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리오
네트
넷트
오네트
머릿수
수
mari
d라이브러리
"
마리
"(으)로 총 2,737건 검색되었습니다.
[화보] 생활 속 화학물질, 예술이 되다
수학동아
l
2019년 02호
까다로울 것 같아요. 나비처럼 날아오르다 | 꽃잎을 흩날리며 하늘로 날아오르는 한
마리
의 나비 같죠? 이 사진은 구연산 결정이 만든 장관이에요. 나비가 펼치는 군무 | 이번에는 나비 떼가 군무를 펼치는 것 같습니다. 구연산의 변신은 어디까지 계속될지 궁금하네요. ● 아픔 잊게 ... ...
[화보] 2월이 한여름이라고?! 남극의 여름을 소개합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2호
동물·식물도 활발하게 활동한답니다.1 내 새끼를 건들지 마라 귀여운 아기 펭귄 두
마리
가 부모 펭귄 품 안에 안전하게 안겨 있어요. 다 자라면 부모님처럼 얼굴 턱 부분에 검은 띠가 생기지요. 이 특징을 따서 ‘턱끈펭귄’이란 이름이 붙었답니다. 2 말랑말랑 젤리 꽃이 피었습니다!동글동글 ... ...
Part 2. 반려동물 버리면 다른 동물도 위험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2호
버려진 개를 보며 시민만이 아니라 정부의 역할이 절실했다”고 말했어요. 이에 나머지 5
마리
를 돕는 데 노원구청도 함께할 예정이랍니다. ● 인터뷰 - 김성호(한국성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들개’도 교육이 가능해요!” 제가 ‘부라보’라고 이름을 지어준 개는 목줄을 채웠을 때 ... ...
[이달의 PICK] 밥상 떠난 오징어를 찾습니다
과학동아
l
2019년 02호
3월호 ‘집 나간 국민생선이 돌아왔다! 명태의 귀환’ 참고). 지난 연말에는 하루에 수천
마리
씩 잡힐 정도로 개체수가 늘었다. 처음에는 방류산 명태가 아니냐는 우려도 있었지만, 사실이 아닌 것으로 확인됐다. 자연산 명태가 늘어났다는 것이다. 강수경 연구관은 “DNA 분석 결과 최근 강원 ... ...
[이달의 PICK] ‘계란의 일생’ 알아야 핵심이 보인다
과학동아
l
2019년 02호
30개 농가가 평균 5만8746
마리
의 산란계를 키운다. 이 중에는 기자가 찾아간 곳처럼 수십만
마리
를 수용할 수 있는 농장도 여럿이다. 계란의 가격이 거의 30년째 개당 100원 수준으로 유지되는 비결이다. 시중에 판매되는 계란의 절반 이상은 이런 공장식 농장에서 생산된다. 나머지는 소규모 ... ...
[TECH] 쥐 소리 알아 듣는 AI ‘딥찍찍’ 동물 소리도 통역이 되나요?
과학동아
l
2019년 02호
싶어 한다. 하지만 미국 동물학대방지단체에 따르면 미국에서만 매년 약 300만
마리
에 이르는 개들을 안락사 시키고 있다. 그 중 80%는 건강상의 이유가 아니라 인간을 공격하는 문제견으로 인식돼 안락사 된다. 콘 슬로보드치코프 미국 북애리조나대 생물학과 명예교수는 개의 언어를 이해하지 못해 ... ...
[과학뉴스] 지질학적으로 지금은 ‘치킨 시대’?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콘크리트와 플라스틱을 제치고 닭 뼈를 꼽았다. 현재 지구상에서 키우는 닭은 약 230억
마리
로, 무게를 합치면 지구상 모든 새를 합친 것보다 많다. 육계(고기를 얻기 위해 살찌게 키우는 닭)는 다리와 가슴은 비대하고 심장과 뼈는 왜소하며 뼈에 구멍이 많다는 점 등 야생 닭은 물론 로마와 ... ...
[프리미엄 리포트] 내 모든 걸 다 줬는데, 날 미워하면 안 ‘돼지’ 인류를 구원한 돼지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세계보건기구(WHO)와 세계이종이식학회는 ‘췌도 이식을 받은 원숭이 8
마리
중 5
마리
가 최소 6개월 이상 생존해야한다’ 등 이종 간 이식에 관한 기술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정했는데, 바이오이종장기개발사업단은 이를 세계 최초로 충족시켰다. 당시 돼지의 췌도를 이식받은 원숭이 5
마리
모두 ... ...
서울 선덕고 김지명 군 “ㄱㄴㄷ 문제는 개념 충실히 익혀야 안 틀려요”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준비했다. 내신은 전교 3등을 기록했고, 수능은 만점을 받았다. 내신과 수능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은 셈이다. 어려운 문제 붙잡고 있지 말라 김 군의 수능 만점이 더욱 빛나는 이유는 2019학년도 수능이 유독 어렵다고 알려진 이른바 ‘불수능’이었기 때문이다. 특히 1교시인 국어 영역의 ... ...
[헷갈린 과학] 흰개미가 개미가 아니라니! 흰개미 vs 개미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1호
군집마다 하나씩 있는 여왕과 왕은 알을 낳는 번식에 집중하고 나머지 수백만
마리
가 먹이를 구해오는 등의 일을 한답니다. 개미를 흰개미와 구분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허리와 더듬이를 살피는 거예요. 허리가 뚜렷하지 않은 흰개미와 달리, 개미는 가슴과 배 사이 허리가 매우 잘록하지요. ... ...
이전
59
60
61
62
63
64
65
66
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