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d라이브러리
"
발견
"(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첨단 기술에 편한 옷 입히는 디자인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주정은 씨(28)는 며칠 전 인터넷 쇼핑몰에서 맘에 드는 작은 옷장을
발견
했다. ‘예쁘긴 한데 방에 놓기엔 좀 크지 않을까’ 가로, 세로, 높이가 cm 크기로 나와 있지만 감이 오지 않았다. 방의 치수를 자로 재면서 머릿속으로 그려보니 얼추 크기가 맞는 것 같다. 옷장이 도착한 날, 주 씨는 당황했다. ... ...
변신의 귀재 탄소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물질이라는 사실을 알아냈다. 다이아몬드, 흑연, 풀러렌에 이어 또다른 탄소의 동소체가
발견
된 순간이다.속이 비어있는 빨대 또는 튜브처럼 생겨서 탄소나노튜브라고 부르는 이 탄소 동소체는 옛날 우리 조상들이 여름날 더위를 이기기 위해서 안고 잤던 죽부인과 구조가 매우 비슷하다. 죽부인은 ... ...
[천문우주]태양계 밖 외계행성의 두 얼굴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뜨거운 목성’이라고 부른다.웁실론 안드로메다 b는 1996년 외계행성 중 두 번째로
발견
됐다. 지구에서 40광년 떨어진 별 ‘웁실론 안드로메다’ 주위를 도는 3개의 행성 중 가장 안쪽에 있는 ‘뜨거운 목성’이다. 웁실론 안드로메다 주위를 한바퀴 도는데 걸리는 시간은 겨우 4.6일. 웁실론 ... ...
아낌없이 주는 돼지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식량이었다. 그러다가 이들은 멧돼지가 가축이 되기에 좋은 장점을 갖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
했다.멧돼지는 잡식성이어서 무엇이든 잘 먹고 야생에서도 20~30마리가 함께 살 정도로 어울려 사는 습성이 있어 우리 안에 여러 마리를 가둬놓고 키울 수 있다. 성장속도가 빨라 생후 1년만 지나면 새끼를 ... ...
크리스마스트리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4호
억 년 이상 된 나이든 별이 모여 있지요. 우리 은하계에서는 지금까지 구상성단이 130여개
발견
됐어요. 이 곳의 별을 트리에 흩뿌리면 우주에서 가장 아름다운 트리가 되겠죠 ... ...
빨간 피의 진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3호
혈액에 몇 가지 종류가 있으며 서로 맞지 않는 혈액형이 있다는 것을
발견
했다. 혈액형의
발견
덕분에 수많은 사람들이 목숨을 구할 수 있었다.저는 혈액형이 Rh-형이래요~!혈액형의 종류는 다양하여 단순히 ABO식으로만 구분할 수 없다. Rh-형 혈액형은 백인들에게는 흔한 편이지만 우리나라에서는 100 ... ...
우리 다시 볼 수 없을 지도 몰라 - 한반도 멸종 위기 동물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3호
사는 아무르표범이라고 해. 1962년 이후 멸종된 것으로 알려져 있어. 하지만 내 발자국이
발견
되는 등 아직 살아남아 있을지도 모른다는 추측도 있단다.여우한국 대표귀신 구미호. 바로 나 여우를 귀신으로 생각한 거지. 그런데 구미호는 흰색이지만 난 붉은색 털을 가지고 있단다. 난 사람들이 사는 ... ...
습지에 한번 빠져 보세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1호
있어요. 깃동잠자리 등 곤충과 개구리도 지천에 널려 있죠. 천연기념물 솔부엉이도
발견
됐어요. 함부로 들어 갈 수는 없지만 10월부터‘습지를 가꾸는 사람들’이 한 달에 한 번씩 둘째 주 토요일에 견학 프로그램을 만들었어요. 풀밭을 밟을 때마다 온갖 곤충들이 벌이는 뜀박질을 놓치지 마세요 ... ...
똥의 향기에 취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0호
세계 곳곳에서 똥을 쓰레기가 아닌, 가치 있는 자원으로 이용하고 있다는 점이다.똥의 재
발견
개똥도 전기 만들려면 없어애완동물이 유난히 많은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는 공원에 널려 있는 똥을 모아 전기를 만든다. 온갖 애완동물의 똥을 모아 탱크에 넣은 뒤 미생물을 분해하는 박테리아를 섞으면 ... ...
마이크로맨의 눈에 비친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9호
있는 녹조류를
발견
했다.또 치아에 붙은 찌꺼기에서는 꼬물거리는 수많은 작은 동물을
발견
했다. 레벤후크는‘관찰해서 얻는 지식에 대한 열망이 너무 커서’죽는 날까지 현미경이 보여 주는 작은 세계에 빠져 살았다.코르크마개에서 세포
발견
!레벤후크와 비슷한 시기에 영국에서는 로버트 훅이 ... ...
이전
636
637
638
639
640
641
642
643
6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