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못"(으)로 총 3,108건 검색되었습니다.
- [오일러 프로젝트] 가장 긴 콜라츠 수열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8년 09호
- 자신보다 약 342배나 큰 9232까지 커졌다가 30여 단계를 더 거쳐 1이 된다. 이처럼 예상치 못한 전개로 수가 커지고 작아져서인지 수학자뿐만 아니라 컴퓨터과학자까지 합세해 열심히 연구하고 있지만, 콜라츠 추측의 해결 기미는 아직까지 보이지 않고 있다. 헝가리의 천재 수학자 에르되시 팔 역시 ... ...
- 애매한 무승부보다 확실한 승리를 위해 공격! 3점 승점제의 비밀수학동아 l2018년 09호
- 하지만 3점 승점제의 경우 1승 1패를 하면 둘 다 3점씩 받지만 2무를 하면 서로 2점밖에 못 받아 승점에서 손해를 보게 됩니다. 이는 두 팀을 제외한 다른 모든 경쟁자들에겐 희소식이 되겠죠. 이런 차이점 때문에 3점 승점제는 무승부보다는 승패를 가릴 수 있도록 득점을 추구하게 만드는 확실한 ... ...
- Par 1. 필즈상, 무엇이든 다~ 물어보세요수학동아 l2018년 08호
- 있는 방법을 수학적으로 엄밀하게 발전시켰어요. 놀랍게도 교수님은 원근감을 느끼지 못하셨어요. 어떤 물건이 가까이 있고, 멀리 있는지 모르는 거지요. 그래서 입체를 보는 훈련을 따로 하셨어요. 교수님은 이런 훈련이 3차원 공간을 새로운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돕고 고차원 공간도 같은 ... ...
- [매스미디어] 뮤지컬, 프랑켄슈타인수학동아 l2018년 08호
- 큰 역할을 했습니다. 현대의 과학자들은 소설 속 괴물 같은 인공생명을 아직 만들지 못 했습니다. 언젠간 빅토르가 해냈던 것처럼 인공생명체를 창조할 수도 있겠죠. 하지만 그전에 우리가 먼저 해야 할 일은 인공생명이 우리에게 미칠 영향에 대한 진지한 토론입니다. 무엇보다 창조물에 대한 ... ...
- [Culture] 영화 속 그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8년 08호
- 변신 마스크를 쓰고 위장하는 장면이 등장한다. 관객들도 변장 사실을 눈치 채지 못할 만큼 정교하다. 특히 3편에는 변신 마스크를 제작하는 과정이 등장해 눈길을 끈다. 화장품처럼 생긴 카메라로 위장할 인물을 촬영한 뒤 이를 3차원(3D) 이미지로 구현하고, 이 이미지를 3D프린터로 인쇄해 마스크를 ... ...
- [Interview] "박쥐 같은 학문 바이오피직스로 면역항암제 개발 길 열 것"과학동아 l2018년 08호
- 굉장히 수줍음이 많았다. 앞에 사람이 2명 이상 있으면 얼굴이 빨개져 아무 말도 하지 못했다. 그때에 비하면 지금은 아주 뻔뻔해졌다. 전세계를 돌아다니며 연구를 ‘세일즈’하고 있는 걸 보면.대학 시절 생각나는 일화는?물리학과 숙제는 특히 어려운 게 많았다. 그럴 때 어려운 문제를 푸는 ... ...
- [Culture] ‘승리 요정’ 되려면 강속구로 승부하라과학동아 l2018년 08호
- 계속 1군에 머물렀다면 주전을 뒷받침하는 백업포수로, 지금과 같은 스타로 성장하지 못했을 수 있다.하지만 양의지는 입단 이후 곧바로 퓨처스리그의 경찰청 팀에서 군 복무를 하며 많은 경험을 쌓아 지금의 초대형 포수로 성장할 수 있었다. 우리 사회가 젊은이들이 기초를 다질 수 있는 기회를 ... ...
- [눈,코,입 심기] 내가 보이나요, 내 목소리가 들리나요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수용체와 그래핀을 결합해 1만 배 더 정확한 냄새, 맛 센서를 개발했다. 다시는 음식 투정 못 할 것이다. ● 사람보다 1만 배 민감한 ‘전자혀’ 후각과 미각은 시각, 청각, 촉각과 달리 화학적이다. 즉 화학분자들을 인지한다. 이를 위해 코와 혀에는 냄새 분자와 맛 분자를 인식하는 수용체가 있다. ... ...
- Part 2. ICM 관전 포인트 넷수학동아 l2018년 08호
- 받을 것 같나요? 필즈상 상금을 받으면 그 돈으로 뭘 하실 건가요?하하. 높은 확률로 못 받을 것 같네요. 실망하겠지만, 상금도 많진 않습니다. 대신 필즈상을 받으면 연봉 협상을 다시 할 수 있어서 상금보다 더 큰 가치가 있죠. 5. 박사님의 자녀가 아빠가 수학자인 것을 어떻게 생각하나요?아마 아무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정자는 머리부터 꼬리까지를 하나의 축으로 해서 빙글빙글 회전하며 움직입니다. 벽에 못을 박을 때 쓰는 전동드릴처럼요. 이런 움직임은 정자가 나팔관 속 액체의 흐름을 거슬러 나팔관 안쪽으로 헤엄칠 수 있도록 합니다.작디작은 정자가 액체의 흐름에 휩쓸리기는커녕, 거슬러 올라간다는 게 ... ...
이전5960616263646566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