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순
유일
단독
통일
일관성
균일성
협조
뉴스
"
단일
"(으)로 총 1,208건 검색되었습니다.
속도 빠르고 안전한 양자 인터넷 구현에 필요한 양자회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10.29
개발해 지난해 11월 국제학술지 ‘저널 오브 라이트웨이브 테크놀로지’에 공개했다.
단일
광자가 1번 만들어질 때 양자 얽힘 상태인 광자 쌍이 700번 만들 수 있어 성능 면에서 세계 최고 수준이다. 연구진은 빛으로 정보를 전달할 때 손실이 적은 실리콘과 질화규소(Si3N4)를 이용해 빛이 지나가는 ... ...
K-방역, 미국 주요 역학저널에…"봉쇄 없이 확산 억제"
연합뉴스
l
2020.10.29
연구진은 한국 정부와 같은 코로나19 대응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원팀'으로 대응하는
단일
한 대응 체제 구축, 정보통신기술(ICT) 활용,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민간 간 협력관계와 파트너십 형성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또 한국의 대응은 미국이나 영국 등 선진 보건의료기관과 전문가들이 있는 ... ...
[코로나19 연구속보] 코로나19 재감염 사례 발견됐지만…과학자들 “여전히 드문 사건”
2020.10.29
증상이라기 보단 2차 감염의 징후라는 것이다. 연구에 참여하지 않은 줄리안 탕 교수는 “
단일
감염으로 인한 재감염이나 장기간 지속되는 질병에 대한 양성 반응 사이의 음성 검사 결과 등의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더 이상의 확인은 어렵다”고 밝혔다. 탕 교수는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 ... ...
코로나19 중증 비밀 '네안데르탈인 유전자'에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28
논문 그림이다. 가로는 염색체 별 염기서열 영역이고 점은 주요 변이(
단일
염기다형성)다. 변이 빈도가 높으면 길어진다. 세로축의 길이는 통계적 유의미성을 평가하는 P값의 역서를 로그화한 수치로, 높을수록 해당 염기서열 영역이 표현형(여기서는 코로나19 감염)과 통계적으로 상관관계가 높다는 ... ...
트럼프 극찬한 항체 치료제 실제 써보니 '효과 탁월'
연합뉴스
l
2020.10.27
앤드 베일대학 보건위원회의 조 힐튼 팀장은 "제임스가 잘 회복되기를 바란다"면서도 "
단일
클론 항체 치료제가 아직 초기 단계에 있고 광범위한 효과는 확인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 ...
스페이스X 12년만에 100회 발사 성공한…로켓 기술 혁신의 '새 이정표’
동아사이언스
l
2020.10.26
’이다. 지구 저궤도까지 약 670kg의 탑재체를 실을 수 있었다. 팰컨1은 길이가 21m의
단일
엔진으로 구동됐다. 액체산소와 등유가 연료다. 팰컨이라는 이름은 머스크가 우주영화 ‘스타워즈’에 나오는 우주선 ‘밀레니엄 팰컨’의 이름을 따서 지었다. 2006년 첫 발사를 시도한 스페이스X는 3번의 ... ...
국산 항체치료제 후보물질 코로나19 주요 유전형에 효능
동아사이언스
l
2020.10.25
기능을 떨어뜨리는 치료제다. 보통 항원과 결합하는 항체를 분리 정제해 이용하는 ‘
단일
클론항체’를 이용한다. 항체치료제는 바이러스 단백질의 구조를 인식해 결합하기 때문에 바이러스의 유전물질 염기서열이 변화했을 경우(변이) 결합 능력에 차이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때문에 현재 ... ...
코로나19 바이러스 침투 돕는 새 단백질 찾았다...치료제 표적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20.10.23
NRP1이 퓨린가수부내효소에 의해 잘린 부위와 결합하며, NRP1의 활동을 저해할 수 있는
단일
클론항체를 이용하면 코로나19 바이러스의 감염을 크게 낮출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또 코로나19 바이러스에서 퓨린가수분해효소에 의해 잘리는 부위의 아미노산을 바꾸자 감염 효율이 떨어진다는 사실도 ... ...
[2020 국감]월성1호기 경제성 조작 야당 연이은 지적…한수원장 "조작 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23
후쿠시마 오염수 방출과 관련해 “지금 언론보도들을 살펴보면 일본은 해양 방류를
단일
안으로 생각하는 것 같다”며 “국무조정실 주관으로 태스크포스(TF)를 차관급 회의로 격상해 계속해서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 ...
노벨상 영예 '유전자가위' 유전질환 치료 '더 가까이'
동아사이언스
l
2020.10.23
유전자가위 기술은 ‘베이스 교정’으로 불린다. DNA 이중 가닥을 절단해 교정하지 않고
단일
염기를 잘라내 교정하는 기술로 유전자가위 분야 세계적 석학인 데이비드 리우 브로드연구소 교수가 개발해 지난해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논문의 제1저자인 서수지 가빈허버트연구소 ... ...
이전
59
60
61
62
63
64
65
66
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