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땅속"(으)로 총 2,427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CCTV에 기록된 그 날의 진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폐쇄회로(CC)TV로 범인을 검거한 사례는 매년 대략 2000여 건(2014년 기준). 여기에는 마스크를 쓰고 있거나, 화질이 떨어져 영상으로 구분할 수 없는 경우도 포함돼 있다. CCTV의 기록을 증거로 만드는 이들이 사건을 해결하는 과정을 알아본다. 기사에 나오는 사진은 실제 사건과 무관한 가상상황이다.[ ... ...
- 붉은 원숭이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손오공도 몰랐던 원숭이 이야기원숭이는 영장류에 속하는 동물로, 전세계에 약 430종이 살고 있어. 다른 동물에 비해 생김새가 인간과 가까워 ‘사람과 가장 비슷한 동물’로 알려져 있지. 그런데 사람과 전혀 닮지 않은 원숭이도 많다지 뭐야? 그렇다면 어떻게 수많은 포유류 중에서 원숭이를 구별 ... ...
- [News & Issue] 스콜레사이트(Scolecite) 인도에서 온 붉은 원숭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중생대가 저물어 가는 백악기 말 인도의 남서부, 현재의 뭄바이 인근에서 기록적인 화산 분화가 일어났다. 이 분화는 최소한 3만 년 이상 지속됐고, 여기서 분출된 용암은 현재 남부 인도 면적의 절반인 100만 km2의 넓은 지역을 겹겹이 덮었다.이곳이 현무암으로 이뤄진 데칸고원이다. 한반도 전체를 ... ...
- [Knowledge] 러닝 머신에 올라간 동물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몸 관리는 ‘생존’과 직결된 문제다. 비만이 되는 것을 막고 체력을 키우려면 식단을 조절하고 운동을 해야 한다. 그런데 놀랍게도, 동물도 몸 관리를 한다! 이들은 더 잘 생존하기 위해 몸매를 가꾸고 체력을 단련한다.미국 세인트토마스대의 한 실험실. 어느 날 길이 2m, 폭 5cm의 특수한 트랙과 작 ...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실험실_사라진 어진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6년 03호
- 여섯 번째 관문단청에서 찾은 도형태조의 초상화가 있는 정전을 빠져나갈 때 지나는 문이 있습니다. 바로 ‘내삼문’입니다. 내삼문에 있는 아름다운 무늬 그림은 어떻게 그린 걸까요?규칙적인 단청 무늬의 비밀내삼문 앞에서 잠시 고개를 들어 문을 살펴보면 빨강, 초록, 파랑 등 여러 가지 빛깔로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한밤중에 벌어진 파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캉캉캉캉!”하루종일 피곤했던 몸을 겨우 누인 시원이가 막 잠이 들려고 하는 찰나, 시끄러운 금속성 소리가 들려왔어요. 지원군 선배는 짜증이나서 이불을 막 걷어차 올리는 시원이에게 태연스레 말했어요.“소집이네. 어디 한번 가 볼까?”한밤중에 웬 소집이라는 걸까요?“반가워! 난 조금만 ... ...
- [새 책] 입자물리학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미래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입자물리학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미래리사 랜들은 평범한 입자물리학자가 아니다. 세계 입자물리학계의 중심에 있는 최고의 석학 중 한 명이다. 베스트셀러 작가이며, 오페라 대본을 썼을 정도로 음악에도 조예가 깊다. 그리고 무엇보다 우주론을 소재로 한 영화 ‘콘택트’의 여주인공 조디 포 ... ...
- 1인용 이동수단이 뜬다! 스마트 모빌리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후보 1 상상이 현실로! 호버보드첫 번째 후보는 바로 ‘호버보드’야. 바퀴 없이 공중에 붕 떠서 나는 스케이트보드를 호버보드라고 해. 호버보드는 30년 전에 만들어진 영화에서 처음 등장했어. 당시에는 상상 속의 기계였지만, 이젠 진짜 만들 수 있게 됐단다. 과학으로 날게 된 호버보드호버보드 ... ...
- PART 3. 수중시체를 찾아온 살아있는 단서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수중시체는 하나의 생태계다. 물에 들어간 순간부터 수많은 수중생물들이 시체를 찾는다. 이들 생물의 생태를 연구해 사건이 일어난 일시나 환경 등 수사의 단서를 얻는 것도 수중과학수사의 중요한 영역 중 하나다. 이번 파트는 독자 여러분이 직접 수사관이 되어 바닷가에 나타난 연쇄살인범을 ... ...
- PART 1. 착시 설계자 따라잡기수학동아 l2016년 02호
- 만나서 반갑습니다. 전 ‘Mr. 착시’입니다. 본명은 신경 쓰지 마시고, 전 예술가니까 Mr. 착시라고 불러주세요. 착시를 일으키는 작품을 보면 눈이 즐겁지만 직접 만드는 건 어렵다고요? 착시는 수학적인 예술이에요. 보는 사람의 시선을 따라 조금만 계산하면 생생한 착시를 만들 수 있지요. ...
이전5960616263646566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