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완성"(으)로 총 3,487건 검색되었습니다.
- ‘아재’들의 미래였던 2020년, 실제 발명된 SF 아이템 Top5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도달하면 망토 안 물체는 보이지 않고 망토 뒤의 배경만 보이게 돼 투명망토가 완성된다. 빛을 휘게 만드는 것, 즉 투명망토의 소재로는 메타물질이 주로 사용된다. 2011년부터 투명망토를 개발해온 캐나다 기업 하이퍼스텔스는 2019년 10월 동영상을 통해 메타물질로 만든 원통형 렌즈를 촘촘히 ... ...
- 2040년 로봇을 예측하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3D프린터로 사람의 신체를 조각조각 만들고, 이것을 부품처럼 조립해서 사람 형태를 완성합니다. 물질적으로는 인간과 똑같은 소재인데 생산 과정은 로봇의 프로세스를 따르죠. 가사 로봇이나 보안 로봇처럼 한 가지의 단순한 기능을 수행하는 로봇들도 등장하는데요? 그렇습니다. 저는 인간을 ... ...
- 조선의 갈릴레오, 장영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간의대에 가서 정초 등과 토론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는 만큼 간의대는 이 시기에 이미 완성됐을 것으로 추정된다.장영실은 천문 관측 내용을 바탕으로 1437년 새로운 시계를 선보였고, 세종은 이를 ‘일성정시의’라고 이름 붙였다. 태양이 항상 동쪽에서 서쪽으로 지듯이 밤하늘의 별은 북극성을 ... ...
- [ 과학동아 X Geekble] 치킨 발사기! 맹맹한 프라이드 치킨에 허니콤보 소스를 입혀주마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아닌 케첩 발사기라는 오명까지 얻었습니다. STEP 3 조선시대 대포 구조 응용해 완성 원인 분석에 들어갔습니다. 가장 큰 문제는 핫도그가 날아가지 않았다는 겁니다. 치킨으로 해도 마찬가지였습니다. 분명 이산화탄소 인젝터의 힘은 셉니다. 문제는 분사된 기체가 치킨과 아크릴관 사이 틈으로 다 ... ...
- [매스크래프트] 할그림스키르캬, 마크로 적분 배워봤니?수학동아 l2020년 01호
- 아름다워! 너무 그럴싸하지 않나요? 제가 완성하고도 놀랐다니까요? 그런데 왜 유명하지도 않은 할그림스키르캬를 만들었냐고요? 수학과 출신인 퓨처킴 눈에는 수학과 관련된 것들만 보이거든요(음하하). 이 교회를 본 순간 ‘구분구적법’이 딱 떠올랐답니다. 구분구적법은 고등학교에서 배우는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생물이야, 로봇이야? 생체모방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온몸으로 관을 감싼 로봇(아래 사진), 뱀처럼 생기지 않았나요? 이처럼 사람을 비롯한 동물, 식물 등 생물의 기본 구조와 작동 방식을 본떠 만든 로봇을 ‘생체모방 로봇’ ... 문이나 천장에 걸어놓고 즐길 수 있어요. 중력을 거슬러 수직으로 올라가는 스파이더 로봇을 완성해 보세요! ... ...
- [지사탐 수료식] 전국의 시민과학자 모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iNaturalist) 등 시민과학 플랫폼을 통해 수집한 자료로 서울의 화분매개자 지도를 완성했어요. 총 145명이 촬영한 1897장의 사진을 직접 동정했지요. 빨간색으로 표시된 여의도, 이화여대, 용산 기지 등은 화분매개자가 많이 살고, 파란색으로 표시된 한강변과 주요 도로 주변은 화분매개자가 적어요. ... ...
- 똥으로 만든 칼, 쓸 수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 칼 모양으로 만든 다음 영하 20℃로 얼렸지요. 그리고 끝을 날카롭게 갈면 짜잔, 똥칼 완성!똥칼이 진짜로 물건을 자를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연구팀은 똥칼로 돼지고기를 직접 잘라봤어요. 하지만 결과는 실패! 칼날을 고기에 대고 긋는 순간 칼날이 녹으면서 고기는 자르지 못하고 똥 자국만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탱글탱글 톡톡! 먹는 물병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평범한 물병은 가라! 마라톤에 참가한 섭섭박사님은 달릴 때마다 거추장스러운 물병이 신경 쓰였어요. 그래서 먹어서 없앨 수 있는 물병을 만들어야겠다고 생각했지요 ... 젤로 바뀌어요. 원하는 모양의 틀에 용액을 넣어주고 식히면 나만의 개성있는 물방울 젤리를 완성할 수 있답니다 ... ...
- 지렁이의 비밀① 지렁이 지도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3호
- 연구원) “저는 컴퓨터로 일하는 생태학자예요!” 140명의 연구자와 함께 지렁이 지도를 완성한 건 결코 쉬운 일이 아니었을 거예요. 이메일 인터뷰를 통해 직접 이야기를 들어 보았어요. Q 어떻게 지렁이 연구를 시작하게 됐나요?이번 연구를 하기 직전 맡았던 프로젝트가 인간의 땅 사용이 생물 ... ...
이전5960616263646566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