 지원자격 제한을 두고, IT명품인재계열과
과학
공학인재계열을 통합해서 선발할 방침이다. 연세대 서류평가 4대 요소 연세대 서류평가의 요소는 크게 네 가지로, ‘학업역량’과 ‘전공적합성’ ‘발전가능성’ 그리고 ‘인성’이다. 엄 입학처장은 ... ...
인터파크 책 전문기자의 생명
과학
& 생명공학 추천도서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
[서울대 공대] 우주항공공학전공주임 여재익 "공학으로 국격 높인다"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자연스럽게 서울대 우주항공공학전공 졸업생 대다수가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국방
과학
연구소 등 관련 정부 연구기관으로 진로를 정하고 있다”고 설명했다.실제로 우주항공공학전공은 서울대에서 국방 관련 연구 과제를 가장 많이 수행하고 있다. 여 교수는 “교수진이 ‘국가에 기여한다’는 ... ...
[특별 페이지] 미리 보는 러시아 월드컵
수학동아
l
2018년 06호
한준희 해설위원에게 물었다! Q&A 수학동아가 KBS 축구해설위원이자 대한축구협회 정보전략위원을 맡고 있는 한준희 해설위원을 만났다. 축구에 관한 것이라면 뭐든지 알고 있다는 한 해설위원에게 러시아 월드컵에 관해 궁금한 점을 물었다! Q. 안녕하세요, 해설위원님. 이번 러시아 월드컵 ... ...
기하학 입은 패션
수학동아
l
2018년 06호
디자인을 하기 위한 방법을 꾸준히 연구해 체계적으로 정립할 계획”이라며, “수학자나
과학
자와 협업도 계획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에 덧붙여 “수학을 공부해서 생기는 창의력과 상상력을 발휘하면 무엇이든 해낼 수 있다”고 메시지를 전했습니다.이것으로 세계 유일의 수학패션지 ... ...
Part 1. 역사에 이름을 남긴 아마추어
수학동아
l
2018년 06호
17세기는 교회가
과학
을 배척하던 시기였어요. 그런데 메르센은 신학자이면서도 수학,
과학
을 좋아해서 프랑스의 르네 데카르트 같은 수학자와 친하게 지냈어요. 그러면서 완전수와 메르센 수를 연구했어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세상을 놀라게 한 아마추어 수학자Part 1. 역사에 ... ...
이전
638
639
640
641
642
643
644
645
6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