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원
뉴스
"
연구진
"(으)로 총 7,699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공 미니 망막’으로 망막 기능 재현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4.08.01
장기 유사체로 망막의 기능을 확인한
연구진
. 세브란스병원 제공 국내
연구진
이 인공적으로 만든 ‘미니 망막’으로 망막의 기능을 확인했다. 비침습적 방식으로 망막 발달 과정에서의 전기 신호를 정확하게 분석했다. 망막 질환 치료법 연구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
감정 조절하는 '도파민' 유사체, 알츠하이머 증상 개선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31
유사체로 알츠하이머병 진행을 조절할 수 있는 단서를 찾았다. 한국뇌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진
이 감정에 관여하는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의 유사체로 알츠하이머병의 진행을 조절할 수 있는 단서를 찾았다. 완치제가 없는 알츠하이머병에 대한 새로운 치료제 개발로 이어질지 주목된다. ... ...
폐수 속 신종 환경호르몬 신속 제거 고성능 촉매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7.30
고성능 코발트 단원자 촉매가 담지된 탄소나노섬유를 확인하고 있다. KIST 제공 국내
연구진
이 폐수 속에 함유된 신종 환경호르몬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는 새로운 촉매를 개발했다. 화학물질 없이 건식 공정으로 만들어진 고성능 단원자 촉매다. 향후 효과적인 폐수 처리 공정에 활용될 것으로 ... ...
화재 위험 낮은 전고체전지 상용화 '한걸음…고체전해질 최적 혼합법 찾아
동아사이언스
l
2024.07.29
혼합하기 위한 '블레이드 밀' 장비와 기념촬영하고 있다. 한국전기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진
이 전고체전지용 양극활물질과 고체전해질을 효과적으로 혼합하는 새로운 기술을 개발했다. 특수 장비를 개발해 최적의 혼합 비율을 찾아내는 시뮬레이션을 찾아냈다. 전고체전지 실용화를 막는 난제를 ... ...
에이즈 7번째 완치 사례…치료 성공 핵심요인은 '불분명'
동아사이언스
l
2024.07.28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델타-32 돌연변이를 하나 보유하고 있었다. 이식수술을 주도한
연구진
은 이번 이식수술이 성공한 이유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고 설명했다. 같은 방식의 이식수술을 받은 환자에게서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경우도 있는 가운데 완치를 위한 정확한 조건이 무엇인지 불분명하다는 ... ...
차세대 세라믹전지 새 합성법 개발…"그린수소 생산에 한걸음"
동아사이언스
l
2024.07.28
KIST) 김준석 박사후연구원, 지호일 책임연구원, 최시혁 금오공대 교수. KIST 제공 국내
연구진
이 세라믹 전해질이 식어 굳는 온도(소결 온도)를 획기적으로 낮출 새로운 합성법을 개발했다. 차세대 고효율 전지인 프로톤 세라믹 전지의 경제성과 고성능화를 동시에 달성할 것으로 기대된다. ... ...
한국의 인공태양 'KSTAR' "2040년대 실증 착수 목표"
동아사이언스
l
2024.07.28
고온의 플라즈마를 효율적으로 실시간 제어할 수 있는 방법도 연구 중이다. 핵융합연
연구진
은 KSTAR를 가상으로 만든 시뮬레이션을 통해 플라즈마 제어 최적화를 연구한다. 핵융합연 제공 KSTAR가 있는 거대한 격납고로 들어서자 핵융합이 일어나는 공간인 도넛 모양의 토카막 주변으로 수많은 실험 ... ...
분자로 원자 수준 자기장 측정하는 양자 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7.25
지름보다 10배 이상 작은 공간에서 나타나는 변화까지 감지할 수 있다는 의미다.
연구진
은 개발한 양자 센서가 양자 물질과 소자 설계, 새로운 촉매 개발, 생화학 분자의 양자 특성 탐구 등에 폭넓게 응용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STM을 갖춘 실험실이라면 손쉽게 기존 장비를 활용해 양자 센서를 ... ...
글로벌리더연구·선도연구센터 선정…10년간 4069억원 지원
동아사이언스
l
2024.07.25
10년간 지원하게 된다. 올해 접수된 98개 연구집단 중에서 연구의 창의성·원천성, 공동
연구진
의 역량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최종 14개교, 18개의 센터가 선정됐다. 연 15억 6000만원을 지원받는 이학분야(SRC)는 포스텍의 ‘양자 각운동량 동역학센터’를 비롯해 4개의 센터가 선정됐다. 연 20억원을 ... ...
[과기원NOW] 값싼 촉매로 ‘저비용 고효율 그린수소’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24
금속 촉매를 이용해 새로운 음이온 교환막 수전해 기술을 제시한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연구진
. UNIST 제공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이승걸 신소재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음이온 교환막 방식의 수소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효율 저하를 예방할 수 있는 원리를 밝혀냈다고 24일 밝혔다. ... ...
이전
59
60
61
62
63
64
65
66
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