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보기"(으)로 총 3,938건 검색되었습니다.
- 최고의 데이터 요리사는 누구?수학동아 l2019년 05호
- 기본 통계량을 구합니다. 여기서 핵심은 정보를 잘 나타낼 수 있는 그래프를 골라 보기 좋게 표현하는 겁니다. 이제 요리는 다 끝났습니다.마지막 단계는 맛보고 평가하는 겁니다. 요리를 잘 만들었어도 주방이 엉망진창이면 곤란합니다. 그래서 맛은 물론 요리 과정 전체를 평가하는 게 핵심이죠. ... ...
- [이투스의 입시정보] 간호학과과학동아 l2019년 05호
- 간호학과 인간이 중심이 되는 인본주의 과학“나는 일생을 의롭게 살며 전문 간호직에 최선을 다할 것을 하느님과 여러분 앞에 선서합니다. ”간호학과에서는 환자의 건강을 증진시키고 ... 간호대학 > 자세히 보기 - 연세대 간호학과 > 자세히 보기 - 고려대 간호학과 > 자세히 보기 ...
- 블랙홀 첫 직관, 여전히 궁금한 5가지!과학동아 l2019년 05호
- IRAM 30m)부터 서쪽 끝에 있는 미국 하와이 전파망원경(SMA/JCMT)까지 하나의 블랙홀을 보기 위해서는, 지구가 자전해 모든 전파망원경이 블랙홀을 관측할 때까지 촬영해야 한다. EHT의 이런 특성 때문에 빛이 더 천천히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는 M87* 관측이 더 쉽다.Sgr A*는 관측도 어렵지만, 관측 결과를 ... ...
- [화보] 출생의 비밀을 찾아라! 클레어의 폐허 탐험기수학동아 l2019년 05호
- 배웠어요. 어떤 사진을 찍을지 고민하던 어느 날, 제가 사랑하는 반려견과 함께 작업해 보기로 했죠. 클레어는 카메라를 향해 포즈도 잘 취하고, 사람들의 관심을 받는 것을 좋아하는 타고난 모델이거든요. 클레어와 찍은 사진을 많은 사람이 좋아해 준 덕분에 상도 수차례 받았고, 각종 잡지와 ... ...
- [서거 500년] 프로N잡러 레오나르도 다빈치수학동아 l2019년 05호
- 구해야 했는데, 방정식을 다룰 수 없던 다빈치는 원을 삼각형 또는 사각형으로 쪼개 보기도 하고, 원의 둘레를 펼쳐 길이를 측정하기도 했습니다. 10여 년간 수많은 시도를 했지만, 결국 문제 해결에는 실패합니다. 사실 이 문제는 ‘원의 구적 문제’라 불리는 고대 그리스 시절부터의 난제로, 19세기 ... ...
- [이투스의 입시정보] 컴퓨터공학과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컴퓨터공학과인간의 윤리를 생각하는 학문 컴퓨터는 모든 생활과 산업에 밀접하게 자리잡고 있고 앞으로도더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입니다.또한 우리는 ... 컴퓨터공학부 > 자세히 보기 - 연세대 컴퓨터과학과 > 자세히 보기 - 고려대 컴퓨터학과 > 자세히 보기 ...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슈뢰딩거의 고양이는 죽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큰 물체는 두 가지의 서로 다른 상태에 놓일 수 없답니다. 따라서 우리가 상자를 열어보기 전에도 상자 안의 고양이 역시 죽어 있거나 살아 있을 거예요. 물론 우리가 상자를 열어 봐도 당연히 고양이가 죽어 있는 것을 보든지 살아 있는 것을 볼 거고요. 둘 중 하나만 가능하지요. 고양이가 죽은 것도 ... ...
- [화보] 섞으면 퍼즐도 예술이 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하지만 한 가지 답만 있는 것이 아쉬워서, 여러 퍼즐을 섞어 새로운 그림을 만들어보기로 했어요. 같은 회사에서 만든 퍼즐의 경우, 그림은 달라도 조각의 모양이 같아서 서로 섞을 수 있거든요! Q 새로운 퍼즐 작품은 어떻게 만드시나요? 우선 같은 모양 조각의 두 퍼즐을 찾은 뒤, 퍼즐 하나를 ... ...
- [INTERVIEW] 지구를 가로질러 우주로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말로는 이루 표현하기 어렵습니다. 그 감정에 중독돼 지금은 거의 매년 개기일식을 보기 위해 세계 곳곳을 다니고 있습니다. 그런 경험들을 책에서 볼 수 있나요?김지현. 그렇습니다. 책은 크게 1부와 2부로 나눠서 구성했습니다. 1부에서는 저희가 우주를 관측하기 위해 전 세계를 다닌 경험들을 ... ...
- [맛있는 수학] 함수 품은 블랑망제 푸딩수학동아 l2019년 04호
- 반례를 찾아서 거짓임을 증명하는 것은 우주에서 모래를 찾는 일처럼 어려운데 언뜻 보기에 ‘연속 함수는 미분 가능하다’는 명제는 당시 수학계에서 명백하게 여겨졌기 때문이죠. 톨은 자신의 논문에서 블랑망제 함수의 의의에 대해 이렇게 말했습니다. 연필을 들고 따라 그려보면 쉽고 ... ...
이전5960616263646566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