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남아"(으)로 총 3,76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이종교배 - 네안데르탈인은 사라졌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손가락뼈와 어금니 등 일부만 발견된 상태이다. 호모 사피엔스, 어디서 왔을까? 현재 남아있는 인간은 호모 사피엔스(Homo sapiens) 한 종으로, 약 30만 년 전 아프리카에서 나타났어요. 이 당시 지구에는 호모 에렉투스, 네안데르탈인, 데니소바인 등 여러 고인류가 공존했어요. 그러면 왜 다른 ... ...
- [프리미엄 리포트] ‘디자이너 베이비’의 탄생? 유전자 편집 기술의 명암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박테리오파지가 침입했을 때 그 DNA의 일부를 크리스퍼의 염기서열에 끼워 둔다. 이후 남아 있던 박테리오파지의 DNA가 RNA로 전사되고, 특정 효소(Cas9)와 결합하면 박테리오파지가 침입했을 때 DNA를 잘라 침입을 막을 수 있다(적응면역). 크리스퍼 서열이 박테리오파지를 인식하면 효소가 사냥하는 ...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금수저’ 색안경 벗겨낸 노력파 세르게이 볼코프과학동아 l2019년 02호
- 훈련센터로 돌아갔을 때, 그곳에는 어린 시절 아버지를 훈련하던 교관들이 여전히 남아 있었다. 자연히 경험 많은 우주인인 아버지와 막 훈련을 시작한 아들을 비교하는 시선이 쏟아졌다. 훈련하는 내내 아버지를 쫓아가는 느낌이 들고, 눈앞에는 항상 깨야 할 아버지의 기록이 있었다고 회상했다. ... ...
- [검시관의 사건 노트] #01 유병언은 언제 사망했나과학동아 l2019년 01호
- ● 2014. 07. 22 오른손 지문으로 신원 파악 다행히 오른손의 손가락에 지문이 일부 남아 있었다. 수사팀은 이 지문을 이용해 변사자가 유병언이라는 사실을 확인했다. 믿을 수가 없었다. 뼛조각 일부를 떼어 내 유전자 분석을 진행했다. 역시나 누워있는 시체는 유병언을 지목했다. 하지만 누가 ... ...
- [시사기획] 2019 미세먼지 전망 어디까지 알아냈나과학동아 l2019년 01호
-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반면 코로 들어간 미세먼지는 비교적 오랫동안 체내에 남아 있었다. 다른 장기로 이동하는 현상도 확인됐다. 미세먼지가 기도를 거쳐 폐로 들어가기까지는 30분이 걸렸고, 이틀 뒤에는 처음 양의 60%가 여전히 폐에 머물렀다. 약 30분~4시간 뒤에는 미세먼지의 약 1%가 ... ...
- [통합과학 교과서] 동화나라가 위험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작동되자마자 마을을 덮친 콩나무들도 사라졌어요. 하지만 부서진 잔해들은 여전히 남아있었죠. “이거 장난이 아닌데? 평화롭던 동화나라에 진짜 무슨 일이 생긴 건가 ... ...
- Part 1. 변신 1 - 9000년 간 변해왔다! 가축 돼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다 컸을때도 80kg 정도로 덩치가 작아 일반 농민들이 잘 키우지 않으려 하는 문제가 남아 있어요. 국립축산과학원 양돈과 조은석 농업연구사는 “재래 돼지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재래 돼지의 특징을 살리면서도 몸집을 키울 수 있는 우리나라만의 품종을 개발하고 있다”며 “앞으로 더 많은 ... ...
- Part 3. 유럽 2024년 문 빌리지 건설 ‘문레이스’ 스타트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조성을 ‘아폴로 14호’가 채취한 달의 표토(풍화작용으로 지표면에 푸석푸석하게 남아 있는 토양) 샘플과 비슷하게 만든 것이다. 연구팀은 이 재료로 블록을 찍어낸 뒤 오븐에서 쿠키를 굽듯 열을 가해 단단하게 굳혔다. 거울 146개로 햇빛을 모아 약 1000도까지 온도를 높여 오븐 역할을 하게 했다 ... ...
- [나의 영국 유학 일기] 성적만 들고 임페리얼칼리지(ICL)에 지원하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갔다. 처음에는 부모님의 사업 때문에 결정된 일이었지만, 이후에는 내가 말레이시아에 남아 계속 공부하고 싶다는 의지가 강했다. 사실 공부가 좋아서 남았던 건 아니었다. 그저 말레이시아 생활이 한국보다 느긋하고 행복했기 때문이다. 성적이 특별히 좋았던 적도, 공부를 열심히 한 적도 ... ...
- [핫이슈] 75t급 엔진 비행 성공! 누리호 시험발사체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실제 발사를 위한 과정을 거치게 되지요. 과연 누리호 개발을 위해 어떤 단계가 더 남아있을까요? 3단형 발사체 누리호로 꿈에 다가서다! 시험발사체를 개발하고 발사할 때까지 총 3종류의 발사체 모델을 만들어요. 첫 번째 단계는 체계개발모델(EM)이에요. 각 부품을 조립하고 기능이 제대로 ... ...
이전596061626364656667 다음