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개시
처음
기원
발단
출발
근원
d라이브러리
"
시작
"(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과 인문 겸비한 인재 키운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급식을 원활하고 빠르게 제공하기 힘들다. 하지만 신도림고는 개교 1주일 만에 급식을
시작
했다. 교복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디자인 공모를 해서 정하는 바람에 두 달 정도 늦어졌지만 만족도가 매우 높다.전국 과학중점학교 평가에서도 전체 100개 학교 중 대상을 차지했다. 다른 과학중점학교와 ... ...
세상이 깜짝! 별별 동물쇼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덕분이죠. 하지만 위협을 당하면 갑자기 커다란 눈 무늬가 있는 날개를 세워 방방 뛰기
시작
해요. 그 모습이 마치 커다란 새가 부리로 쪼는 것처럼 보여서, 포식자라도 겁을 먹게 된답니다. 걷는 상어지느러미를 이용해 얕은 암초를 따라 걷는 상어예요! 2006년 인도네시아에서 발견된 이 상어는 ... ...
쭉쭉 늘어나는 팔다리, 그녀의 이유 있는 변신 애니메이션 인크레더블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모양인 위를 제외하고는 모두 원형관이다. 입에서 출발해 항문을 향해‘손가락 여행’을
시작
해 볼까? 흠…, 그림이니 걱정하지 말고 따라오시라.음식물이 흘러가는 경로를 따라서 소화기관의 관을 거쳐 항문까지 이르면 손가락은‘몸속’이 아닌 ‘피부(겉)’로 나와 있다. 분명 입속으로 출발한 ... ...
학생이 원하는 대로, 아주대 과학영재교육원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얻었다. 평가가 좋지 않은 강좌는 이듬해 교육에서 제외될 예정이다.한편 지난해부터
시작
된‘중학생을 위한 여름과학캠프’는 반 편성이나 프로그램 구성을 학생들의 선택에 맡긴다. 이 캠프는 영재교육원 학생이 아닌 일반 중학생이나 영재학급 학생을 위해 마련된 것이다. 캠프에 앞서 학생들은 ... ...
PART 1. 타임머신의 탄생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발견하고 거기에서 보내 온 정보를 토대로 그들과 만날 수 있는 기계장치를 만들기
시작
한다. 이 소설은 1997년 로버트저메키스 감독의 손으로 아주 멋진 영화로 다시 태어난다.세이건은 소설을 쓸 무렵에 외계인과 만날 수 있는 방법을 그의 오랜 친구 캘리포니아공대의 이론물리학자 킵 손과 ... ...
PART 4. SF꽁트 - 전송오류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겁니다. 역사가 뒤엉키기
시작
하자 누군가 그걸 막아야겠다고 결정했겠지요. 시간여행이
시작
된 그 시점으로 가서 방해해야겠다고요. 제 생각에는 여기서 그만두는 게 좋겠어요.”“어째서?”“온건한 쪽에서 왔으니까요. 코드만 뽑고 전선만 잘랐어요. 가볍게 경고만 한 거죠. 하지만 다음에는 더 ... ...
3악장 - 청중을 감동시켜라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거트 현에 은세공 기술을 이용해 은선을 감은 ‘거트코어 현’이 1700년대부터 쓰이기
시작
했어요. 거트에 금속을 입혔으니 훨씬 강하고 큰 소리가 났어요. 큰 연주회장에서 연주하기에도 충분했지요. 이런 장점 덕분에 가장 가는 현만 빼고 모두 거트코어 현으로 빠르게 바뀌었어요. 가장 가는 현 ... ...
특허를 갖는 자가 시장을 지배 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위치에 처했다. 애플은 곧이어 아이패드를 발표하며 타블렛PC 시장까지 장악하기
시작
했다. 그나마 발 빠르게 대응한 기업이 삼성이었다. 스마트폰인 갤럭시S와 갤럭시탭 시리즈를 발표하며 애플의 독주에 제동을 걸었다.하지만 갤럭시 시리즈는 처음부터 아이폰을 닮았다는 비난에 시달렸다. 관련 ... ...
플라스틱, 바다에서 양식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PHB를 합성하는 효소의 유전자를 ‘파이오덱틸리움 트리코뉴튬’에 넣자 PHB를 만들기
시작
했다.이번에 개발한 미세조류를 이용하면 세균으로 직접 PHB를 만들 때보다 비용이 줄어든다. 물이 조금만 있으면 어디서든 잘자라기 때문에 세균처럼 정교한 발효시설이 따로 필요 없다. 마치 물고기를 ... ...
우리는 개를 이해하고 있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다른 대륙으로 나갈까 말까 꾸물대고 있던 때다. 현생인류가 개를 집안에서 키우기
시작
했다는 고고학적 증거는 약 3만 년에서 7000년전 사이에 나타난다. 개는 늑대에서 갈라져 나온 이후로도 10만 년 이상을 야생에서 살았다는 뜻이다. 이런 개가 어떻게 인류의 친구가 됐는지는 여전히 미스터리다 ... ...
이전
636
637
638
639
640
641
642
643
6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