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필요
소용
사용
수용자
수요자
사용자
사용인
d라이브러리
"
수요
"(으)로 총 959건 검색되었습니다.
4 개인용전화기 시대가 온다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등산 낚시 여행 등 레저용으로 큰 인기를 끌 것이라던 예상과는 달리 생활무전기의
수요
는 미미하다. 이는 정부가 출력 안테나길이 주파수 대역 등에 대해 까다롭게 규제를 하고 있기 때문이다.가령 출력이4~5W 안테나길이가 1.5m는 돼야 불편없이 쓸 수 있는데 현재 나와있는 제품은 출력 0.5W에 ... ...
브라운관에서 액정화면까지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특수한 환경에서 응용된다. 앞으로는 고품질의 중간 크기 화면이 요구되는 분야에서 그
수요
가 크게 기대된다.다가오는 21세기 전자기술의 종합체로서 등장할 고선명TV(HDTV)는 기존의 컬러 TV에 비해 2배 이상의 해상도, 5배 이상의 정보표시, 30인치 이상의 대형화면과 10배 이상의 색상 재현성 등을 ... ...
1. 트랜지스터 1백만개 이상 집적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PC 및 워크스테이션의 증가가 이를 지원해야 하는 자료 집중장치로서 중형 컴퓨터의
수요
를 더 늘렸다는 통계들이 나오고 있다.마이크로프로세서의 성능은 끊임없이 높아져 10년 내에 64비트형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수백 MIPS급 속도를 가진 것이 등장하여 더욱 높은 성능의 PC(그때쯤이면 PC라는 용어가 ... ...
1%만 절약하면 제주도에서 2년 쓴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정도로 예상된다. 1백만㎾ 급 원전 4기가 에어컨을 켜는 데 동원된다는 얘기다.전력
수요
가 많은 대형건물의 냉방용으로 동자부와 한전이 적극 권장하고 있는 전기절약방식은 빙축열냉방시스템. 전기가 남아도는 심야에 주먹크기 만한 물주머니를 많이 얼렸다가 낮시간에 이를 녹여 냉방용으로 ... ...
소프트웨어산업 내일 여는 젊은 프로그래머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정도가 팔렸다. PC마다 한글카드가 하나 필요 한데 대기업제품의 절반 이하 가격이니
수요
가 몰릴 수밖에 없었다. 게다가 다른 소프트웨어제품과 달리 하드웨어를 함께 상품화 해 복제품으로 인한 피해도 덜했다. 남의 사무실 한모퉁이에서 전화를 빌어 시작한 그는 현재 오피스텔 두채를 사용할만큼 ... ...
20만원 들이면 XT가 AT된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32비트 컴퓨터로 가는 중간단계)으로 개조하는데 드는 비용은 40 만원선. 아직 이
수요
는 그다지 많지 않다.현재 PC개조를 전문으로 하는 업체는 하버드컴퓨터외에 다름컴퓨터(마포구 아현동) 모아시스템(용산전자상가) 화신전자(종로2가) 등이 있다 ... ...
정부출연 연구소 부처찾기 그 내막은?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정부가 지원해야할 기본경비는 현행과 같이 지원하되 연구기관의 활용과 육성은 모든
수요
자가 대등한 입장에서 프로젝트 계약방식으로 자유롭게 하는 방안이다.두번째는 연구소의 자율적인 운영이다. 사실 70년대에는 오히려 이사회의 임원선임권을 정부에서 존중하고 재정관리와 연구과제 ... ...
어린이 과학교육의 새길 닦는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조그만 지하 사무실은 왁자지껄하다. 교과서를 분석하고 수업기술을 연구하는
수요
과학세미나외에도 일어학습 환경문제연구모임 컴퓨터강습 사고력개발연구팀 과학놀이개발팀 등이 월요일부터 토요일까지 요일을 달리해 모임을 갖기 때문이다.출석을 기록하는 사람도 없고 회원에게 부가되는 ... ...
1 하이테크기술 완전제패를 노린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기술수출액)도 많이 챙기고 전적(논문수)도 화려하다. 또 이 덩치 큰 '친구'는 관중수(
수요
)와 무관한 새로운 기술개발에도 여념이 없다.이에 비해 도전자인 일본은 비록 기초체력은 달리지만 링에서의 임기응변력(응용기술)은 월등하다. 최근에는 기초체력도 갈고 닦아 챔피온과의 실력차를 현저히 ... ...
2 좁혀지는 과학자와 기술자의 간격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것으로 보인다. 기초과학에의 지원강화와 공학분야의 전문성 강화, 즉 석박사인력의
수요
급증이 그 주요한 내용이 될 전망이다. 따라서 진로선택을 앞둔 청소년들도 '보다 안정된 직장을 위해 공학을 선택한다'든가 '기초과학은 비현실적'이라는 막연한 고정관념은 바꾸어야할 것이다.그러나 ... ...
이전
59
60
61
62
63
64
65
66
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