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출발"(으)로 총 2,256건 검색되었습니다.
- 100m달리기 10초벽 깨려면 큰허리근 키우고 중력을 역이용하라과학동아 l2014년 09호
- 볼트는 스포츠카이고 우리나라 선수는 승용차다. 승용차가 아무리 빨리 시동을 걸어 출발해도 배기량이 훨씬 높은 스포츠카가 순식간에 가속해 추월해 버리는 것과 같다. 우리나라 선수가 9초대를 돌파하려면 배기량을 키워 최고 속도를 높여야 한다. 중력으로 돌림힘을 얻어라 또 하나의 ... ...
- 미래 세상의 공통어, 코드수학동아 l2014년 09호
- 사용하게 된 계기는 1940년경 세계 최초 범용 전자식 컴퓨터인 에니악의 발명에서부터 출발한다. 에니악은 1만 8000개의 진공관으로 작동하는 기계로, 대포나 미사일을 발사할 때 탄도 거리와 각도 계산을 빠르게 하기 위해 개발됐다. 미국 펜실베니아대 컴퓨터공학과 교수였던 존 모틀리와, 졸업생인 ... ...
- [시사] 역사를 바꾼 가장 위대한 전쟁 명량수학동아 l2014년 09호
- 흐르는 밀물로 바뀌었다. 이 밀물을 타고 일본함대는 전남 해남의 어란진을 출발해 울돌목으로 진격해 오고 있었다. 이때 이순신 장군이 이끄는 조선군은 전투 준비를 마치고 우수영 앞바다로 출전했다.11시 경, 드디어 조선군과 일본군이 맞닥뜨렸다. 당시 조류의 흐름은 일본군의 진격 방향과 ... ...
- 동토의 제국이 숨 쉬기 시작했다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으로 향하는 비행기에 올랐다. 놈은 3층 건물조차 드문 작은 항구마을로 앵커리지에서 출발하는 세계 최대 길이(1688km)의 개썰매 경주(Iditarod)가 끝나는 곳이다. 놈에서 2시간 가까이 북동쪽으로 차를 타고 가면 카운실(Council)이라는 오지가 나온다. 이곳에 2011년부터 극지연구소 연구원들을 비롯해 ... ...
- ‘우주 트랜스포머’ 화성탐사선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승무원들과 착륙선의 승무원들은 서로를 축하하고 격려할 것이다. 그러고 나면 지구로 출발할 것이다. 며칠에 걸쳐 사령선을 점검한 뒤 화성이륙모듈과 화물모듈을 떼어버리고 로켓을 점화할 것이다. 한 시간 정도 우렁찬 진동과 소음이 들리고 나면 엔진이 꺼질 것이다. 그리고 6개월간의 긴 항해가 ... ...
- [만화뉴스] 공항엔 얼마나 일찍 도착하는 것이 좋을까?수학동아 l2014년 07호
- 의 효용이 들고 비행기를 놓치는 확률은 5%이므로 추가로 2.5의 효용(50×5%)이 든다. 따라서 출발 한 시간 전에 도착한다면 총 12.5에 해당하는 효용이 든다.엘른버그 교수는 “비행기를 놓칠 경우 소모되는 효용인 50을 기준으로 자신이 어느 정도까지 감수할 수 있는지 구해 보라”고 조언하며, ... ...
-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산책 제곱근과 전자, 그리고 클리퍼드수학동아 l2014년 07호
- 결합해서 생각하기 시작하면 이러한 어려움은 금방 해결된다. 어떤 원점으로부터 출발해서 한쪽 방향으로 거리를 측정할 때, 양수를 쓰면 반대 방향으로의 거리는 음수로 표현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따라서 요즘은 고층 건물 엘리베이터 안에 1, 2, 3 층과 함께 -1층, -2층 등이 적힌 것을 종종 볼 수 ... ...
- 수학으로 달리는 똑똑한 지하철수학동아 l2014년 07호
- t1+t2+t3+t4+t5이다.t1은 앞 열차가 정차 역에 머물러 있다가 출발해서 역의 맨 앞에 있는 출발 신호기를 통과하기까지의 시간이다. t2는 역에 정차하고 있는 시간이고, t3은 뒤 열차가 역 안으로 들어올 때 가장 먼저 보이는 장내 신호기에 진입한 후 정차하기까지의 시간이다. t4는 폐색 신호기와 장내 ... ...
- 너희들은 수학으로 포위됐다수학동아 l2014년 07호
- 가리킨다.그렇다면 복소수를 확장한 수 체계는 없을까? 해밀턴은 이런 질문에서 출발해 새로운 수 체계인 사원수를 만들었다. 사원수는 복소수에서 쓰는 i라는 허수에 j와 k라는 새로운 허수들을 더한 수 체계로, a+bi+cj+dk라고 표현한다. 그리고 각 허수들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그렇다면 이 ... ...
- 진짜 투명망토가 나왔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만났을 때 휘돌아 흘러가는 것처럼 말이다. 이렇게 되면, 우리 눈에는 물체 뒤쪽에서 출발한 빛만 보이기 때문에 마치 물체가 사라진 것처럼 뒷배경만 보인다. “투명망토 만들고 싶다” “정신 나간 게 틀림없군” 이런 방식으로 빛을 굴절시키는 물질은 자연에 없다. 다시 말해, 음(-)의 굴절률을 ... ...
이전5960616263646566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