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뒤
이하
아래
이후
이래
그늘
배후
뉴스
"
나중
"(으)로 총 662건 검색되었습니다.
습관의 뇌과학
2014.05.26
표현도 비슷한 맥락이다. 운동이나 일도 처음에 잘 못 배워 안 좋은 습관이 들면
나중
에는 오히려 발전을 방해한다. 그래서 지도자들은 습관이 잘못 든 중급자들보다 차라리 초보자를 더 선호하기도 한다. 분야를 막론하고 독학한 사람이 대성하기 힘든 이유 가운데 하나일 것이다. 필자 역시 안 ... ...
여성 건축가, 금녀의 벽을 넘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5.12
매일 혼자 밥을 먹어야 했어요. 아무도 같이 밥 먹자고 해주는 사람이 없었거든요.
나중
에 알고 보니 회사 전용 식당이 있었는데 아무도 저에게 말해주지 않았더라고요.” 건축사무소 대표가 되다 IMF가 터진 뒤, 다니던 건축사무소가 문을 닫게 되면서 신 대표는 남편을 따라 제주도로 떠났다. “ ... ...
화장품 회사에 취직한 한의사
동아사이언스
l
2014.04.22
기간이어서 인사 담당자에게 전화를 걸어 지원 가능 여부를 상담했던 기억이 납니다.
나중
에 들으니 회사에서도 한의사가 직접 입사 지원한 경우는 처음이어서 어떻게 처리해야 할지 고심했다고 해요(웃음).” 2011년, 베트남에서 의료 봉사 중인 조가영 연구원 - 조가영 연구원 제공 마침내 그녀는 ... ...
[과학의 달 기획]사이언스 마이크: 당신에게 과학이란?①
과학동아
l
2014.04.15
회장인 신동혁(2학년) 군이 이유를 말해줬다. “꿈을 이루기 위해서죠. 저는
나중
에 로봇공학자가 되고 싶어요. 장애인이나 노인을 위해 저렴하면서도 기능이 뛰어난 로봇을 만드는 것이 제 꿈입니다.” 차민석 군(부천 정명고 3)은 “지금까지 로봇을 다섯 개 정도 만들었다”며 ... ...
“창의적 인재 키울 ‘3개 구슬’… 잘 꿰서 보배 만들 것”
동아일보
l
2014.03.26
다음 정부가 되면 고교 졸업생이 크게 줄어듭니다. 지금 구조개혁을 하지 않고 방치하면
나중
에 수십 개 대학이 걷잡을 수 없이 문을 닫게 될 겁니다. 지금부터 어떻게 특성화하고 발전시킬지 고민해서 학생들에게 매력적인 대학이 되도록 고민하라는 취지에서 구조개혁을 진행할 계획입니다.” ... ...
아인슈타인 예측한 중력파로 우주 급팽창 증거 찾았다
과학동아
l
2014.03.19
CERN의 오페라(OPERA)팀이 중성미자가 빛보다 빠르다는 실험결과를 성급하게 발표했다가
나중
에 오류 가능성을 인정했던 사례가 있는 만큼 이번 연구결과에 대해서는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성도 있다”고 말했다 ... ...
이한웅 교수 “실험용 생쥐는 119보다 더 많은 사람 구합니다”
동아일보
l
2014.03.17
사료와 톱밥을 갈며 의학 산업의 발판이 될 생명들을 돌봤다. 이 교수는 “우리끼린 ‘
나중
에 지옥에 가면 쥐한테 실험을 당할 것’이란 농담을 하기도 한다”며 “힘든 과정이고 좌절할 때도 많지만 한국 의학 발전에 분명 의미가 있을 거라 믿는다”고 말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이 교수와 손을 ... ...
‘친환경-고성능車’ 아니면 명함도 못 내민다
동아일보
l
2014.02.27
에어 기술을 적용했다. 속도를 줄일 때 발생하는 에너지로 압축 공기를 생성해 놓은 뒤
나중
에 엔진 작용을 돕는 방식이다. ○ 성능으로 승부 걸어 고성능차도 대거 나온다. 메르세데스벤츠는 대형 쿠페(문짝이 두 개인 스포츠형 자동차)인 ‘S클래스’ 쿠페를 선보인다. 배기량이 4663cc, 최대 출력이 ... ...
‘휴보’가 ‘로봇 태권브이’에게
동아사이언스
l
2014.02.23
대답할 때가 가장 많다. 이럴 때마다 어렸을 적 ‘로봇 태권브이’를 보며
나중
에 어른이 되서 꼭 만들고 싶어 했던 필자의 어린 시절이 떠오르곤 한다. 알버트 휴보 - 위키미디어 제공 이렇듯 오래 전 아이들의 ‘장래 희망’ 1순위는 당연히 과학자인 시절이 있었다. 하지만 어느새 아이들의 ... ...
부부간 폭언 계속되면 아기 갖기 힘들어진다
동아일보
l
2014.02.21
폭언을 듣던 사람이 다음번에는 언어폭력의 가해자가 될 수 있다. 맞고 자란 아이가
나중
에 자신의 아이를 때리게 되는 학습효과와 비슷한 이치다. 이동수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폭언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감각이 무뎌질 수 있다. 듣는 사람에게도 자연스럽게 공격적인 성향을 ... ...
이전
59
60
61
62
63
64
65
66
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