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뒤"(으)로 총 6,300건 검색되었습니다.
- [챌린지] 이호왕 박사님에 대해 알아보자!기사 l20230718
- 이호왕 박사님이 한탄 바이러스를 발견하기 전까지는 정체불명의 병으로 유명했다고 하네요. 1916년 러시아에서 첫 환자가 보고된 뒤 2차 세계대전과 6.25전쟁을 거치며 수천 명의 희생자가 발생했어요. 당시 소련과 중국은 인체실험까지 벌이게 되었고, 미국은 노벨상 수상자 2명이 포함된 연구진 200여명과 많은 예산을 투입해 정체를 밝히려고 노력 ...
- 로봇 ROBOT! 너는 누구니? - 보행로봇8 로키기사 l20230717
- 로봇의 감각기관인 센서장치로 주변이 감지되면 로봇의 두뇌인 제어 장치는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판단하고 명령신호로 바꾼 뒤, 로봇의 팔과 다리인 구동장치에 전달하여 로봇이 움직인답니다 로봇에 대해 충분히 이해한 것 같으니, 그럼 만들어 볼까요?? 1) 기어박스 조립하기 우선 기어박스는 톱니바퀴와 메인샤프트를 끼워 만듭니다 2) ...
- 우장춘 박사님의 업적들기사 l20230715
- 일년에 2번 수확할 수 있는 벼를 개발하실라고 하셨대요..하지만..연구를 다 끝내지 못하셨어요..그리고 박사님은 표창장을 받은 후 3일뒤 아내 하루가 보는 순간 돌아올 수 없는 강을 건너셨습니다!“조국이 나를 인정 해주었군요..“저는 박사님이 한말 중 이 말이 가장 인상 깊은데요..우리나라를 위해서 평생을 바치셨으니까.. 그럼 우준서 기자였습니 ...
- 멍냥 - 230715 - 1탐사기록 l20230715
- 비온 뒤 날이 개었어요. 아파트 놀이터에 떨어져 있어서 죽은 줄 알고 종이컵에 담았어요.근데 꿈틀꿈틀 움직이더라구요! 그래서 나무 밑동에 올러주었어요. 몸을 잘 말려서 잘 살면 좋겠어요. ...
- (챌린지)이호왕 박사님, 한탄바이러스 첫 발견기사 l20230714
- 세계 최초의 발견이었다고 합니다. (한국을 빛내다) 박사님께서는 1979년에는 서울 마포구의 한 아파트 경비원이 집쥐를 잡은 뒤 병원에 입원했다는 얘기를 듣고 아파트 지하상가에서 쥐를 잡아 확인한 결과 새로운 바이러스가 발견되었습니다. 한탄바이러스와는 성질이 달라 ‘서울바이러스’라는 새 이름을지어주었다고 합니다. 한국인이 ...
- 바다거북은 어떻게 살아갈까?기사 l20230713
- 7~67년 정도이고, 17~33살 정도에 성 성숙에 도달한다고 합니다. 붉은바다거북은 둥지 해변의 물이 얕은곳에서 짝짓기를 한 다음 2~3 개월 뒤 산란을 위해 뭍으로 올라옵니다. 뭍으로 올라온 바다거북은 온전히 몸통만으로 자신의 체중을 버텨야 하기 때문에 최대한 빠르게 산란을 끝내야 한다고 합니다. 산란 시간은 보통 4~5시간정도 걸립니다. ...
- I WANT포스팅 l20230713
- : https://www.youtube.com간단한 안내 뒤 주접 시작하겠습니다ㅏI WANT 는 아이브와 펩시콜라의 CM송으로 이해 못하시는 분들께 한줄로 설명드리자면 뉴진스의 ZERO 같은것임니다어제 7월 12일 티저가 공개되었고 오늘 7월 13일 음원이 발매되었습니다ㅏ이제 주접을 시작하겠습니다..(빠밤)자 일단 센터 댕댕이 먼저.. 아니 댕 ...
- 독서감상문을 잘 쓰는 방법기사 l20230712
- 쓰고, 그 내용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씁니다. 두 가지 내용이 인상 깊었다면 각각 다른 문단으로 씁니다. 서너 번째 문단을 다 쓴 뒤 마지막 내용을 시작합니다. 마지막 문단은 이 책에 대한 나의 생각을 최종적으로 정리합니다. 이렇게 설명을 해서 막상 쓸려고 하면 막막하시죠 이 내용을 사진으로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지금까 ...
- [챌린지]한국 로봇의 아버지, 변증남 교수님!기사 l20230712
- 최초의 로봇을 개발한 것으로 유명하신 분이기도 합니다. 서울대에서 전자공학과를 졸업하고, 미국에 유학을 가 제어공학을 전공한 뒤, 마침내 1975년에 박사학위를 받습니다. 교수님의 열정이 멋있지 않은가요? 교수님이 최초로 개발한 카이젬은 5자유도를 갖는 원통 좌표형 몸통이고, 그립퍼 손을 가진 로봇 매니뮬레이터를 개발하셨다고 합니다. 변증남 교 ...
- 노랑점나나니벌 현장교육에 다녀왔어요기사 l20230703
- 발견했습니다) 오늘의 주제는 였습니다. 연구원님과 대원들을 만나서 자기소개를 한 뒤 연구원님들이 가져온 노랑점나나니벌, 그리고 노랑점나나니벌 애벌레 표본을 보았습니다. 애벌레는 꿈틀거리는 것이 괴상한 기분이었습니다. (사진 설명 : 노랑점나나니벌 표본입니다. 꼬리 끝이 노랑색 점이 있습니다) ...
이전5960616263646566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