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균관대학교
성대
성균관대학
성균관
뉴스
"
성균관대
"(으)로 총 708건 검색되었습니다.
앗! 이렇게 작을 수가, 1nm급 반도체 개발
2015.02.09
기판 위에서 정상적으로 작동 할 수 있다는 사실을 규명하는 데 성공했다. 안종렬
성균관대
물리학과 교수팀은 1nm급 반도체 소자를 1cm 크기의 기판 위에 구현하는 데 성공하고 나노분야 학술지 ‘나노 레터스’ 1월 15일자에 발표했다. 삼성전자, 인텔 등 반도체 업계는 10nm보다 더 미세하고 가느다란 ... ...
난치병 ‘중풍’ 치료제 개발 가능성 열었다
2015.01.28
조동규
성균관대
약학대학 교수 -
성균관대
제공 국내 연구진이 흔히 중풍이라 불리는 ‘뇌졸중’의 중요 발병원인 중 하나인 ‘허혈성 뇌졸중’ 치료제를 개발 할 수 있는 길을 ... 사용 효능. 저해제를 사용하지 않은 좌측 사진은 뇌신경 손상이 커 회백색으로 나타났다 -
성균관대
제 ... ...
공학한림원 신입 정회원 30명 선정
2015.01.05
분야(7인) 김재관 서울대 토목공학과 교수 김진근 KAIST 토목공학과 교수 신현목
성균관대
토목공학과 교수 허준행 연세대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교수 김동수 대림산업 사장 김설주 ㈜태조엔지니어링 부사장 남순성 ㈜이제이텍 대표이사 회장 △화학생명공학 분야(3인)김병기 서울대 ... ...
올해의 바이오뉴스 키워드는 에볼라-기초연구비-나고야의정서
2014.12.21
규명 - 김재우 (연세대) △ 줄기세포 초기 분화의 효율을 높이는 기술 개발 - 강종순 (
성균관대
의대), 김경규 (
성균관대
의대), 김성호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 세포 스스로 목숨 끊어 결핵 치료한다 - 조은경 (충남대 의대) △ 비만 조절하는 핵심 수용체 발견 - 김효수 (서울의대, 서울대병원) ... ...
2014년 올해의 10대 과학기술 뉴스
2014.12.14
기술 개발 황성우 삼성전자 종합기술원 나노일렉트로닉스랩팀 전무와 황동목
성균관대
신소재공학부 교수 공동 연구진은 ‘꿈의 신소재’로 불리는 그래핀을 넓은 면적으로 만드는 기술을 개발해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기존 방법보다 성능이 뛰어난 단결정 그래핀을 5cm 크기로 만들 수 있고 ... ...
거미 발목 모방한 ‘거미센서’ 개발
2014.12.11
이끄는 최만수 단장(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교수)과 김태일
성균관대
화학공학부 교수팀은 거미의 미세 균열을 모사해 감도를 기존 대비 100배에서 최대 1000배까지 높인 초고감도 센서를 만드는 데 성공해 ‘네이처’ 11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유연폴리머 기판 위에 백금 박막을 쌓은 뒤 수 nm ... ...
심장질환 걱정된다면 이 ‘반창고’ 붙이세요
2014.11.24
필요한 심혈관 질환을 감지할 수 있는 반창고 모양의 전자소자가 개발됐다. 방창현
성균관대
화학공학부 교수와 미국 스탠퍼드대 공동연구팀은 이전까지 고성능 음파 측정 장비로만 잡아낼 수 있었던 미세맥파를 측정할 수 있는 소자를 개발하고 재료분야 권위 학술지 ‘어드밴스드 ... ...
손목에 감쌀 수 있는 플라스틱 태양전지 나왔다
2014.11.18
손목 둘레와 같은 곡면 상황에서 1000번을 굽혔다 펴도 효율이 그대로 유지됐다. -
성균관대
제공 또 빛이 약하거나 태양빛이 비스듬히 비취는 환경에서도 효율에는 변함없었다. 손목 둘레를 감싸는 것과 비슷한 곡면 상황에서 1000번을 넘게 휘어도 효율을 그대로 유지한 것으로 나타나 기계적 ... ...
‘퀀텀닷’이 뭐길래 이렇게 뜨나
2014.11.14
수 있다”고 말했다. 퀀텀닷으로 태양전지를 제작하는 연구도 진행 중이다. 박남규
성균관대
화학공학과 교수는 “광자 하나에서 전자 하나를 만드는 태양전지의 경우 효율이 30% 정도인데, 퀀텀닷으로 태양전지를 만들면 광자 하나에서 전자를 한 개 이상 만들 수 있다”며 “이론적으로는 ... ...
이제는 입체가 대세, 3차원 그래핀 온다
2014.11.10
2차원 구조로 투명하면서도 전기가 잘 통하는 특성이 있어 미래 신소재로 꼽힌다. 안종렬
성균관대
물리학과 교수팀은 지금까지 2차원 구조로만 제작이 가능했던 그래핀을 3차원 입체구조로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내고 나노분야 국제학술지 ‘ACS 나노’ 10월 20일자에 발표했다. 이전에도 그래핀을 ... ...
이전
59
60
61
62
63
64
65
66
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