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옆
옆면
경사면
사이드
가장자리
변두리
횡면
d라이브러리
"
측면
"(으)로 총 1,774건 검색되었습니다.
1905년 11월 1일 날씨맑음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한다.하지만 지난해 정부가 2004년 3월 25일을 근대기상 100주년으로 정한 것은 성급한
측면
이 많다. 정부는 목포에 근대 기상관측의 시작지임을 알리는 기념비까지 세웠다. 여러 다른 의견이 있었음에도 일본기상학회의 주장만을 따른 결과다. 물론 보는 각도에 따라 일본의 주장이 옳다 할 수도 ... ...
황우석 줄기세포, 줄기 꺾이나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황 교수팀이 연구원 난자를 썼을 거라는 의혹이 높아지고 있다.연구원의 난자 제공은 두
측면
에서 문제가 된다. 연구기관의 책임자는 소속 연구원에게 난자를 기증받으면 안된다는 국제학계의 생명윤리 가이드라인에 위배된다. 연구원은 자신이 원하지 않더라도 연구책임자의 말에 따를 수밖에 ... ...
2. 은하의 먹이사슬 밝힌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있을 것이라고 얘기했었다. 2003년 김 박사는 챔프 자료를 꼼꼼히 분석한 결과 관측의
측면
에서 보면 우주 웹은 구조를 갖고 있지 않는다는 주장을 담은 논문을 발표했다. 2004년까지 몇 편의 논문을 계속 발표했고, 그 결과 지금은 다들 김 박사의 의견에 동의한다.김 박사는 앞으로 X선을 통해 은하의 ... ...
1. 레이저로 측정 한계 극복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토대로 빛의 파동성을 대표하는 주파수를 정밀하게 제어해 실시간으로 시간과 공간
측면
에서 모두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한 것이다.더 정확하게, 더 정밀하게새로운 광주파수 빗 기술을 이용하면 현재 가장 정확한 측정 표준기인 세슘원자시계보다 약 100배 더 정확하고 ... ...
황새야 행운을 물어다다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순간이었다.사실 인공 증식된 황새의 야생 시험방사의 의미가 이렇게 감상적인
측면
만 있는 것은 아니다. 그 뒤에는 파괴된 환경을 되살리고 지켜내고자 하는 많은 사람들의 노력과 방사된 황새를 모니터링하며 자연을 관리하려는 과학이 숨어 있다. 황새가 살아야 모두 산다50여년 뒤 석유가 ... ...
3. 거대한 별의 인큐베이터 옆에서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다른 성운에서도 흔히 발견되는 현상이다. 하지만 삼렬성운은 비교적 나이가 적다는
측면
에서 초기 별 형성 과정 탐구에 도움을 준다. 속살 드러내는 암흑 우주“가시광선보다 파장이 긴 적외선은 눈에 보이지 않는 어둠 저편의 우주를 연구하는데 큰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삼렬성운처럼 ... ...
예술과 과학의 화려한 만남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무대
측면
에서 조명이 켜지고 굳게 닫힌 막이 사각형 모양으로 점점 커지며 열린다. 대영박물관의 갤러리가 환하게 펼쳐진다. 무대 안의 관람객들이 전시물 사이를 걷고 있을 때 갑자기 이집트 공주 암네리스가 전시부스에서 걸어 나오며 1막이 시작된다.영국의 팝 가수 엘튼 존이 작곡하고 로버트 ... ...
로봇은 노인의 친구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위해 선체 뒤에 늘어뜨려 예인하는 TAS(Towed Array Sonar)와 물고기의 옆선처럼 잠수함의
측면
에 소나를 일렬로 배열해 성능을 향상시키는 FAS(Flank Array Sonar)도 개발돼 사용되고 있다 영화 '붉은 10월' 등에 등장하는 소련 잠수함의 선미 수직타 위에 동그랗게 붙어있는 것이 바로 TAS를 격납하는 곳이다함교 ... ...
베이 vs 타코마 다리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다리가 손상되기도 했지만 이런 노력을 기울인 점은 높이 평가받고 있다.건설기술
측면
에서 베이 다리와 비슷한 기록을 보유하면서도 토목공학사에서 유례없는 실패로 기록된 사례는 타코마 다리다. 세계에서 세 번째로 긴 현수교로 워싱턴주의 명물이 된 타코마 다리는 개통된 지 불과 5개월도 ... ...
초강력 허리케인 급격히 증가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것은 아니지만 동시에 두
측면
을 보는 것은 모순되는 듯이 보이기도 한다 이 때 이 두
측면
은 서로 상보적이라고 하고, 자연에 이러한 상보성이 보편적으로 존재한다고 주장하는 것이 상보성 원리이다 보어의 상보성 원리는 모호한 면이 많고 과장된 부분이 많아서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지 ... ...
이전
59
60
61
62
63
64
65
66
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