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터"(으)로 총 1,181건 검색되었습니다.
- 혈당 알리는 문신에서 거미줄로 만든 피부까지과학동아 l2011년 11호
- 만나면 탈수를, 혈중 산소와 만나면 빈혈을 체크한다. 입자들은 지름이 120nm(나노미터, 1nm는 10억 분의 1m)에 불과해 미세한 모세혈관 속도 거뜬하게 드나든다. 조명도 아이폰에 있는 LED면 충분하다.이 기술의 최대 장점은 당뇨병 환자들이 매번 혈당을 체크하려고 피를 뽑을 필요가 없다는 점이다. 이 ... ...
- ‘구리실 반도체’ 더 작게, 더 빨리과학동아 l2011년 11호
- 방식으로 구리나노와이어를 생산하는 데 성공했다. 와이어의 폭은 처음에는 150nm(나노미터, 10억분의 1m)이었지만 이제는 20nm까지 줄어들었다. 보통 머리카락 두께(약 100μm)의 5000분의 1에 달하는 크기다. 물론 구리를 기판에 입히는 재료인 구리 전해 도금 용액을 개발한 것도 김 교수의 연구팀이다. ... ...
- 금속 몰아내는 고성능 플라스틱과학동아 l2011년 10호
- 2000개 뚫린 판을 통해 뽑아낸 유리섬유를 잡아당기면 가늘어진다. 지름 50~150㎛(마이크로미터, 1㎛=10-6m)의 얇은 실이 되면 물을 뿌려 굳히고 코팅한 뒤 한 데 모아 한 가닥의 끈으로 만든다. 얇은 한 가닥 끈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2000가닥의 유리섬유가 붙어 있다. 마지막으로 유리 섬유를 4.5mm단위로 ... ...
- 별 삼키는 블랙홀 봤다!과학동아 l2011년 10호
- 카메라와 가시광선 카메라, 그리고 분광기가 있다. 근적외선은 파장이 1.0~2.5μm(마이크로미터, 1μm는 100만분의 1m)로 가시광선 파장인 0.4~0.7μm보다 긴 영역이다. 검출기는 한번 교체하는 데 3일 정도가 걸리기 때문에 만일 이때 가시광선 카메라나 분광기가 달려 있었다면 바로 관측에 들어가지는 ... ...
- Part 2. “불가능은 없다” 양자미션5과학동아 l2011년 10호
- 했다. 이 강연은 나노시대의 시작을 알렸다. 이후 수 cm 크기의 진공관 스위치는 수 nm(나노미터, 10억 분의 1m) 크기의 트랜지스터로 대체되면서 메가바이트(MB), 기가바이트(GB), 테라바이트(TB)의 시대로 발전해 왔다.그런데 이런 소형화 또는 반도체 소자의 집적화가 한계에 부딪히고 있다. 스위치가 ... ...
- 비닐에서 LCD까지, 미세 가공을 부탁해과학동아 l2011년 10호
- 연구하고 있다. 펨토초레이저는 수백 nm(나노미터, 1nm = 10-9m) 크기에서 수 μm(마이크로미터, 1μm = 10-6m) 크기의 매우 정밀한 가공이 가능해 기존의 가공 기술로는 다루기 힘든 유리, 세라믹, 폴리머 같은 물질을 가공한다. 노 실장은 펨토초레이저의 장점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레이저의 ... ...
- 세계에서 가장 밝은 빛 쏜다과학동아 l2011년 09호
- 선 자유전자레이저’라고 부르기도 한다. 빛의 밝기도 일정해 관측 효율도 높다. 수 나노미터 수준의 구조도 선명하게 관찰할 수 있다. 생명과학을 연구한다면 원자 수준까지 ‘눈으로 보면서’ 연구할 수 있는 셈이다.또 하나 중요한 특징은 ‘동영상’ 관찰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구조와 함께 시간 ... ...
- Part 2. 게놈 클럽 신분증 직접 만들어보다과학동아 l2011년 09호
- “요즘은 염기서열을 해독할 때 클로닝을 하지 않습니다. 박테리아 대신 1μm(마이크로미터, 100만분의 1미터) 크기의 자성 구슬에 DNA를 붙여 양을 늘리죠.”DNA를 구슬에 붙이는 과정은 간단했다. 박 연구원은 “방금 뽑은 DNA에 몇 가지 시약을 넣은 후 20분을 기다리면 화학반응을 통해 자동으로 조각난 ... ...
- 나노물질로 유도만능줄기세포 만든다과학동아 l2011년 09호
- 연구팀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바이러스 대신 나노입자를 썼다. 우선 170nm(나노미터, 1nm=10억분의 1m) 크기의 생체 독성이 없는 나노입자를 만들고, 이 나노입자에 철 분자를 첨가했다. 음극을 띤 DNA와 결합시키기 위해서다. 유전자가 붙은 나노입자를 세포 속에 다시 넣자 역분화가 일어났다. ... ...
- 별과 생명체의 씨앗 우주먼지과학동아 l2011년 09호
- 0.1% 차지우주먼지(cosmic dust)는 분자가 몇 개 모여 있는 입자에서 크기가 수 μm(마이크로미터, 1μm는 100만분의 1m)에 이르는 고체입자다. 평균적으로 봤을 때 우주에서 먼지의 밀도는 무척 희박하다. 어느 정도인가 하면 우리은하의 경우 1km3에 먼지 100개가 있다. 그래도 공간이 워낙 넓다보니 ... ...
이전5960616263646566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