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만
해산 해산의
뉴스
"
산과의
"(으)로 총 1,808건 검색되었습니다.
대형 망원경 새 명당자리 '지구의 지붕' 티베트 고원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20
티베트 고원의 중국 칭하이성 렁후 인근 싸이스텅산 정상 부근에 중국의 관측소들이 설치돼 있다. 중국과학원 제공 우주의 비밀을 밝히는 대형 천체망원경의 새 명당 자리가 지구의 지붕으로 불리는 티베트 고원에서 발견됐다. 덩 리카이 중국과학원 국가천문연구소 연구원팀은 중국 칭하이성 렁 ... ...
코로나 신규확진 2152명 역대 두 번째…내일 거리두기 발표 현단계 연장 전망
동아사이언스
l
2021.08.19
무더위 속에서 보건소 직원이 얼음 조끼를 착용하고 코로나19 검사를 진행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확진자가 하루새 2152명 늘어났다. 지난 11일 2222명을 기록한 이후 8일 만에 다시 2000명대를 기록했으며 확진자 숫자 자체로 두 번째로 큰 규모다. ... ...
폴더블 디스플레이 이어 붙이는 필름 개발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18
폴더블 디스플레이처럼 유연한 전자소자들을 연결해주는 유연한 도전필름이 개발됐다. 포스텍 제공 국내 연구팀이 폴더블 디스플레이처럼 유연한 전자소자들을 연결해주는 유연한 도전필름을 개발했다. 이 필름을 활용해 더 복잡한 구조의 전자소자도 쉽게 연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포스 ... ...
거대한 버섯, 먹어도 될까?
팝뉴스
l
2021.08.13
팝뉴스 제공 미국의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논란을 일으킨 사진이다. 한 네티즌이 산에서 거대한 버섯을 발견했다면서 인증 사진을 올렸다. 버섯은 정말 크다. 버섯 머리가 사람머리크기다. 버섯을 채취한 사람은 묻는다. “먹어도 될까요? “ 많은 네티즌들이 반대하지만 일부는 꼭 ... ...
'코로나19에 승리' 선언했던 중국,전국 재확산 조짐
동아사이언스
l
2021.08.03
중국 장쑤성 난징시가 지난달 29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3차 전수 검사를 시작했다. 시내의 검사소를 찾은 주민들이 줄지어 수검을 기다리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지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과의 전쟁에서 승리를 선언한 중국에서코로나19가 다시 확 ... ...
김복철 NST 이사장 “출연연을 국가대표로 만들겠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26
김복철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 제4대 이사장.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제공 김복철 신임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 이사장은 26일 “미래지향적 과학기술 혁신 생태계를 선도하고, 세계적 연구자와 연구그룹이 육성되는 선진 연구환경 조성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말했다. 김 이사장은 이날 제4대 과 ... ...
[지구는 살아있다] 해양동물은 죽어 돌이 된다
2021.07.24
우경식 교수가 미크로네시아 추크주의 산호초와 탄산염 퇴적물을 조사하고 있다. 우경식 제공 남태평양 미크로네시아는 하얀 백사장과 푸른 바닷물, 늘씬한 야자수, 뜨거운 태양과 더불어 멋진 산호초가 유명합니다. 산호충의 분비물이나 유해인 탄산칼슘이 퇴적되어 만들어진 암초인 산호초는 ... ...
소부장 원천기술 조기 확보한다…50개 미래첨단소재 시범선정
연합뉴스
l
2021.07.12
내년부터 단계별 지원…과기부, 소부장 성과보고회 개최 [과기정통부 제공]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소재·부품·장비(소부장) 유망 원천 기술을 조기에 확보하고자 50개 미래 첨단 소재를 시범 선정하고 내년부터 단계적으로 지원한다. 과기정통부는 12일 오후 대전광역시 한국과학기술원 ... ...
[주말N수학] 생명의 비밀 파헤치는 수학의 세계
수학동아
l
2021.07.10
스튜디오51 제공 모든 생명체는 24시간의 생체리듬을 갖고 있습니다. 계절과 온도에 따라 이 주기가 변동될 것 같지만 생체리듬은 늘 일정하게 유지됩니다. 생명체가 생체리듬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메커니즘은 60년이 넘도록 풀리지 않는 생명과학 분야의 난제였습니다. 지난 2015년 한 수학자가 수 ... ...
[대학을 지식전쟁의 최전선으로]④ 대학연구를 팀플레이로 도약시키자
2021.07.06
대학들의 연구지원 인력의 부재로 교수와 대학원생들이 연구활동이 아닌 다른 업무에 많은 시간을 소모하게 되면서 연구 몰입도와 효율성도 크게 떨어지고 있다. 이런 현실에서 이중 삼중의 부담을 떠안고 있는 대학원생들은 가장 큰 피해자라고밖에 볼 수 없다. 사진은 대학사회에서 대학원생 ... ...
이전
59
60
61
62
63
64
65
66
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