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부
에너지
에네르기
뉴스
"
내부에너지
"(으)로 총 987건 검색되었습니다.
국양 DGIST 총장 “신성철 전 총장 조사 여전히 진행中”
동아사이언스
l
2019.05.17
DGIST 대학본부 컨벤션홀에서 열린 DGIST 4대 총장 취임식에서 국양 총장이 취임사를 하고 있다. DGIST 제공 국양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신임 총장(66)은 17일 “신성철 KAIST 총장의 DGIST 재직 시절 불거진 연구비 부당 송금과 제자 지원 의혹에 대한 과기정통부 감사와 검찰 조사가 아직도 진행되고 있 ... ...
차세대 태양전지 ‘페로브스카이트’ 상용화 문턱 넘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13
현재 사용 실리콘 전지에 초근접… 내구성 실험 등 상용화 박차 페로브스카이트-실리콘 결합한 ‘탠덤 태양전지’ 내년 英서 출시 전망 정의혁 한국화학연구원 연구원이 4월 세계 최고 효율을 기록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작은 사진) 모듈을 들여다보고 있다. 한국화학연구원은 차세대 태 ... ...
모든 소비자에겐 ‘측정할 권리'가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07
침대 매트리스에서 '라돈'이 검출된 후 설치된 방사능 측정소에서 집에서 가지고 온 제품들의 라돈을 측정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지난해 5월 한국 침대회사인 대진침대 제품에서 방사성 물질인 라돈이 나온다는 보도가 나온 지 1년이 흘렀다. 원자력발전소나 방사성동위원소 취급 장소가 아닌 집 ... ...
핀란드에선 포항 지열발전 방식 통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03
핀란드 헬싱키에 설치된 심부지열발전(EGS) 지열정의 모습이다. 핀란드가 한국이 관리에 실패한 지열발전을 실시간 관측과 운영에 반영하는 실시간 관리를 통해 규모 2 이상이 유발지진이 일어나지 않게 통제하는데 성공했다. 에스티원 딥 히트 오와이 프로젝트 제공 핀란드가 포항 지역에 설치된 ... ...
엔진 없이 하늘 나는 부력 추진 비행기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30
영국 연구팀이 엔진 없이 하늘을 나는 비행기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하이랜즈 앤드 아일랜즈대 제공 엔진 없이 하늘을 날아다닐 수 있는 자급 자족형 무인 비행선이 첫 시험비행에 성공했다. 풍선처럼 공기를 빨아들였다 뱉으면서 하늘을 나는 새로운 개념의 비행선이다. 영국 BBC는 앤드류 ... ...
화성에서도 지진 일어난다...첫 지진 관측
동아사이언스
l
2019.04.24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화성 탐사선 '인사이트'가 지난해 12월 19일 돔 모양의 지진계를 화성 표면에 내려놓는 모습이다. NASA 제공 화성에서 최초로 지진이 관측됐다. 과학자들은 ‘화성 지진학’이라는 분야가 열렸다며 화성을 이해하는 데 한 발짝 다가갔다고 평가했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 ...
권면 "중이온가속기 ‘라온’ 2021년까지 차질없이 구축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19.04.23
권면 중이온가속기건설구축사업단장이 사업 내용을 설명하고 있다. IBS 제공 우주 생성의 근원을 입자 수준에서 탐색하고 자연계에 존재하지 않는 희귀 동위원소를 찾을 수 있는 중이온가속기가 다음달부터 설치된다. 이르면 2021년 초에는 중이온을 가속시켜 희귀동위원소를 만드는 실험이 가능할 ... ...
[과학게시판] KIST 과학상상나눔페스티벌 外
동아사이언스
l
2019.04.19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과학의 날을 맞아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과학연계행사 'KIST 과학상상나눔페스티벌'을 19일 서울 지하철 6호선 상월곡역 내 '사이언스 스테이션'과 KIST 본원에서 개최했다. 재생에너지와 관련된 스토리텔링형 강연과 과학교구 만들기 체험 행사를 진행하고, 극지연구 ... ...
자연이 만든 플라스마 발생장치 '포도알'
과학동아
l
2019.04.13
플라스마는 이온화된 기체가 주변에 대기와 충돌할 때 일어난다. 마이크로의 공명을 이용해 포도알 플라스마 생성실험을 따라 해 봤다. 게티이미뱅크 포도 한 알을 반으로 자른다. 아, 그런데 완전히 두 동강 내면 안 된다. 천천히 반으로 자르다가 마지막 부분은 아주 살짝 붙어 있게 해야 한다. ... ...
[블랙홀 첫 관측] 천재물리학자의 방정식부터 중력파까지104년史
동아사이언스
l
2019.04.10
독일의 물리학자 카를 슈바르츠실트는 아인슈타인이 일반상대성이론을 발표하자 3개월 만에 첫 번째 풀이를 구했다. 여기에서 블랙홀의 수학적 개념이 처음 등장했다. 사진제공 위키미디어 블랙홀의 존재가 이론적으로 예견된 것은 불과 104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천재 물리학자 알베르트 아 ... ...
이전
59
60
61
62
63
64
65
66
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