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년"(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모래, 세계 곳곳에서 사라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0호
- 배 이상 증가한 양으로, 중국이 전체의 3분의 1이상을 차지하고 있지요. 그런데 중국은 2030년까지 도로를 짓는 데만 8억 톤의 모래를 추가로 사용할 예정이에요. 또 선진국인 미국과 유럽 국가들은 물론, 인도와 베트남 같은 개발도상국에서도 모래 사용량이 점점 늘어나고 있답니다 ... ...
- [과학뉴스] 독개구리가 독을 품고도 멀쩡한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0호
- 그러면서도 또 마약과 같은 모르핀과 달리 중독성이 없지요. 실제로 미국에서는 1998년에 독개구리에서 에피바티딘을 추출해 새로운 진통제를 만들었어요. 이번 연구는 에피바티딘을 활용한 의약품의 효능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답니다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8화] 코딩이란 무엇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0호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연구 개발 과제 선정작으로, 국내의 코딩 교육 전문가들이 3년 동안 연구해 만든 제품이랍니다. 코딩펫에는 센서가 달려 있어서 검은색, 초록색, 파란색, 노란색 등 여러 색깔을 인식할 수 있어요. 그래서 함께 들어 있는 색깔 카드를 이용해서 네 가지 모드로 코딩을 배울 수 ... ...
- Part 2. 모래, 어디에 쓰이는 걸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0호
- 스마트폰, 컴퓨터, 태양전지 판 등 점점 더 많은 곳에 쓰이고 있어요. 그 결과, 지난 5년간 전세계의 규소 사용량은 30% 정도 증가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바다가 들썩들썩~, 사라진 모래를 찾아라!Part 1. 모래, 세계 곳곳에서 사라지다Part 2. 모래, 어디에 쓰이는 걸까?Part 3. ... ...
- Part 4. 모래, 다양한 생물의 보금자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0호
- 인해 피해를 입었어요. 해안사구의 모래는 90% 이상이 석영으로 이뤄져 있기 때문에, 1970년대부터 1980년 초까지는 석영을 얻기 위해 사구에서 모래를 채취했답니다. 다행히 현재는 대부분의 사구에서 모래를 채취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어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바다가 들썩들썩~, ... ...
- Part 2. 똥냄새도 전략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0호
- 어디 보자…. 그러니까 이 열매가 2억 8000만 년 전부터 지구에 있었다는 거지?! 아뿔싸! 은행 열매를 떨어뜨리면서 과육이 터졌어. 으악~, ... 보시려면? Intro. 킁킁~! 똥냄새가 생존전략? 은행나무의 비밀Part 1. 똥냄새는 2억 8000만 년 전부터!Part 2. 똥냄새도 전략이다Part 3. 똥냄새 줄일 수 없을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우리 산림생물 바로알기 탐험대’가 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0호
- 매년 열리고 있는 행사랍니다. 올해로 벌써 11번째를 맞이했지요. 국립수목원에선 1468년부터 보존되어 온 ‘광릉숲’과 인공적으로 조성된 ‘전시원’ 등 다양한 숲을 만날 수 있어요. 또한 산림박물관, 열대식물자원연구센터, 종자 은행 등의 연구 시설도 있지요. 이번 체험에서 지사탐 대원들이 ... ...
- Part 2. 지구를 아슬아슬하게 스쳐가는 소행성?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매우 낮아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사람들은 마음을 놓지 못하고 있답니다. 2013년 러시아 첼랴빈스크 지역에서 일어난 운석 낙하 사건 때문이지요. 2013년 2월 15일, 러시아의 첼랴빈스크 상공 30km 높이에서 소행성이 폭발했어요. 위력은 히로시마 핵폭탄의 40배였고, 충격파로 건물의 유리창이 ... ...
- Part 5. 소행성에서 광물을 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열린 소형위성 연례학회에서 소행성 채굴 개발 사업을 시작하겠다고 발표했어요. 2019년에 ‘프로스펙터-1’을 쏘아 올려 채굴을 할 소행성까지 보내는 게 첫 번째 목표랍니다. 프로스펙터-1은 소행성에 도착하면 가장 먼저 물이 존재하는지 조사하게 돼요. 우주에서 물은 훌륭한 연료이기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인류와 함께 4000년! 쇠, 철, 강-철의 문화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해 우선 강의실에 모였어요. 도슨트 선생님께서 기원전 2000년 전 시작된 철의 역사부터 말씀해 주셨지요. “철은 지구에 가장 많이 있는 물질이에요. 그래서 철의 원료를 쉽게 얻을 수 있지요. 게다가 철은 단단하고 오래 간답니다. 철에 약간의 탄소를 섞은 것을 ... ...
이전6376386396406416426436446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