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나"(으)로 총 13,944건 검색되었습니다.
- [똥손 수학체험실] 모으면 10이 되는 환상의 짝꿍 게임!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3호
- 두 수를 골라 짝지어볼까요? 1부터 하나씩 따져봐요. 1과 짝이 되어 10을 만드는 수는 딱 하나예요. 바로 9이지요. 반대로 9와 만나 10이 되는 수도 1뿐이에요. 또, 2와 함께 10을 만드는 수는 8, 8의 짝꿍은 2이지요. 마찬가지로 3과 7이 짝꿍, 4와 6이 짝꿍, 5와 5도 짝꿍이랍니다. 10을 짝꿍이 되는 두 수로 ...
- [이달의 뉴스] 한국 4족 보행로봇 모래사장에서도 빠른 뜀박질과학동아 l2023년 03호
- 126/scirobotics.ade2256 딱딱한 아스팔트 도로보다 모래 위를 뛰는 것은 더 힘들다. 그 이유 중 하나는 다음 발걸음을 내딛을 때 움푹 들어갈 모래의 깊이를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직접 발을 모래 속으로 디뎌야 얼마만큼의 힘으로 지면을 박차야 하는지 알 수 있다. 로봇 공학자들은 강화학습을 ... ...
- [특집] 중이온 가속기, 1년 만에 터진 라온의 첫 축포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상태가 위중해 살 날이 몇 개월 남지 않았다는 의사의 진단을 들은 로런스는 아이디어를 하나 떠올린다. 자신이 연구하는 가속기로 어머니의 암세포를 죽일 수 있겠다는 생각이었다. 로런스의 희망은 적중했고, 어머니는 그로부터 16년 더 살 수 있었다는 이야기다. 지푸라기라도 잡으려면 ... ...
- [논문탐독] 강하며, 상호작용하는 암흑물질을 찾아서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찾는 것도 중요합니다. 예를 들면 대략적인 질량과 반응성 등입니다. 심프의 성질 중 하나는 높은 반응성입니다. 무작위로 돌아다니는 입자들이 세 개씩이나 가까이 모이는 일은 상당히 희귀합니다. 마치 넓디넓은 놀이공원에서 돌아다니다가 미리 연락하지 않은 친구를 한 명도 아니고 두 명이나 ... ...
- [People] 수학을 악보에 그리는 사람들 - 이지수 음악감독수학동아 l2023년 03호
- 어느새 20년이 훌쩍 넘게 이 일을 하고 있네요. 사람들과 의견을 주고받고 협업해서 하나의 음악을 완성해 나간다는 점이 너무 재밌어요. 물론 대중성과 음악성을 모두 잡아야 한다는 점이 여전히 쉽지 않아요. Q. 작곡을 시작한 계기가 무엇인가요.초등학교 2학년 담임선생님이 동요를 작곡했어요. ... ...
- 두 번째 질문 l 허수는 꼭 필요한 수인가?수학동아 l2023년 03호
- 뭔가요?’라는 질문을 받는데, 그러면 저뿐만 아니라 많은 수학자가 언급하는 수식 중 하나 예요. 이 식에는 e와 π에 허수 i까지 3개의 주요 수가 나와요. 세 수를 eiπ 꼴로 나타냈더니 -1이라는 굉장히 단순한 수가 나오는 경이로운 식이지요. 인문학자 오일러 항등식은 물론이고, 오늘날 현대 ... ...
- 시민과학콘 지구를 구하는 작은 영웅들을 소개합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기념하는 한글 동물 그리기 대회에 멋진 작품들을 뽐내주었어요.대회의 규칙은 단 하나! 동물의 모든 기관을 그 동물의 이름으로 표현하는 것이랍니다.한글자 한글자 정성스럽게 그려낸 친구들의 한글 동물 그림 작품! 지금 확인해 보아요~! 곽소영 대원 구구구네 ... ...
- [People] 만 10년 만에 이해한 그린-타오 정리수학동아 l2023년 02호
- 공부하는 세미나를 진행했습니다. 시간이 지나자 세미나에 함께하는 수학자들이 하나둘 늘어났습니다. 세미나에서 방법론을 다 공부하자 세키 교수는 논문에 언급된 문제 중 ‘타오 교수의 별자리 정리’를 일반화하자고 제안했습니다 ... ...
- [Rethinking] - 제1화 - 방정식엔 왜 x를 사용할까?수학동아 l2023년 02호
- 개념에 질문을 던지며 우리가 알던 수학을 다시 한번 혹은 다르게 생각해 보기로 했다. 하나 이상의 미지수가 있는 등식인 방정식은 아주 작은 것부터 넓은 우주까지 설명해낸다. 방정식에서 가장 중요한 문자가 미지수 ‘x’다. 이 x는 언제부터 왜 사용했을까? 첫 번째 질문, x를 언제 처음 ... ...
- [Rethinking] 세 번째 질문, x가 방정식에서 사라진다면?수학동아 l2023년 02호
- 전달하려면 굉장히 어려웠을 거예요. 그런 면에 있어서 수학의 기호화가 좋은 점 중 하나는 수학을 아는 사람이라면 어디서든 2x = 4라면 x는 2라는 것을 알 수 있다는 거예요. 그렇게 된 것 자체도 사실은 수학에서 기호화를 했기 때문에 나온 힘이 아닌가 생각해요. 그래서 연구자로서 첨언을 ... ...
이전5960616263646566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