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위아래"(으)로 총 1,772건 검색되었습니다.
- 롤러블 TV 분수 쇼에 로봇 레스토랑…진화하는 LG CES 전시장연합뉴스 l2020.01.07
- '씽큐존'서 아바타에 옷 입혀보고 자율주행차 체험 'CES(Consumer Electronics Show) 2020' LG전자 전시장을 들어서자 천장 한쪽을 덮은 화려한 디스플레이가 펼쳐졌다. 올레드(OLED) 돔, 올레드 터널, 올레드 협곡, 올레드 폭포에 이은 올레드 '물결'(Wave)이다. LG전자는 CES 2020 개막을 하루 앞두고 미국 라스 ... ...
- [표지로 읽는 과학]인류 공동추진목표의 이행상황을 평가하다동아사이언스 l2020.01.04
- 벽면의 기하학적 디자인을 따라 지나치는 하늘색, 보라색, 노란색의 선도 볼 수 있다. 위아래로 들쑥날쑥한 모습은 흡사 어떤 추세를 나타내는 그래프처럼 보인다. 지앙궈 리우 미국 미시간주립대 시스템통합및지속가능성센터 교수 연구팀은 2015년 유엔 총회가 채택한 전세계 공동추진목표인 ... ...
- 결핵백신 맞는 방법만 바꿔도 예방률 '쑥'동아사이언스 l2020.01.02
- NIH와 미국 피츠버그대 공동 연구팀이 히말라야원숭이에게 BCG를 피내 주사(위)하거나 정맥 주사(아래)하고 6개월 뒤 결핵균을 주입한 결과. BCG를 피내 주사했을 때보다 정맥 주사했을 때 결핵 예방률이 훨씬 높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사진에서 붉게 나타난 것이 결핵균 감염으로 인해 염증이 생긴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냄새와 페로몬에 대한 우리 뇌의 ‘극단적인 융통성’2019.12.31
- 여성의 0.6%가 후각망울 없이도 전혀 문제 없이 냄새를 잘 맡을 수 있다는 사실이 최근 발견됐다. 한편 생쥐의 페로몬 감지 메커니즘도 최근 명쾌히 규명됐다. 참고로 사진 속의 설치류는 생쥐(mouse)가 아니라 쥐(rat)다. 사이언스 제공 2019년 한 해도 이제 몇 시간 남지 않았다. 오늘은 한 해의 마지막 ... ...
- 백두산 분화땐 지진 피해보다 한반도에 ‘화산재 공포’동아사이언스 l2019.12.30
- 영화 백두산 포스터. 영화 ‘백두산’이 개봉 열흘 만에 관객 500만 명을 넘기며 순항하고 있다. 실존하는 자연 재해 위협을 바탕으로 만든 영화라 긴장감이 높다는 평이다. 백두산은 지금으로부터 1만여 년 전 이후 여러 차례 분화했고 언제든 다시 분화할 수 있는 생화산(활화산)이다. 1000년 전인 10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빙판길은 왜 그렇게 미끄러울까2019.12.25
- 김연아 선수가 빙판 위를 가로지르며 멋진 연기를 펼칠 수 있는 건 얼음이 무척 미끄럽기 때문이다. 위키미디어 지난 14일 새벽 상주-영주 고속도로에서 차량 30대가 연쇄 추돌하면서 5명이 죽고 30여 명이 다치는 큰 사고가 일어났다. 사고 원인을 조사한 결과 빙판길에 승용차가 미끄러지면서 중앙 ... ...
- 삼성디스플레이, '접는 유리' 국내 소재 업체 최대 주주로연합뉴스 l2019.12.24
- 삼성디스플레이가 접는 스마트폰(폴더블 스마트폰)용 유리기판 제조사인 국내 업체 '도우인시스'의 최대 주주에 올랐다. 이 업체는 접히는 초박막 유리(UTG ... 올해 출시된 갤럭시폴드는 양옆으로 접히는 폴더블폰이었고, 내년 초 공개하는 신제품은 위아래로 접히는 디자인이다. ... ...
- 1400년전 아라가야 지배자 무덤천장에 새긴 별자리 그림 동아사이언스 l2019.12.21
- 경남 함안 말이산 13호 고분 정밀발굴조사 현장. 함안군 경남 함안군 가야읍 말이산 고분군은 고령 대가와야 함께 위세를 떨친 아라가야의 왕릉이다. 신라, 왜(倭)로 가는 길목에 있던 아라가야는 주변 강국들의 틈바구니에서 고유문화를 지키며 수백 년 동안 생존했다. 5~6세기 형성된 것으로 추정되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혈압 예방에 유산소운동이 좋은 진화론적 이유2019.12.17
- 비대해져 섬유화된 조직이 보인다. 반면 사람의 좌심실은 용적이 큰 대신 벽이 얇고 위아래로 약간 길쭉하다. 이런 차이는 좌심실이 낼 수 있는 압력과 혈류량의 차이로 이어진다. 침팬지는 높은 압력으로 수축할 수 있지만 한 번에 내보내는 피의 양은 적은 반면 사람은 압력이 좀 떨어져도 한 ... ...
- [화보+] 사이언스·네이처가 뽑은 ‘올해의 사진’ 동아사이언스 l2019.12.17
- 기후의 신비/산티아고 보르자/사이언스 거대한 폭풍이 태평양 한가운데에 치고 있다. 사진가이자 비행사인 산티아고 보르자는 성층권인 18km 상공에 올라 폭풍을 관찰했다. 기상현상 대부분은 지상 10km 상공 아래인 대류권에서 일어나기 때문에, 사진 속 폭풍처럼 성층권까지 뻗은 폭풍은 이례적 ... ...
이전5960616263646566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