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산시
부산광역시
부산문화방송
문화
방송
d라이브러리
"
부산
"(으)로 총 1,121건 검색되었습니다.
X선 영상에 예술 담는 의사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아버지의 영향이 크다. 일제강점기 때 일본에서 공예전문대를 졸업한 아버지는 해방 후
부산
공업고등학교 교장을 지냈다. 예술적 감수성과 손재주가 뛰어났던 아버지는 특히 레오나르도 다빈치를 좋아했다.“아버지는 항상 남들과 다르게 생각하라고 가르치셨어요. 초등학교 시절 아버지는 ... ...
1. 내 몸 지키는 식욕 호르몬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많다. 반면 아침을 안 먹으면 하루 종일 힘이 없다는 사람도 있다. 왜 이런 차이가 생길까.
부산
대 의대 김형회 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아침을 먹는 사람은 식사 2시간 전부터 그렐린의 농도가 높아지는 반면, 아침을 안 먹는 사람은 식사 시간이 되도 그렐린 농도가 높아지지 않는다. 아침을 반복적으로 ... ...
곤충계 스타, 북쪽으로 가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현격히 줄어든 종이 많다. 예를 들어 멸종위기종의 하나인 붉은점모시나비는 과거에
부산
근처에서 북쪽까지 여러 곳에 살았지만 지금은 강원도 북부지역에서만 큰 집단으로 확인될 뿐이다. 이와 같은 종을 일정한 시간 동안 주기적으로 조사한다면 우리 나비들도 기후변화의 지표종으로 활용할 수 ... ...
첨단과학 포장이사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있어요. 뿐만 아니라 수장고는 홍수처럼 물에 잠기는 상황을 대비해야 해요. 실제로
부산
시립미술관 수장고는 미술관 전체가 물에 잠겨도 6시간이나 버틸 수 있답니다. 수장고의 벽면과 천장은 습기 조절에 탁월하고 뒤틀림이 없는 오동나무로 만들어요. 바닥은 작품 운반이 잦아 흠집이 나기 쉽기 ... ...
색소폰과 클라리넷 부는 공학자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대단했다. 정기연주회를 열었을 뿐 아니라 예술의 전당에서 개최된 관악축제에 참여했고
부산
문화회관을 비롯한 지방 초청 연주회도 가졌다. 마침내 일본 오사카에서 일본의 ‘미베몰 색소폰 앙상블’과 합동 공연을 갖게 된 것이다.드디어 공연이 시작됐다. 일본 색소폰 앙상블은 소리가 아름답고 ... ...
part 1 못 볼 곳 없는 천리안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가능해질 수 있다는 말이다. 카메라 앞에 적절한 망원렌즈를 추가한다면 서울 상공에서
부산
해운대 앞바다(약 400km 거리)의 갈매기가 몇 마리인지 내다보는 ‘천리안’도 가능하지 않을까.밤만 되면 앞을 볼 수 없는 인간 시각의 한계는 군사용으로 사용되는 야간 투시경으로 극복할 수 있다. 인간의 ... ...
다시 우뚝 선 우리 공룡 천년부경룡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전 백악기의 한반도에 살았던 공룡이
부산
에서 다시 우뚝 일어섰다는 소식을 듣고 급히
부산
으로 달려왔습니다. 도대체 어떻게 공룡이 다시 일어설 수 있었던 걸까요?명예기자 친구들과 함께 만나 본 다시 일어선 우리 공룡‘천년부경룡’을 소개합니다~.천년부경룡의 이야기안녕? 난 ... ...
3. 나를 키운 건 8할이 그분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척 할 수 없었다. 지난해 은주 양은 고 교수의 초대로 두 번의 값진 경험을 했다. 5월에는
부산
에서 대마도까지 국립수산과학원의 연구선인 ‘탐구1호’를 타고 항해하는 해양선상캠프에 참가했다. 심해에서 끌어올린 물을 손으로 만지며 수심이 깊어질수록 바닷물의 온도가 어떻게 변하는지 ... ...
태안의 자연을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전형적인 리아스식 해안이라 해안선이 복잡해. 해안선의 총 길이는 530㎞로 서울에서
부산
까지 거리보다 길어. 특히 갯벌, 해안사구 등의 해안지형이 잘 발달돼 있어 경관이 아름답고 다양한 생물이 살고 있지.반도라는 특성 때문에 육상 생물보다는 수생 생물을 더 많이 볼 수 있어. 갯벌에는 ... ...
북극 종자은행, 냉각 시작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방향으로 생긴다 강한 자외선이나 먼지, 바람에 노출되면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부산
피질에서 분비되며 단백질을 분해해 포도당으로 전환시킨다뇌의 시상하부와 전두엽 피질에서 분비되며 뇌가 깨어있게 한다부신수질에서 분비되며 심박수를 증가시키고 혈관을 확장시킨다 ... ...
이전
59
60
61
62
63
64
65
66
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