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산시
부산광역시
부산문화방송
문화
방송
d라이브러리
"
부산
"(으)로 총 1,121건 검색되었습니다.
1. 내 몸 지키는 식욕 호르몬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많다. 반면 아침을 안 먹으면 하루 종일 힘이 없다는 사람도 있다. 왜 이런 차이가 생길까.
부산
대 의대 김형회 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아침을 먹는 사람은 식사 2시간 전부터 그렐린의 농도가 높아지는 반면, 아침을 안 먹는 사람은 식사 시간이 되도 그렐린 농도가 높아지지 않는다. 아침을 반복적으로 ... ...
대한민국 1% 과학영재 되는 비법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학생도 자기 적성과 흥미에 따라 이수과목을 선택할 수 있다.
부산
당감동 가파른 언덕에 자리한 한국과학영재학교(KSA)는 2003년 개교한 이래 수학·과학 영재가 원하는 수업을 들으며 원하는 연구를 하는 장(場)이 돼 왔다. KSA 학생들은 교사나 대학교수의 지도를 받아 ... ...
곤충계 스타, 북쪽으로 가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현격히 줄어든 종이 많다. 예를 들어 멸종위기종의 하나인 붉은점모시나비는 과거에
부산
근처에서 북쪽까지 여러 곳에 살았지만 지금은 강원도 북부지역에서만 큰 집단으로 확인될 뿐이다. 이와 같은 종을 일정한 시간 동안 주기적으로 조사한다면 우리 나비들도 기후변화의 지표종으로 활용할 수 ... ...
첨단과학 포장이사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있어요. 뿐만 아니라 수장고는 홍수처럼 물에 잠기는 상황을 대비해야 해요. 실제로
부산
시립미술관 수장고는 미술관 전체가 물에 잠겨도 6시간이나 버틸 수 있답니다. 수장고의 벽면과 천장은 습기 조절에 탁월하고 뒤틀림이 없는 오동나무로 만들어요. 바닥은 작품 운반이 잦아 흠집이 나기 쉽기 ... ...
색소폰과 클라리넷 부는 공학자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대단했다. 정기연주회를 열었을 뿐 아니라 예술의 전당에서 개최된 관악축제에 참여했고
부산
문화회관을 비롯한 지방 초청 연주회도 가졌다. 마침내 일본 오사카에서 일본의 ‘미베몰 색소폰 앙상블’과 합동 공연을 갖게 된 것이다.드디어 공연이 시작됐다. 일본 색소폰 앙상블은 소리가 아름답고 ... ...
다시 우뚝 선 우리 공룡 천년부경룡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전 백악기의 한반도에 살았던 공룡이
부산
에서 다시 우뚝 일어섰다는 소식을 듣고 급히
부산
으로 달려왔습니다. 도대체 어떻게 공룡이 다시 일어설 수 있었던 걸까요?명예기자 친구들과 함께 만나 본 다시 일어선 우리 공룡‘천년부경룡’을 소개합니다~.천년부경룡의 이야기안녕? 난 ... ...
part 1 못 볼 곳 없는 천리안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가능해질 수 있다는 말이다. 카메라 앞에 적절한 망원렌즈를 추가한다면 서울 상공에서
부산
해운대 앞바다(약 400km 거리)의 갈매기가 몇 마리인지 내다보는 ‘천리안’도 가능하지 않을까.밤만 되면 앞을 볼 수 없는 인간 시각의 한계는 군사용으로 사용되는 야간 투시경으로 극복할 수 있다. 인간의 ... ...
3. 나를 키운 건 8할이 그분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척 할 수 없었다. 지난해 은주 양은 고 교수의 초대로 두 번의 값진 경험을 했다. 5월에는
부산
에서 대마도까지 국립수산과학원의 연구선인 ‘탐구1호’를 타고 항해하는 해양선상캠프에 참가했다. 심해에서 끌어올린 물을 손으로 만지며 수심이 깊어질수록 바닷물의 온도가 어떻게 변하는지 ... ...
태안의 자연을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전형적인 리아스식 해안이라 해안선이 복잡해. 해안선의 총 길이는 530㎞로 서울에서
부산
까지 거리보다 길어. 특히 갯벌, 해안사구 등의 해안지형이 잘 발달돼 있어 경관이 아름답고 다양한 생물이 살고 있지.반도라는 특성 때문에 육상 생물보다는 수생 생물을 더 많이 볼 수 있어. 갯벌에는 ... ...
조선조류열전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 몸길이 약 33cm서식장소 : 마을 주변 숲1968년 12월 이화여대 의예과 동물학교실 재직시절
부산
고향집에 내려갔을 때의 일이다. 중앙동의 허름한 뒷골목을 지나는데, 포장마차에 참새와 개똥지빠귀, 딱따구리, 황여새가 새끼줄에 묶인 채 매달려있었다. 이 가운데 꼬리 빠진 염주비둘기 한 마리가 ... ...
이전
59
60
61
62
63
64
65
66
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