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tuck
입
목구멍
식도
아래턱
턱끝
턱뼈
d라이브러리
"
턱
"(으)로 총 674건 검색되었습니다.
곤충들의 집짓기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왕가위벌 홍다리조롱박벌, 장미가위벌 등이 있다.장미가위벌의 암컷은 날카로운
턱
을 가위처럼 사용하여 장미 산수유나무 싸리나무 등의 부드러운 잎을 잘라 집을 만든다. 처음에는 14~20㎜의 타원형으로 그 다음은 8~10㎜의 원형으로 잎을 잘라낸다. 대나무통이나 다른 곤충이 파놓은 땅구멍속의 ... ...
5. 잠과 뇌파, 그 신비의 관계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수면다원검사(polysomnography)라 한다. 수면다원검사는 야간자연수면 동안에 뇌파 안구전위
턱
근전도 복부호흡운동 흉부호흡운동 혈액산소분압을 동시에 측정하는 것이다. 각성 비렘수면 및 렘수면시 나타나는 뇌파상의 차이는 이렇다. 비렘 수면동안에는 대뇌피질신경세포들이 동시에 폭발하고, ... ...
코골기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문제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쉬 피로를 느끼며, 코고는 도중 호흡정지가 심하게 나타나고,
턱
이 다른 사람보다 훨씬 좁은 경우에만 UPPP를 실시하게 되는데 이같은 수술요법은 코골기대책으로는 마지막 카드다. 코골기 방지약의 효과는 제한적비만이 코를 골게 하는 원인이라면 이 사람은 식습관과 ... ...
머리좋은 생물들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아직도 남아있다. 두족류는 8개 혹은 그 이상의 팔이 머리를 둘러싸고 있으며 날카로운
턱
안에는 먹이를 거칠게 문지르는 치설이 있다. 강한 외피근육은 재빠른 동작을 가능케하는 분사추진시스템을 통제한다. 동작이 둔한 조개에 비해 두족류는 얇은 벽으로 된 모세관과 빠른 산소교환기능이 있는 ... ...
유전학적 증거 갖고 두학파 맞서 네안데르탈인은 인류의 직계 조상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네안데르탈인의 특성을 아주 잘 나타내고 있다고 한다. 다른 특징은 세번째 어금니와
턱
사이의 지점에 있으며 초기 현생인류와 네안데르탈인이 모두 갖고 있는 것이다.한편 북 일리노이 대학의 스미스 박사는 대부분의 네안데르탈인 두 개골의 뒷부분을 보면 마치 작은 빵이 들러 붙어 있는 ... ...
악어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아래 넷째번의 이빨이 겉으로 나타나 보이는데 반해 앨리게이터는 이빨이 위
턱
이와 안쪽으로 서로 맞물려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다.앨리게이터는 스페인어로 도마뱀을 뜻하는 말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북아메리카 동남부, 미시시피강 일대에 사는 미시시피악어와 중국 양자강 하류에 위치한 무호 ... ...
과학평론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일곱개로 구성돼 있다.그러나 이 일곱개 중 하나는 매우 크다. 다른 여섯은 매우 작고
턱
의 뒷부분에 비좁게 자리잡고 있다. 따라서 테랍시드는 포유동물로 매우 근접하게 진화되어간 파충류처럼 보인다.포유동물은 입천장이 있어 들이마신 공기가 폐로 들어갈 수 있도록 되어있다. 이것은 음식물을 ... ...
"나를 싫어하는 것은 지독한 편견" 뱀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오늘날에도 상당히 많이 존재한다. 대략잡아 전세계 뱀의 10분의 1에 달한다. 독사는 위
턱
의 안쪽에 독액을 저장하고 있는데 그곳을 독샘이라고 부른다. 어떤 물체를 물면 독액은 주사바늘과 같은 독아를 통해 밖으로 흘러나오게 된다.독액은 연한 황색이거나 녹색인데 두세번 물면 독성이 약해진다 ... ...
무사개미와 개미귀신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구멍을 판 뒤 명주잠자리 유충(개미귀신)은 그 구멍 밑에서 머리와 집게 모양의 큰
턱
만을 내밀고 웅크리고 있다.개미와 그밖의 먹이가 구멍 가장자리를 지나다가 모래가 무너져 밑바닥으로 떨어지면 냉큼 잡아먹는다. 일단 떨어진 먹이가 기어 오르려고 버둥거리면 개미귀신은 모래알을 튀겨올려 ... ...
인류최초의 언어는 어떻게 생겨났나?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연구방법을 도입하기로 하고 엑상프로방스 언어연구소의 마리오 로시 연구원에게
턱
과 후두 부위의 특징분석을 의뢰했다.그 결과 토타벨원인(原人)은 언어를 구사하긴 했으나 'a u i j k g s ch'등의 발음은 하지 못한 것으로 밝혀졌다.이같은 해부학적 검증과정을 통하면 발성 가능성에 대한 것을 어느 ... ...
이전
59
60
61
62
63
64
65
66
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