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활동"(으)로 총 6,600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산·해양분야의 선구 부산수산대학과학동아 l1987년 04호
- 실습항해. 당시 수산청의 지원하에 북양(北洋)의 연어·송어어업 및 트롤어업에 대한 조사활동을 벌여 한국원양어업의 신기원을 열었다. 그후로 남태평양의 어업조사에도 큰 활약을 보였다는게 수산대학측의 자랑거리다.수산대학은 바다뿐 아니라 육지의 내수면어업에도 깊은 관련을 맺고 있다. ... ...
- PartⅡ 아프리카에서 벌어지고 있는 백신개발 전쟁 "AIDS바이러스의 원형을 찾아라"과학동아 l1987년 04호
- 약품의 개발 : 바이러스에 대해 완전히 파악만 되면 백신의 발견뿐만 아니라 바이러스의 활동을 중지시키거나 그 증식을 억제할 수 있는 약품을 개발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파스퇴르연구소의 'F 바레-시누시'와 'J.C.셰르망'이 이 방법으로 접근하고 있는데, 특히 바이러스의 증식효소인 '리버스 ... ...
- 미국 수소폭탄의 아버지 에드워드 텔러과학동아 l1987년 04호
- 뒤엎고 1949년 최초의 원폭실험에 성공한 뒤 텔러는 핵융합폭탄을 만들어야 한다는 로비활동을 본격적으로 밀기 시작했다.마침내 이 문제는 뜻밖의 사태가 일어나서 그에게 유리하게 전개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중 로스 알라모스에서 텔러와 함께 일했던 독일 태생의 영국 물리학자인 '클라우스 ... ...
- 인체 유전자가 모두 판독될 것인가과학동아 l1987년 04호
- 있는 사실은 극히 부분적이기 때문이다. 아직 우리는 어느 세포 속에서 어떤 유전자가 활동하고 있는지 모른다. 고작 알고 있는 것은 특별한 처리를 했을 때, 예를 들면 열을 가할 때 그것에 방어반응을 하는 유전자 군이나 바이러스에 감열될 때 발현하는 유전자 군 등이다. 간장 속의 특징적인 ... ...
- 뇌세포의 조율사 꿈은 머리를 좋게 한다과학동아 l1987년 04호
- 피로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그러므로 아민작동성뉴런을 쉬게 하여 다음 활동을 준비시킨다는 점에서 꿈은 머리에 좋다고 할 수 있지 않을까?크릭이 말하는 해로운 기억이란 것도'뒤집어 생각하면 아민계의 피로물질'이라고 할수 있다. REM수면은 그 피로물질을 제거한다. 그러므로 충분히 잔 ... ...
- 환락의 극치에서 폐허로 폼페이과학동아 l1987년 04호
- 발전하여 그러부터 1백60년 뒤에는 인구가 2만여명을 헤어릴 정도였다. 전통있는 교역활동에다 화산재 토양으로 이루어진 캄파니아 평원에서 나는 풍부한 산물이 그 발전의 원동력이었다.시의 최고행정직인 집정관은 2명이고 임기는 1년이었다. 시의 연중행사나 의식, 공유재산 관리운영에 직접 ... ...
- 한국의 봄꽃과학동아 l1987년 04호
- 냇가에서 자라는 것도 있다. 일찍 깨어나 봄하늘을 혼자서 즐기다가 다른 식물이 활동을 개시할 무렵에는 열매를 맺고 깊은 땅속에서 조용히 쉬기 시작하는 것이 얼레지이다.봄에 피어나는 우리나라의 야생화는 이밖에도 많다. 봄철에 산골짜기를 찾으면 쉽게 만날 수 있는 향기로운 제비꽃만 해도 ... ...
- 생물 암기에 앞서 체계적 이해를과학동아 l1987년 04호
- 못하여, 생물과목이 암기할 것이 많고 매우 어려운 과목으로 인식되기 쉽다.학습 활동이 탐구 과정의 단계에 따라 이루어지도록 하자. 탐구 대상을 찾아내어 그것으로 부터 객관성 있는 내용의 추출을 시도하기 위해서는 이미 알고 있는 지식으로 가설을 설정해야 한다. 다음에 그 가설에 맞추어서 ... ...
- 결핵퇴치, 새로운 결의로 전염성환자 16만명이나 돼과학동아 l1987년 04호
- 90년에는 0.39%, 95년에 0.31%, 2000년에는 0.23%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이와 같은 방법으로 X선상활동성폐결핵 유병률을 추정한다면 1985년의 2.2%에서 90년대 1.7%, 95년에 1.4%, 2000년에는 1.3%로 전망된다.그러나 2000년의 X선상 유병률 1.3%와 균양성 환자 유병률 0.23%는 오늘날 선진국가의 유병 ...
- 하늘을 나는 인간의 꿈 기구에서 초음속 비행기까지과학동아 l1987년 04호
- 이제 우주로 향하고 있다.사람이 하늘을 날고 싶었던 꿈은 아마도 사람이 지구상에서 활동했던 때부터 생겼을 지도 모른다. 원시동굴의 벽화에 그려졌던 새는 하늘을 날고 싶었던 원시인들의 꿈의 표현이었으리라. 그래서 그리스 신화 속에는 인간이 하늘을 나는 여러 이야기가 담겨져 있다.신화와 ... ...
이전6366376386396406416426436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