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증기
감태
안개
수증기
해의
잡초
잡풀
스페셜
"
김
"(으)로 총 862건 검색되었습니다.
노도영 IBS원장 "국가기초과학연구소로 정체성 세우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25
연구 수준을 평가하는 지표인 네이처 인덱스 순위는 5년 전 426위에서 166위로 올랐다.
김
전임 원장은 “다사다난했던 시기였지만 모든 연구자와 직원들이 본연의 임무를 충실히 수행해준 덕분에 5년의 임기를 완주할 수 있었다”며 “적임한 후임자가 원장으로 취임한 만큼 당면한 과제들을 ... ...
IBS는 과연 한국 기초과학 발전의 훼방꾼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9.11.24
[
김
두철 전 IBS원장 특별기고] 상징과 실제를 혼동하는 오류를 보며
김
두철 IBS 원장 《
김
우재 캐나다 오타와대 교수는 최근 동아사이언스 연재 ... 바랍니다. 그렇다면 IBS는 분명 한국 기초과학 발전의 당당한 역사가 될 것입니다.
김
두철 전 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장(서울대 명예교수 ... ...
전문연구요원 제도 개선안에 중소기업계 "환영" 학생들 "아쉽지만 납득"
2019.11.21
분야를 확정하지 않고 확대 여지를 열어놓은 만큼 더 지켜봐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김
성진 한국과학기술한림원 학술부원장은 "국방부가 인구감소를 이유로 전문연구요원제도 전면폐지를 주장한 것에 비해 제도는 유지되서 불행 중 다행으로 여긴다"며 "공부를 잘해 군대에 안간다는 것이 ... ...
보행자 인식해 자동으로 작동하는 볼라드 시스템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11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도로 위 신호등처럼 생활의 일부로 볼라드가 활용되고 있다는 게
김
수석연구원의 설명이다. 그는 “정보통신기술(IT) 활용도가 한국보다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외국에서 이번에 개발하고 있는 볼라드 시스템에 많은 관심을 표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액티브 볼라드 시스템은 ... ...
[프리미엄리포트] 전자담배의 무서운 유혹
과학동아
l
2019.11.09
그런데 이보다 더 주목해야 할 점은 가향담배가 흡연을 계속 유도한다는 결과다.
김
교수팀의 조사에서 흡연 경험자의 70% 이상은 담배의 향이 흡연을 처음 시도하는 데 큰 영향을 줬다고 답했다. 가향담배의 향이 마음에 들 뿐만 아니라 연기를 들이마실 때 불편함을 없애 주고, 몸에도 덜 해롭다는 ... ...
[만연하는 가짜 의학정보] “항암치료 위험해서 의사들은 안 받는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19.11.07
암 환자들이 유튜브에 돌아다니는 정보를 믿고 의지하는 것에 대해 우려를 나타냈다.
김
교수는 "유튜브 등에서 자기만의 비법 등으로 암을 완치했다는 사람들의 주장을 들어보면 전혀 과학적인 근거나 데이터가 없다"며 "새로운 정보를 들었다면 임상시험을 거친 것이 맞는지 확인해야 한다"고 ... ...
“인증과 실증으로 융합신산업 날개 달아요”
동아사이언스
l
2019.11.06
경우 후자로, 스마트 안전 리빙랩을 통해 시장성을 확보하게 되었다”고 설명했다.
김
소장은 “현재 국가산업융합지원센터가 진행하고 있는 융합신제품적합성 인증과 리빙랩 실증이라는 두 축을 통해 중소기업의 융합신제품 및 서비스 시장 출시를 지원하고 있다”며 “이와 함께 스마트 안전 ... ...
'알약 몇 개만 꿀꺽' 몸 속에서 병 찾아 공격하는 로봇의료팀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03
넣을 공간도 없어 캡슐내시경을 움직이려면 외부 전자기장을 활용해야만 한다.
김
교수는 “의료기기로써 안전성과 성능을 확보하는 것도 어려웠다”며 “동물 소화기관 모델 및 동물실험을 통해 검증하고 평가하는 과정을 거쳤다”고 말했다. 다양한 캡슐내시경은 모델 실험과 동물 실험 등을 ... ...
양자암호 위성통신·우주 태양광…쎄트렉 신화 이어줄 미래 위성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19.10.31
이밖에도 이날 민경욱 KAIST 물리학과 교수는 과학기술위성 1호의 관측 결과를,
김
영진 기계공학과 교수가 초고속 광학기술의 차세대 인공위성 탑재 방안에 대해 발표했다. 최원호 원자력및양자공학과 교수는 한국의 전기추력 연구개발 현황을 소개했다. KAIST 인공위성연구소는 한국의 ... ...
[
김
우재의 보통과학자] 누더기가 된 은하도시의 꿈
2019.10.24
미래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프로젝트, 2008.5' http://scienceon.hani.co.kr/30757 ※필자소개
김
우재. 어린 시절부터 꿀벌, 개미 등에 관심이 많았다. 생물학과에 진학했으나, 간절히 원하던 동물행동학자의 길을 자의 반 타의 반으로 포기하고, 바이러스학을 전공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 ...
이전
59
60
61
62
63
64
65
66
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