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다양화
다채성
복합성
d라이브러리
"
다양성
"(으)로 총 779건 검색되었습니다.
2. 3명의 유전자 혼합된 아기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변형은 그 영향을 확인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려 그 안전성을 확신할 수 없고, 유전자의
다양성
을 저해하고 미래 세대의 형질에 대한 결정권을 현 세대가 침해한다는 윤리적인 문제와 자칫 우생학적 목적에 똑똑한 아기나 잘생긴 아이를 낳기 위한 목적 등으로 남용될 소지가 있기 때문”이라 밝혔다 ... ...
1. 가물치 크기의 슈퍼미꾸라지 해양식량난 대안, '프랑켄피쉬' 비판도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하지만 이에 대비한 국제간 보호장치가 마련됐다.지난 1월29일 캐나다에서 열린 생물
다양성
협약 특별당사국총회에서 채택된 생명공학안전성 의정서가 바로 그것이다. 카르타헤나 의정서라고도 불리는 이번 의정서는 유전자변형 생물체의 국가간 이동 절차 등에 관한 지침을 규정하고 있다. 지침에 ... ...
③ 1억종에 달하는 생물
다양성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심해 저서생물군집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됐는데, 심해는 총 1억종에 달하는 생물
다양성
의 보고라는 사실 밝혀졌다. 그러나 아직까지도 심해 전체의 생물종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하다. 따라서 심해에서 지금까지 전혀 알지 못했던 새로운 생물을 만날 가능성은 무척 크다.대형보다 중형이 ... ...
다이슨의 상상의 세계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저물어가는 대영제국의 권위를 되살려보고자 하는 정치적 이데올로기에 기초해 기술적
다양성
과 안정성에 기초하지 않고 성급히 추진됐다. 더구나 탑승자의 대부분이 목숨을 잃는 대참사를 맞이함으로써 역사의 그늘 속으로 사라졌다. 다이슨은 이를 ‘기술 문화’와 ‘정치 문화’의 갈등으로 ... ...
장애아 애덤 킹의 아름다운 시구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지식을 가진 의사의 참여는 당연하다. 공학 전공 후 의공학의 길 걷는다이처럼 의공학은
다양성
과 복합성을 본질로 하고 있다. 최근 학문간 경계가 사라져가고 있다고 하지만 의공학은 자체가 그렇다. 의공학자는 학문의 경계를 수시로 넘나들어야 한다. 때문에 의공학자는 독특한 이력을 가지게 ... ...
⑤ 자생식물이용기술 개발사업단장 정혁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동원해 유전자 규모까지 연구하려는 것이다.1992년 브라질 리우환경회의에서 생물
다양성
협약을 채택한 이후 세계 각국은 자국에서만 살고 있는 동식물에 큰 관심을 보여왔다. 이들을 지속적으로 이용하고 개발하기 위해 각 민족의 전통지식을 활용할 수 있다. 식물분야에서는 우리나라도 인삼과 ... ...
③ 생리ㅣ 부작용 없는 치료제 약속하는 인공효소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같은 주머니의 모양은 아미노산 또는 뉴클레오티드의 배열 순서로 결정나게 되므로 그
다양성
은 아미노산서열이나 염기서열 만큼 풍부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인공효소는 이와 같은 거의 무한한 가능성 중에서 우리 입맛에 맞는 효소역할을 할 수 있는 항체, DNA, 펩티드를 찾으면 된다.폴링의 ... ...
Ⅱ. 본격적인 유전자 시대 개막 알린 영광의 주역들 : 3 현장취재 영국 런던 다국적팀 기자회견장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공동연구도 수행해야 하지 않은가라는 기자의 질문에 설스턴박사는 “과학연구에도
다양성
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짧게 답했다. 여기서 당분간 다국적팀과 셀레라의 공동연구는 힘들 것임을 알 수 있었다.기자 회견장은 다국적팀의 연구성과를 발표하는 자리였지만 영국 과학의 업적을 ... ...
필름 없는 영상의 세계 디지털 카메라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무엇보다 사용하는 메모리의 종류나 가격, 전지의 용량, 옵션으로 제공되는 액서사리의
다양성
, 필요한 기능 등을 꼼꼼히 따져 보고 구입할 것을 권한다. 아울러 디지털 카메라와 PC의 연결 방식도 전송속도가 빠른 USB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유리하다. 요즘은 카메라와 PC를 케이블로 연결하지 ... ...
Ⅲ. 새천년을 연 영예의 수상자들 : 순수물리 아성 깬 '응용물리학자'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현실을 직시한 응용물리가 조화롭게 겹쳐질 때에 비로소 21세기에도 건강함과
다양성
을 겸비한 물리학을 지켜나갈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하며 올 노벨물리학상의 의미를 다시 한번 새겨본다 ... ...
이전
59
60
61
62
63
64
65
66
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