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
노동
과업
근무
취직
근로
취업
스페셜
"
작업
"(으)로 총 923건 검색되었습니다.
중국·유럽·호주도 수소경제로 간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4
목표로 협력을 통해 수소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잰걸음에 나서고 있다. 특히 표준
작업
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지난해 6월 한국을 배제한 체 미국과 EU, 일본이 수소에너지 기술개발에 대한 공동선언을 발표하기도 했다. 미국은 캘리포니아주 주도로 수소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캘리포니아주는 ... ...
구글·페이스북도 탐낸 ‘로봇 핸드’ 10년간 열정으로 ‘진일보’
동아사이언스
l
2020.01.09
이상엽 원익로보틱스 개발팀장과 배지훈 생산기술연구원 박사가 ‘알레그로 핸드’를 들어보이고 있다. 동아사이언스DB 사람의 손은 다양한 물체를 잡는 데 알맞게 ... 있다”며 “기술적 노하우를 제공해 센서를 고도화하고 작고 파워풀하게 만드는
작업
을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 ...
'CES 2020'에 쏠린 세계의 눈…중국 메이저 IT 업체는 불참
연합뉴스
l
2020.01.08
13.4인지 디스플레이가 2개인 듀얼 스크린 장치다. 힌지가 유연하며 두 화면으로 별도의
작업
을 하는 멀티태스킹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레노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중국 최대 PC 업체인 레노버도 폴더블 디스플레이 대세에 합류했다. 레노버는 이번 CES에서 13인치 폴더블 유기발광다이오드 ... ...
북한 갈탄 활용해 수소경제 앞당긴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06
플랜트 규모가 커지면 예기치 못한 문제들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면밀히 연구개발
작업
을 진행해야 한다. 1단계 사업으로 2025년까지 상용 플랜트 수준의 갈탄 가스화 공정 기술을 확보하는 게 목표다 ... ...
원안위 "서울반도체, 비정상
작업
으로 피폭사고" 과태료·과징금 부과
동아사이언스
l
2019.12.24
인체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건강진단, 비정상
작업
예방을 위한 방사선안전 교육, 방사선
작업
현황에 대한 기록관리 등을 의무화하고 안전관리자 교육도 주기적으로 실시하는 방안을 검토할 예정이다 ... ...
월성1호기, 표결로 늘어난 수명 표결로 끝날까
동아사이언스
l
2019.12.15
특히 이번 원안위에는 지난 8월 발광다이오드(LED) 생산업체인 서울반도체의 용역직원이
작업
중 방사능에 피폭된 사건에 관한 행정처분안도 올라올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 ...
그린란드 빙하 3조8000억t 사라졌다...녹는 속도 90년대보다 7배 빨라
동아사이언스
l
2019.12.11
세워 사라진 빙하의 양을 분석하는데 값의 편차가 상당하기 때문이다. IMBIE는 이
작업
을 거쳐 지난해 1992~2017년 남극에서 3조 t의 얼음이 사라졌고, 이로 인해 해수면이 7.6㎜ 상승했다는 연구 결과를 네이처에 발표했다. 이 연구에 이어 올해는 그린란드의 빙하 감소량 분석결과 26개를 내고 이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GMO 황금쌀, 20년 만에 빛을 볼까
2019.12.03
유전자와 lcy 유전자, 에르위니아의 CrtⅠ 유전자를 넣어야 한다. 각고의 노력 끝에 두
작업
이 끝났고 이제 벼가 익을 날만 기다리면 성공 여부를 알 수 있다. 무색인 파이토엔과는 달리 라이코펜은 빨간색이고 베타카로틴은 노랑~주황색이기 때문에 분석결과를 기다릴 필요가 없다. 결과는 둘 ... ...
제2 원자력연구원 유력 후보지로 부상한 ‘경주’…TF 꾸려 준비 돌입
동아사이언스
l
2019.12.03
않았다”며 “타당성을 검토하고 예산을 마련하기 위한 과기정통부와의 협의 등 다양한
작업
들이 이뤄져야 제2 원자력연구원의 구체적인 계획이 나올 것”이라고 밝혔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한층 더 상세하게 재현한 뇌 신경세포들
동아사이언스
l
2019.12.01
연구팀 연구원들이 직접 수정에 나섰다. 오류의 가능성이 있는 위치에 대한 분석 및
작업
을 약 4000시간 정도 투자했다. 그 결과 연구팀은 50만 세제곱마이크로미터(㎛3·100만분의 1m)의 부피로 신경세포를 재구성하는데 성공했다. 이는 이전에 존재하던 모형보다 300배 이상 더 큰 부피로 공간 해상도가 ... ...
이전
59
60
61
62
63
64
65
66
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