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책"(으)로 총 3,538건 검색되었습니다.
- [퍼즐라이프] 퍼즐러가 사는 법 … 퍼즐의 MSG, 경우의 수수학동아 l2020년 03호
- 블로그와 유튜브 채널 ‘퍼즐러갱TV’를 운영하며 ‘신기한 종이 퍼즐’이라는 책도 집필한 KPP의 ‘퍼즐러갱’입니다. 오늘은 ‘경우의 수’를 이용해 종이 퍼즐을 분석하는 방법을 소개할게요! ‘12개의 별 찾기’는 20세기 초 런던에서 열린 로버츠경 추모 워크숍*에서 임무 수행 중 몸을 다친 ... ...
- 방학이라고 늦게 자는 올빼미족 필독! 청소년의 잠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영차영차! 뭐 하는 중이냐고요? 난 잠의 요정! 우리 주인님이 제때 잠들 수 있도록 머릿속에서 일하는 중이죠! 그런데 요즘, 우리 주인님이 자꾸 밤에 늦게 잠든다? 그러다 보니 자꾸 아침에 늦게 일어나거나 오후에 졸기도 해요. 한창 클 시기인 주인님, 자꾸 이렇게 늦게 자도 되는 걸까요? ▼ 이 ... ...
- 부품의 세계를 탐험하다! 일렉트론 영웅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3호
- 각종 전자제품이 성능은 그대로 유지한 채 크기는 훨씬 작아질 수 있었던 이유랍니다. 책 에도 트랜지스터는 비범한 부품으로 등장해요. 다른 부품들은 그를 코딩 행성의 현자 ‘지스님’이라고 부르며, 늘 그를 따르지요. 지스는 레드, 그린, 블루(커넥터), 파우(전지), 엘리(LED), ... ...
- [매스크래프트] #3. 로마의 콜로세움, 왜 타원인거니?수학동아 l2020년 03호
- 기울기를 조정해 그림➍처럼 원, 타원, 포물선, 쌍곡선을 만들 수 있다는 내용을 담은 책 ‘원뿔’을 씁니다. 더 나아가 타원이 두 개의 고정된 점(초점)으로부터 거리의 합이 일정한 점들의 자취라는 것을 발견하는 등 원뿔 곡선에 대한 여러 가지 새로운 사실들을 알아냈습니다. 저는 웅장한 ... ...
- [진로체험] 반려견에 푹 빠진 수학 영재, 구원회 더식스데이 대표수학동아 l2020년 03호
- 저자가 미국 브라운대학교의 응용수학과 교수님이었는데, 어린 마음에 ‘이렇게 뛰어난 책을 쓴 교수님께 수학을 배우고 함께 연구하고 싶다’고 생각해 고등학교 졸업을 앞두고 급하게 유학을 준비했죠. 주로 어떤 분야에 관심이 있었나요?브라운대는 미국에서 가장 먼저 응용수학과를 만든 ... ...
- 토미, 토비가 전하는 과학동아천문대 소식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3호
- Q 별빛 미션왕이 된 걸 축하해요! 별빛 미션엔 어떻게 참가하게 됐나요? A 평소 책이나 어린이과학동아에서 과학 이야기를 많이 봐요. 최근엔 어과동에서 보이저 이야기를 재미있게 봤죠. 그러던 중 어과동 홈페이지에서 과학동아천문대 별빛클럽에 대한 글을 보고 별빛 미션에도 참가하게 ... ...
- 새 학년 두근두근 첫 만남 ♥ 0.1초 첫인상의 법칙과학동아 l2020년 03호
- 그럼 이런 인성과 능력은 무엇을 통해서 짧은 시간 안에 파악할 수 있는 걸까? 앞서 책 표지 얘기를 했듯이 인간의 경우 외모가 표지의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얼굴이 동안인 사람들은 능력은 다소 떨어지지만 착한 사람일 것이라는 인상을, 얼굴이 성숙한 사람들은 능력은 좋지만 고집 센 사람일 ... ...
- 우한에서 서울까지 47일의 기록...우한대 유학생의 우한 탈출기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있고, 2인실을 혼자 쓰는 터라 방 크기도 작지 않다. TV도 있고, 심심할 때 읽을 수 있는 책과 신문도 있다.매일 오전 9시와 오후 5시면 의사의 도움을 받아 체온을 재고 기록해야 한다. 내과뿐만 아니라 정신과 의사도 격리 시설에 상주하고 있다.밥은 시간에 맞춰 문 앞에 배달된 도시락을 내가 직접 ... ...
- 의사가 쓰고, 메디컬 일러스트레이터가 그리는 본격 의학 웹툰 ‘중증외상센터: 골든아워’과학동아 l2020년 03호
- 분야가 아닌 중증외상센터다. 이 씨는 “이국종 아주대병원 외상외과 교수가 2018년 쓴 책 ‘골든아워’를 읽고 감명을 받았다”며 “국내 중증외상센터가 처한 현실을 제대로 보여주고 싶었다”고 말했다. 작품의 부제를 ‘골든아워’로 정한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이 씨는 “중증외상센터를 ... ...
- [이달의 책] 생명의 나무는 계속 자란다 외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있게 전달한다. 논픽션과 픽션을 넘나들며 그간 15권의 책을 집필한 저자의 저력이 이 책에서 여실히 드러난다. 영어로 ‘phylogenetic tree’나 ‘evolutionary tree’로 표기하는 계통수를 저자가 왜 ‘얽히고설킨(Tangled)’ 나무라고 표현했는지도 알게 될 것이다. 아, 복잡다단한 생명의 신비여 ... ...
이전5960616263646566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